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otatohands Mar 01. 2023

소프트 스킬에 대하여

사람의 하드 스킬과 소프트 스킬의 차이

얼마 전 팔로우하는 요즘 IT라는 블로그 글에서

소프트 스킬이라는 단어를 읽고 꽂히게 되었다.


나는 내가 나이 들었다는 생각을 잘 안 하는데

나보다 어린 사람을 만날 때면 가끔 어린 싱그러움과

거친 점들이 보일 때 내 나이가 삼십 대 후반이 되었구나 싶어 진다.


20대엔 나도 소프트 스킬이 부족한 사람이었다.

좋은 아이디어와 좋은 기술을 갖고 있어도

협업하기 위해 양보할 것과

지켜야 할 것들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하드스킬만 뛰어난다 해도 사람들은 그 사람과 일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30대로 접어들며 내가 좋은 기술만 갖고 있으면

사람들이 알아줄 거야라는 기대는 접었다

내가 가진 것도 잘 지혜롭게 친절하게 설명해야

100이 80으로 전달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도 나만의 소프트스킬들을 발전시키는 중이다


사람들은 스티브잡스가 직원의 옷차림이 마음에 안 들어 그만두게 했다는 이야기 썰을 가장 유명한 이야기로 듣지만 그런 그도 결혼을 하고 회사에서 쫓겨나기고 다시 불림당하기도 하며 소프트 스킬이 점차 나아졌다고 주변인들은 이야기했다.


우리가 생각하는 개발자의 전형적인 모습은 이야기도 잘 못하고 너드이미지에 매우 내성적이거니 협업하지 못할 것 같은 그런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만나본 좋은 개발자분들은 자신의 코딩에만 관심 있는 것이 아닌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와 내가 제안하는 디자인이 유저에게 직관적이고 쓰기 편한 부분이 있다면 구현하고자 함께 적극적으로 고민해 주시는 분들이었다.


소프트 스킬에는 아래의 블로그 글처럼

1. 다른 사람이 못 찾는 정보를 찾아주는 것 : 공부하는 개발자

-> 다른 사람이 겪는 어려움에 도움을 주는 것


2.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일하는 것 : 문제의식과 열정 레벨이 비슷한 디자이너, 개발자, 비즈니스 담당자 등과 일하는 것

-> 이것을 원문에도 적혀있는데 현실적으로 조직도에 따라 조직원이 배정이 되기 때문에 쉽지 않지만 비슷한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은 영감을 받는 원천이 된다


3. 결과를 공유하는 것에 두려움이 없는 것 : 피드백을 받는 것에 두려움이 없는 것

-> 이러려면 신뢰가 두터워야 하는데 누가 먼저 믿을 것인가에 대한 줄다리기 같다 내가 먼저 결과물을 공유하고 피드백받는 것에 열린 자세를 보여준다면 상대방도 마음을 열 것이다 안 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다고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먼저 피드백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고 했을 때 긍정적이었다


4. 의도를 가지고 코딩리는 것: 무엇을 해결하고 하는지 목적을 두고 코딩하는 것

-> 내가 한 일에 어떤 목적을 두고 작업을 하는지 생각해 보고 일하는 것은 중요하다 일회성 업무인지 지속적인 업무인지에 따라 결과물이 다를 것이다 나의 기준으로는 다음 작업자가 내 파일을 언제든 열었을 때 별도의 안내 없이도 이해될 수 있도록 작업을 해두자이다


4가지가 있다. 꼭 개발자뿐 아니라 전직무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에 더 플러스 알파로 내가 생각하는 소프트 스킬을 적어보자면


5. 적당히 친절하고 명료하게 의중과 의견을 전달하는 것 : 친절한 것이 살아남는다라는 책의 내용처럼 굳이 지나치게 차갑게 말해서 상대의 마음을 상하게 하거나 지나치게 친절하게 하여 부담을 느끼게 할 필요가 없다 프로페셔널한 것이 무조건 차가운 말투와 태도여야 하는 오해가 있는 것 같다. 적절한 온도의 친절한 말투는 다양한 문제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업무요청을 할 때 의중을 말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해관계가 다를 경우 다짜고짜 무슨 파일들 달라고 하거나 파일을 보내버리면 그 의중을 서로 파악하는데 에너지를 생각보다 많이 쓰게 된다.


6. 때때로 티타임 또는 런치타임을 갖는 것 :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함께 계속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끔 티타임 또는 런치타임을 갖게 되면 서로 몰랐던 부서의 상황이나 개인의 사정을 알게 된다


-


나는 어떤 사람과 일했을 때 즐겁고 보람되었는가?라고 물어보고 나서 나는 그런 사람인가?라고 반문해 보는 것이다.

내가 어떤 거울로 날 바라보고 있는 것인지? 고민해 본다면

각자 갖고 싶고 갖고 있는 소프트 스킬들을 알 수 있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96/

번역체라 원문을 읽으면 더 좋다.

https://javascript.plainenglish.io/5-unusual-signs-that-youre-a-great-developer-c14 cd2 e1716 f



매거진의 이전글 6.스플릿 버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