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보 Sep 26. 2020

악의 꽃 : 대사 편 1

대사 편을 쭉 보시면 스포 당하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스포 방지를 중요시 여기기에 조심하기에 메인 스토리에 스포 사항은 없을 수 있지만,

조심하려고 합니다. 그러니 아직 안 보셨다면, 대사 편은 스킵하시는 편이 드라마를 더 재미나게 즐기실 수 있으실 거예요 :)


사회복지사가 범행을 저지른 건 온전히 귀찮아서다. 자신은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코패스라고 말하던 눈 빛에는 죄의식이 느껴지지 않았다. 오히려 거만함, 우월함이 있었다. 실은 그것도 감정이라는 것을 사회복지사는 몰랐다. 정말 몰랐을까 모른 척했을까. 나는 후자라고 생각한다. 정작 자신의 목에 칼이 들어오자 그녀는 두려워했고 공포심을 느꼈으며 급기야 살려달라고 매달렸으니까.


첫 회 등장한 이 이야기는 이준기가 왜 그렇게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는지 이해하는 시작점이자 부인으로서는 아니지만, 경찰로서는 차갑고 단호한 차지원 형사를 소개해주는 역할이었음을, 다시 되짚어 보는 이 시간 깨닫는다.

도민석의 이야기가 다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자, 기자들은 도민석의 딸을 찾아간다. 밤늦게까지 집 앞에서 기다리고, 문을 두드리고 자극적인 질문으로 도발하다 급기야 도를 넘는 발언까지 서슴없이 한다.


‘나의 아버지가 세상의 전부를 앗아가 버린, 그 아이. 내가 짓지 않은 죄로 평생을 속죄해야만 하고, 내가 짓지 않은 죄로 평생을 도망쳐야 하는 내 유일한 ‘낙원’ ’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 그리고 가해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연좌제를 당하는 모습에서 드라마 #이리와안아줘 가 떠올랐다.


그때 장기용이 했던 대사도 시사하는 바가 컸는데.. 이 장면에 대한 코멘트로 그 대사가 맞겠다. 기회가 된다면 다시 한번 써봐야겠다.

차지원 형사의 수사는 합리적인 의심에 기반한다. 도현수의 과거를 풀어가는 방식이 일방적인 설명이 아닌 의심과 수사로 이뤄지면서 극의 긴장감을 높이고, 시청자에겐 수사물 특유의 범인을 찾아가는 재미도 준다.


그러면서 세상의 선입견, 편견이 얼마나 무서운지도 보여준다. 극 중에서 피해자의 가족은 그 간 받아온 협박에 공포심이 남아, 도현수에 대해 안 좋은 이야기만 듣고 믿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생각하고 알아보고 점검해보는 노력 없이 진짜와 가짜를 혼동해 무분별하게 취한다. 게다가 가짜는 점점 더 진짜같이 자신을 포장한다.


그래서 무섭다. 단순한 호기심들이 제대로 된 방법을 거치지 않고 모이고 모이다 보면 드라마 속 주인공처럼 이유도 모른 채 망가져버릴 인생이 생겨날지 모르니까. 차지원 형사가 가진 수사 방침은 과도한 정보 속에 사는 내게도 필요한 것  같다.


미... 안 하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 이때 알아차려야 했는데.

그는 계속해서 자신의 감정을 부정한다. 그건 그로선 당연한 일이다. 사람들은 그에게 아버지를 닮았다고 했고 이상한 귀신이 붙었다며 굿 판으로 끌고 나왔으며 저주를 떼어내야 한다고 했으니까. 자신이 이상한 사람이라 여겼을 것이다.


하지만 어쩌면 그가 감정을 부정하는 이유는 정말로 느끼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와 누나에게 쏟아지는 분노를 감당하기 위한 부정이지 않았을까. 그렇게 차라리 스스로가 감정을 느끼는  못 하는 사람이라 믿어버린 건 아닐까.


그 결과 멜로를 스릴러로 받는 사람으로 자라 버렸네.

내가 그였다고 해도 자신의 인생에 등장한 차지원을 뭐라 설명할 길이 없을 것 같다. 작가의 말처럼 그녀는 참으로 순진무구하다. 현수의 말을 따르자면 보이는 것만 믿는 그런 사람이다. 물론 그런 시선은 그녀의 수사 원칙과도 같았다.


하지만 그런 그녀였기에 그에게 갑자기 등장한 여러 설명과 배경에 현혹되지 않고 그를 처음과 같이 사랑할 수 있었던 건 아닐까. 현수 인생에 처음 등장한 순수한 사랑이고 ㅁ디음이다. 오랜만에 만난 누나는 알 수 있는 동생의 변화였다.


그래 너만 몰라 네가 사이코패스가 아니라는 거.

지원이를 향해 뛰어오는 현수의 표정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밝다.

악의 꽃. 제목 속에 담긴 상반된 조화가 떠오른 장면이었다. 그는 적극적으로 그의 삶에 피어나게 된 꽃을 본능적으로 찾아 나섰다.



아군 결성. 현수의 든든한 두 사람의 만남. 지원 언니에게 제대로 치임. 멋있어.


뭐가 되었든 우리 집으로 가자는 말이 왜 이리 다행인지. 즐거운 곳에서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뿐이라던 노래가 떠올랐다.

마음 둘 곳 없이 살아온 현수에게 돌아갈 곳, 마음 놓일 곁이 생겼다는 고백이었다. 돌아올 곳이 있다는 건 인생에 그리고 많은 드라마 속에도 중요한 의미가 된다.

자신의 머리로 이해되지 않는 이 상황이 혼란스럽지만 마음이 시키는 대로 반응하는 현수를 보는데 너무 처절해서 가슴이 아팠다.


지원이 그를 좋아하게 된 어떠한 사건도 이유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첫눈에 반한 것이다.


사랑의 시선으로 바라봐서 그런가. 지원은 그에게서 따뜻함을 발견하는 첫 번째 사람이다.

눈 오던 그 밤, 정전된 지원이네 가게 밖에서 불이 켜질 때까지 기다려주었던 현수의 따뜻함을 보았다. 항상 그녀가 행복하길 바라며, 웃는 얼굴을 만들어주었다.


순수하게 그저 현수를 좋아한 지원의 끝없는 사랑에 현수는 그 감정이 무엇인지 조금씩 알게 되었을 거라 생각한다. 어린아이가 말을 배우듯 사랑한다고 말하는 현수의 서툰 고백을 들으며. 열여덟 어린 현수에게 누군가 너는 아빠와 같지 않다고 말해주었다면 그의 인생이 이처럼 시리고 불안하지 않았을 텐데.


지원이 현수에게 말해준 “당신은 따뜻한 사람”이라는 그 말, 나는 이 말이 그의 인생을 붙잡아줄 거란 강한 믿음이 들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악의 꽃 :악의로 뒤덮인 곳에서도 꽃은 피어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