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비령 Jul 13. 2023

마흔을 위로하는 시 - 소금 창고

나는 만 나이로도 마흔 살이다.

올 여름 여행자 보험을 위해 새로 산출해 봤더니, 보험 나이로는 마흔 한 살이더라. 

세상에 태어나 강산이 바뀐다는 십 년을 네 번 거듭했더니 이제 조금씩 세상이 겁나기 시작한다.

멋 모르고 도전하고 꿈꾸고, 시도하고 넘어졌던 젊은 날들이 그립다. 

자꾸 움츠리게 되고, 겁나는 일들이 오히려 많아졌고, 점점 달라지는 체력과 체격을 보며 자신감도 없어진다.

40이라는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데, 왜 이렇게 혼란스러운 건지 모르겠다.

이쯤 되면 씩씩한 진짜 어른이 되어 있을 줄 알았던 것은 정말이지 큰 착각이었다.

부끄럽지만, 마흔이 되고서도 아직도 넘어지는 중이다. 

감수성이 예민해서 그런가, 사소한 일에도 감상적이 되고, 생각이 많아진다.

그럼에도 그런 감수성 덕분에 시를 사랑할 수 있게 됐으니, 그마저도 축복이라 생각한다.



#

책장을 정리하다가, 오 년 전에 다이어리에 정성스레 적어뒀던 시 한 편을 발견했다.

혼자만 보기 아까워 독자님들과 공유하고자 남겨본다.



< 소금 창고 >

                   - 이문재- 


나는 마흔 살

늦가을 평상에 앉아

바다로 가는 길의 끝에다

지그시 힘을 준다 .

시린 바람이

옛날 노래가 적힌 악보를 넘기고 있다.

바다로 가는 길 따라가던 갈대 마른 꽃들

역광을 받아 한번 더 피어 있다.

눈 부시다

소금 창고가 있던 곳

오후 세 시의 햇빛이 갯벌 위에

수은처럼 굴러 다닌다.

북북 서진하는 기러기떼를 세어 보는데

젖은 눈에서 눈물이 떨어진다.

염전이 있던 곳

나는 마흔 살

옛날은 가는 게 아니고

이렇게 자꾸 오는 것이었다.



이 시를 읽다보니

언제적일지 까마득한 옛 날, 어릴 적 이야기, 젊었을 적 시집살이 한 이야기, 남편에 대한 원망, 그리운 고향 얘기 등을 반복해서 들려주시던 돌아가신 할머니가 생각난다.

바로 어제 일은 기억 못해도, 까마득한 옛 날의 일들은 어찌나 확연하게 기억하고 계신지

마치 내가 할머니가 주인공인 에피소드를 화면으로 보는 느낌이었달까.


시인처럼, 나도 올해는 늦가을에 북북서진하는 기러기떼를 보러 서해로 떠나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바람 부는 날의 자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