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슬비 Aug 14. 2023

민화 속 '거북'도상의 변화와
상징이야기(37)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거북 도상과 상징(2)

 또한 ‘민화’는 

‘감상화(感想畵)’라기보다는 

집안을 장식하는 

‘장식화(裝飾畵)’이자 

일상생활에 필요한 

‘실용화(實用畵)’로 

제작되었다.

 

‘민화’는 우리나라 고유의 토속 신앙, 

즉 무속(巫俗) 신앙과 

현세복락(現世福樂)을 추구하는 

‘벽사기복’의 주술적인 성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민화의 이러한 주술적 힘이 

여러 가지 재앙(사악한 힘)을 

막아주고, 

소원(복)을 이루어 준다고 

사람들은 믿었다. 


민화는 주로 병풍으로 제작되어 

사랑방에는 

바깥주인의 취향이나 출세를 위한 

<책가도>, <문자도>, <수렵도>, 

<맹호도(猛虎圖)> 등이 걸렸고, 


안주인이 머무는 안방에는 

<화훼도>나 

부귀를 상징하는 <화조도>, 

다산다복(多産多福)을 뜻하는 

<어해도> 병풍이, 


혼례의 신방에는 <어해도>와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도> 병풍이나 

탐스러운 복숭아나 

석류가 주렁주렁 달린 

<화조도> 병풍이, 


수연(壽宴)이나 회혼례(回婚禮)에는 

주인의 일생이 달린 

<평생도(平生圖)>를 

주문하여 장식하거나, 

또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도> 그림으로 장식하여 

분위기를 

높여 주었다. 


이러한 장식용 그림들은 

집안 벽이나 다락문, 대문간 등 

집안 여기저기에 붙여졌고, 

이러한 내용들이 

판소리 춘향가, 

무가(巫歌) 성조가(成造歌) 

등에 잘 나타나 있다. 


※ 판소리 '춘향가' 중에서...

방안으로 모시거늘 방안을 둘러보니 

방치레 정결하다. 

당지 도배 각장 장판, 

천장에는 개천도요, 

족자에는 지도서라, 

극품 화류문갑(樺榴文匣)위의 

필통 옆에 서책 놓고, 

당필연(唐筆硯)에 문방사우, 

경대 위에 체경 괴고, 

요강·타기·재떨이와 

담배 서랍·담뱃대를 

방 가운데 놓았으며, 

사벽에 붙인 것은 

열녀 그림뿐이로다. 

동벽에 붙인 그림 

소상강(瀟湘江)에 밤비 개고 

동정호에 달 오르니 

아롱아롱 죽림 속에 백의 입은 

두 부인이 이십오 현 타는 거동이요, 

남벽에 붙인 그림 

구의산(九嶷山) 가을 달에 

십면매복(十面埋伏)하였는데 

천하장사 초패왕(楚霸王)이 

기음장중하올 적에 

남자장 차린 미인 

옥수로 장검 쥐고 

목 찌르는 거동이며, 

서벽을 바라보니 

장신궁(長信宮)에 꽃이 지고 

거친 풀이 만정한데, 

지나가는 까마귀가 

소양(昭陽) 일색 띄워오니 

미인이 환선(紈扇) 쥐고 

바라보는 거동이요, 

북벽을 바라보니 

금곡(金谷) 행락 십리금장 

일조풍파 웬일인고. 

누전갑사(樓前甲士) 분여설에 

사세가 위급하니 

옥빈홍안(玉鬢紅顔) 일미인이 

삼월춘풍 낙화같이 타루하는 거동이라. 

-신재효(2020). 한국 판소리 전집, 고양: 서문당, 17-18.-


※ 무가(巫歌) '성조가'(成造歌) 중에서...

연하지로 도배하고 

유리장판 반다지에  

천홤여화 좋은 그림 

좌우에다 걸었는데

위수에 강태공은 

문왕을 만날라고 

곧은 낚시 물에 넣고 

언덕밑에 앉아서로 

꾸벅꾸벅 자부는 모양 

역역하게 그려있고 

한종실 유황숙은 

와룡선생 만날라고 

남향초당 풍설중에 

걸음좋다 적토마상 

지향없이 가는 모양 

역역이도 그려있고 

시중천자 이적선은 

채석강의 명월하? 

포도주를 취케먹고 

물밑에 비친달은 

섬섬옥수 잡는 모양 

역역하게 그려있고 

산중처사 두노인과 

상산사호 넷노인이 

바둑판을 앞에 놓고 

흑기백기 두시는데 

뒤에 않은 저노인이 

훈수를 하시다가 

무한당코 나앉는 모양 

역역하게 그려있고 

일궁명화 좋은 국화 

봄나비를 안볼라고 

삼강시에 숨어피니 

숨어피는 구월국화

화공이 그린 좋은 그림 

역역하게 그려있다 

분벽사창 좋은 방에 

움무병풍 둘러치고 

감자을축 육십일에 

생기복덕 날을 받아 

시주님은 방으로  모시고 

성주님은 문위에 모시자.

(https://cafe.daum.net/sorinuri2)


작가의 이전글 민화 속 '거북'도상의 변화와 상징이야기(36)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