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noDAY Jan 22. 2019

스타 이즈 본

음악과 카메라의 힘

1. 성공한 남자와 엉망인 인생을 사는 여자. 그 둘 사이를 이어주는 인연인 음악, 그리고 음악에서 비롯된 사랑. 익숙하고 오래된 이야기다. 그렇다면 오래된 이야기를 얼마나 새로운 것처럼 포장하느냐가 핵심이 될 텐데, <스타 이즈 본>은 단언컨대 최선의 방법으로 진부함을 포장하는 데 성공한다. 



2. 이 작품의 전개는 신선한 것이 없다. 남자와 여자 주인공들이 각각 성공하고 실패하는 과정은 충분히 예측 가능한 부분이다. 그 외의 조연들과의 관계성도 의외라고 할 만한 부분은 없다. 결말도 마찬가지다. 충분히 감동적이고, 전율이 돋는 마무리다. <스타 이즈 본>이 비록 1930년대에 최초 개봉해서 지금껏 거듭 리메이크된 작품이라고 해도, 그 점을 감안해도 평범한 각본과 평범한 연출을 보여준다. 딱 한 가지만 제외하고. 



3. <스타 이즈 본>처럼 음악이 메인이 되는 작품은, 그리고 무대에 서는 장면이 등장하는 작품은 당연히 무대 위에서 공연하는 씬에 공을 들일 수밖에 없다. 스토리 전개의 전환점이 되거나 각 인물들의 변화 등을 묘사 혹은 암시할 수 있는 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중요도에 비해 <비긴 어게인>, <싱 스트리트>, <라라랜드>, <맘마미아> 등 다양한 음악/뮤지컬 영화들은 다소 진부한 연출 방식을 보여준다. 이 작품들 속 카메라의 시선은 주로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의 시선이거나, 혹은 카메라가 그 공연을 보고 감동하는 관객들을 잡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타 이즈 본>은 관객이 아닌, 공연을 펼치는 퍼포머의 시선을 따라간다. 스테이지 더 뒤에 있는 밴드에서 바라보는 듯한 카메라 시점과 무대 위에서 퍼포머에게 집중하는 카메라 시점은 <스타 이즈 본>만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우선 무대 위에서의 부담과 중압감, 그리고 그 공연의 활력이 아티스트의 시선에서 더 생생하게 다가오기에 관객들에게 노래의 의미나 감정선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다. <스타 이즈 본>에서는 노래하는 두 주인공에게 더 감정이입이 잘 된다는 의미다. 음악 영화에서 이는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다. 특히 이 영화처럼 그 음악이 그냥 들어도 탄성이 나올 정도로 좋은 수준이라면. 


이러한 카메라는 또한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더 큰 무대에 서고 성공하는 앨리를 잭슨이 왜 질투하는지(왜 자신이 그 자리에 있고 싶어 하는지)가 무대에서의 전율을 통해 관객들에게 직관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이다. 비록 평범한 각본임에도, 이러한 카메라 배치 하나가 '감독' 브래들리 쿠퍼의 차기작을 기대하게 하는 이유다.


4. 영화를 볼 때, 작중 인물들은 단순히 각본가의 힘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고들 한다. 크게 두 가지 측면, 배우를 감독이 어떻게 이용할지 혹은 단순히 그 인물의 역할을 맡은 배우의 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스타 이즈 본>은 후자의 증명이다. 브래들리 쿠퍼와 레이디 가가, 이 둘은 본인이 곧 캐릭터가 된다. 브래들리 쿠퍼는 모든 것을 잃고 무너지는 남자라는 다소 뻔할 수 있는 인물에 여유로운 미소와 깊은 눈빛으로 새로움을 불어넣는다.


레이디 가가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을 한다. 즉 노래하고 노래에 감정을 싣고, 피아노로 이야기하고 무대에서 퍼포먼스를 한다. 그녀에게 너무나도 자연스럽고 익숙한 일이고, 자신이 만든 노래와 함께하면서 그녀는 앨리가 된다. <스타 이즈 본>은 '영화'로서의 특징을 잘 살린 리메이크다. 영리한 카메라 활용과 배우들의 열연이 평범한 각본마저 새롭게 만들어 버렸으니. 


E( Exceeds Expectations 기대이상)

카메라 위에서 노는 배우, 음악, 카메라

매거진의 이전글 범블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