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지 Jan 21. 2024

지나간 시대에 대한 불행한 동경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리뷰

“I was born in the wrong generation.”이라는 말이 있다. 자신이 사는 시대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를 그리워하며 그때가 현재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미드나잇 인 파리>의 주인공 길도 1920년대 파리를 ‘황금시대’라고 말하며 자신이 늦게 태어났다고 생각한다. 그러던 길에게 1920년대 파리를 경험하게 되는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난다.


<미드나잇 인 파리>는 아름다운 파리의 모습과 함께 예술계를 주름잡았던 1920년대 파리의 예술가들을 보여준다. 헤밍웨이, 피츠제랄드 부부, 거트루드 스타인을 만날 수 있고, 콜 포터의 곡을 들을 수 있다. 매력적인 파리의 모습과 함께 예술계 거장들을 만날 수 있는 <미드나잇 인 파리>에 빠져보자.


등장인물


길 펜더(Gil Pender): 잘나가는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 시나리오를 벗어나 자신만의 소설을 쓰기로 하지만 생각대로 잘 풀리지 않는다. 비 오는 파리의 풍경을 사랑하며, 1920년대 파리를 동경한다. 과거에 대한 그리움이 강해 이전 시대에 살았으면 더 행복했을 거라 믿는다. 1920년대 파리의 유명 예술가들을 만나며 자신의 꿈속 불안감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이네즈(Inez): 길의 약혼자. 부유한 사업가의 딸로, 길과 약혼했으나 성향이 너무 달라 사사건건 충돌한다. 파리에 살고 싶다는 길의 바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며, 길이 소설을 쓰는 것을 탐탁지 않아 한다. 파리를 감상하는 길과 달리 쇼핑에만 몰두하며 길보다 다른 사람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길을 ‘과거 속에 사는 사람’이라고 치부하며 종종 그를 무시한다.


아드리아나(Adriana): 1920년대 예술가들의 뮤즈. 코코 샤넬에게 의상공부를 하러 파리에 왔다. 모딜리아니, 마티스, 피카소와 사귀고 길의 마음까지 빼앗은 매력적인 여성이다. 1920년대를 사는 그녀는 1890년대 파리의 벨아뽀끄 시대를 동경한다. 길과 함께 우연히 1890년대 파리에 가게 되며, 길의 불안감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주는 결정적인 인물이다.


시놉시스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 길과 그의 약혼자 이네즈는 이네즈 아버지의 사업 출장을 따라 파리에 머물게 된다. 그들은 우연히 마주친 이네즈의 지인 폴 부부와 함께 파리 일정을 함께한다. 와인 시음회에 참석한 뒤 이네즈는 폴 부부와 함께 춤을 추러 가고, 길은 홀로 호텔로 걸어오다 길을 잃는다. 거리에 앉아 있던 길은 시계가 자정을 알리는 소리와 함께 나타난 오래된 자동차를 타고 파티에 가게 되고, 길의 비밀 생활이 시작된다.


1920년대 파리의 예술가들

출처 | 네이버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포토


길이 우연히 오래된 차를 타고 도착한 파티장은 장 콕토의 파티였다. 그리고 그를 헤밍웨이에게 소개해주는 스캇 피츠제랄드는 우리가 잘 아는 <위대한 개츠비>와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쓴 미국 작가였다.


길이 경험하는 1920년대 파리의 예술가들은 국경을 넘어 왕성한 교류 활동을 했다. 특히 작가이자 비평가인 거트루드 스타인을 중심으로 수많은 예술가들이 예술 활동을 벌였다. 그녀는 피카소와 헤밍웨이의 진가를 알아봤으며, 그들의 멘토가 되어주었다. 영화에서는 피카소가 자신의 그림을 스타인에게 평가받는 모습을 볼 수 있고, 피카소가 그린 스타인의 초상화는 스타인 살롱 벽면에 걸려있다. 스타인 살롱에는 수많은 예술가들이 들락거렸고, 헤밍웨이의 소개로 길도 그중 하나가 된다.


우리는 영화를 통해 1920년대 파리의 작가, 미술가, 사진가, 음악가를 비롯해 수많은 예술가들을 만날 수 있다.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 영화감독 루이스 부뉴엘, 사진작가 만레이, 그리고 이름만 등장하는 화가 모딜리아니, 마티스, 브라크 등등 지금은 전시회 제목에서나 볼 법한 이름들을 영화에서는 살아있는 인물로 만날 수 있다.


예술사에 이름을 남긴 당대 최고의 거장들을 한 자리에 모아 그들의 교류를 볼 수 있는 것은 대단한 장면이다. 우리는 영화를 통해 그 시대 파리의 예술계가 얼마나 활발하고 찬란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은 <미드나잇 인 파리>의 가장 큰 매력이다.


모든 것이 완벽했던 때

출처 | 네이버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포토


길과 아드리아나가 우연히 마차를 타고 1890년대 파리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고갱과 드가를 만난다. 고갱과 드가는 이 세대는 공허하고 상상력이 없다며 르네상스 시대가 더 나았다고 말한다. 그러자 아드리아나는 “지금이 황금시대죠!”라고 말한다.


벨아뽀끄의 매력에 푹 빠진 아드리아나는 길에게 돌아가지 말자고 하지만, 길은 1920년대를 두고 벨아뽀끄에 남으려는 아드리아나를 이해하지 못한다. 길은 자신도 아드리아나처럼 현재를 벗어나 황금시대로 가고 싶어 했다고 말하지만, 그녀는 “설마 20년대를 황금시대로 생각하진 않겠죠?”라고 대답한다.


1920년대 파리를 동경하는 길에게 그 시대는 “황금시대”였다. 그리하여 1920년대 파리의 예술가들을 만나는 경험은 길에게 감탄과 황홀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아드리아나에게 길이 동경하던 1920년대는 그녀의 말마따나 ‘지루한 현재’였던 것이다. 그녀는 1890년대 파리의 벨아뽀끄를 “파리 역사상 가장 아름답고 위대한 시절”이라고 생각한다.


길은 벨아뽀끄에 남으려는 아드리아나를 보며 자신의 꿈속 불안이 무엇이었는지 깨닫는다. 자신이 그동안 현재에 불만족해서 상상 속 황금시대를 동경했다는 것을 말이다. 그리고 그는 가치 있는 글을 쓰려면 '과거에 살았다면 행복했을 거란 환상'을 없애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황금시대는 없다

출처 | 네이버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포토


길은 아드리아나와의 첫 만남에서 자신이 늦게 태어났다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 누구도 늦게 태어나지 않았다. 우리가 사는 현실이 누군가에게는 곧 황금시대이고, 동경할 가장 아름다운 시절일 수 있다. 길이 1920년대를, 아드리아나가 1890년대를, 고갱과 드가가 르네상스를 그리워했듯이 말이다.


이네즈는 길을 몽상가라고 하며 ‘과거 속에 사는 사람’, ‘이전 시대에 살았으면 더 행복했을 거라 믿는 사람’이라고 칭한다. 폴은 과거에 대한 향수는 고통스러운 현재의 부정이며, 황금시대 사고의 오류라고 말한다. 다른 시대가 현재보다 나을 거라는 착각은 현실에 적응 못하고 낭만적인 상상이나 하는 사람들의 허점이라면서 말이다.


과격하고 불편한 발언이지만, 이것은 사실이다. 과거에 대한 선망은 현실 도피일 뿐이다. 깨달음을 얻은 길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여기 머무르면 여기가 현재가 돼요. 그럼 또 다른 시대를 동경하겠죠. 상상 속의 황금시대. 현재란 그런 거예요. 늘 불만족스럽죠. 삶이 원래 그러니까.”


헤밍웨이는 ‘파리는 마음에 담고 다닐 수 있는 축제’라고 말했다. 길이 마주한 1920년대 파리는 거부하기 힘든 매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빛나 보이던 시대도 누군가에겐 지루한 현실이었다.


아드리아나가 말했듯이, 현재는 모든 것이 너무 빨리 움직이고, 삶은 소란스럽고 복잡하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는 시간은 현재다. 그러니 우리는 현재에 충실하며 지금 눈 앞에 마주하는 세상을 즐겨야 한다. 상상 속 황금시대는 없다. 오직 현재만 있을 뿐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