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플톡 May 12. 2021

[파워툴] Lightshot, Liner

크롬 브라우져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높이기 - 화면 캡쳐와 밋줄긋기

오늘 파워툴 코너에서는 검색자료의 캡쳐 이미지에 설명을 간편하게 추가하는데 유용한 LightShot과  웹 페이지의 중요한 내용들을 하이라이트하고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는 LINER을 소개합니다.  

  

[1] Lightshot


필요한 자료들을 인터넷으로 검색한 후 내용의 일부를 캡쳐하여 인용하고 해당 인용 내용에 설명을 추가해야하는 경우에 일단 캡쳐된 이미지를 파워포인트나 Keynote에서 복사한 뒤 해당 프로그램의 드로잉기능을 사용해서 박스나 선, 원의 모양을 그림에 표시한 후 설명을 추가하는데요. 캡쳐와 편집에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니, 응용 프로그램 간에 전환도 필요하고, 무엇보다 캡쳐한 순간에 떠오른 추가 내용들을 어딘가에 적어두지 못해서 캡쳐 후 적어야할 내용들 다시 머릿속에 떠올려야하는 어려움이 있는데요. Lightshot이 이러한 번거로움을 한번에 줄여줍니다.



웹브라우져에서 캡쳐영역을 일단 설정하고 편리하게 위치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한번 캡쳐 영역을 설정하면 변경이 어려운데요. 이 점은 매우 편리하네요.  캡쳐 영역 내에 그리기,텍스트, 도형등을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으며, 소셜네트워크에 캡쳐된 이이미지를 공유하거나 로컬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유 시, 편리한 점은 자체 저장소를 제공하여 캡쳐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해당 이미지의 단축 URL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캡쳐한 이미지를 로컬에 저장하고, Dropbox나 구글 Drive에 업로드 후 링크를 공유할 번거로움을 줄여줍니다. 사용시 아쉬운 점도 있는데요. 그리기나 텍스트 입력 시, 입력한 내용에 대해서 수정이 불가합니다. 되돌리기 기능을 잘 활용하면 입력 시 오류를 빠르게 보정할 수 있습니다.


Lightboard는 자료 정리를 위한 용도 이외에 온라인 회의에서도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온라인 회의에서 웹 브라우져를 통해 설명할 웹 페이지을 보여준 뒤, 특정 영역에 대한 설명이나 강조가 필요한 경우 Lightboard의 캡쳐영역과 그외 영역의 구분(회색 부분과 흰색부분)은 주목할 영역을 표시하고 그리기와 도형 도구를 사용해서 추가 설명을 할 수 있어서 유용할 것 같네요.


[2] LINER


웹 사이트나 뉴스 사이트를 탐색하다보면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사이트, 블로그나 뉴스등을 읽다보면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영역을 하이라이트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종종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용도에 딱! 맞는 크롭 웹 브라우져 확장 프로그램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라이너(Liner)는 국내 서비스로 웹서비스 이외에 모바일 서비스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책이나 인쇄물의 자료를 읽을 때면 형광펜으로 중요한 부분들을 밑줄 치거나 영역 표시등을 하고, Post-It으로 중요 페이지를 표시해두는데요. 전자문서의 경우 좀 번거로운 부분들이 있습니다. 일단 필요한 정보들을 담은 웹페이지나 기사등을 웹 브라우져에서 PDF 문서로 인쇄한 후, PDF 편집기나 MarginNote와 같은 PDF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읽으면서 밑줄도 긋고 의견도 적어두는데요. 자료 보관과 출처등을 따로 별도의 문서에 기록하고 문서와 연결시켜두어야하는 번거로움도 많습니다. 이런 여러단계의 과정을 줄이고 정보관리의 편의성 측면 - 출처, 하이라이트 영역표시, 코멘트등 - 에서 “라이너”는 좋은 대안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라이너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확장프로그램 아이콘을 웹브라우져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광펜 마크의 모양이라서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라이너 사용 시, 웹 페이지마다 라이너 사용이 가능한 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페이지가 표시되니 해당 아이콘의 ON/OFF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브라우져 상단에 위치한 라이너 아이콘을 클릭하지 않아도 마우스로 하이라이트할 영역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면서 자동 저장이 완료되며, 선택한 하이라이트 영역에 대해서 색상을 변경, 코멘트 추가, 선택한 텍스트 공유나 삭제등이 가능합니다.

밑줄친 사이트의 링크와 코멘트등의 내용은 LINER의 “내 하이라이트”영역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링크등의 관리를 위해서 폴더방식이 아닌 태그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나의 링크에 여러개의 태그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 이외에 PDF문서를 업로드한 후, PDF문서에 하이라이트와 코멘트를 추가하는 기능도 제공되어 PDF문서의 활용성도 크다는 점도 참고할만합니다(OCR처리가된 PDF문서에 한해서 사용가능하며 유료/무료의 경우 업로드 가능한 파일의 크기에 차이가 있습니다).  웹기반으로 리서치나 정보 관리등이 필요한 분들에게 정말 유용하실 것 같네요.


앞서 소개해드린 2가지 도구들을  활용하여 웹 페이지 기반의 정보 캡쳐 및 정리, 의견 메모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신다면, 일과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실 것으로 기대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알람'을 활용한 업무 효율 높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