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꽃비내린 Sep 06. 2023

나의 미숙함이 누군가에게 고통이었을까

여느 때처럼 쏟아지는 일로 바쁘게 움직이던 밤, 직원 한 분이 토로하듯 말을 내뱉었다. 모두가 느끼지만 입 밖으로 꺼내지 않았던 그것. "제가 알려주는 방식이 잘못되었나 싶어요." 입사한 지 한 달이 넘은 신입은 실수가 잦았는데, 이를 지적해 줘도 같은 실수를 반복하곤 했다. 처음엔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했지만 문제가 생길 때마다 원인이 신입에게 있다는 걸 알았을 때 '이번에도?'라는 생각이 스며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이 대화가 자칫 신입의 뒷담화로 흐를 수 있겠다 싶어, 직원분에게 그 문제에 대해 얘기를 해봤는지 되물으며 방향을 틀었다.


원하는 만큼 잘하지 못할 때 좌절감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나는 그를 미워할 수 없었다. 큰 지적을 받고 나서 힘없는 목소리로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하던 그에게서 인턴이었던 과거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누구나 처음이고 어리숙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그 미숙함을 이해하는 환경에서 일해보지 못했다. 뭘 해야 할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회사에서 당장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야 하는 부담감에 떨었던 그날. 책상에 덩그러니 앉아 있는 나를 보던 그 시선이 지금의 신입을 바라보는 시선과 같지 않았을까.


신입 또한 이 일이 잘 맞지 않다는 걸 알고 있었다. 한 번은 단 둘이 식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서로가 생각하는 커리어에 대한 고민을 나눌 기회가 있었다. 그는 가만히 앉아 정해진 문서를 작성하는 사무일보다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서비스직이 더 적성에 맞다고 했다. 그에게는 케이스마다 달라지는 처리 방법을 외우고 꼼꼼하게 처리하는 일이 버거웠을 것이다. 힘없는 목소리를 내던 그날 신입은 개인 톡으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하는 것보다 잘하는 일을 찾는 게 맞지.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그의 힘듦을 위로하기보다 애써 외면하는 건 아닌지 스스로를 나무랐다.


나는 미숙한 이들에게 처음을 고통스럽게 경험하지 않길 바란다. 내가 미숙한 이들의 주변인이라면 감정에 앞서 나무라기보다 어떤 부분에 어려웠는지, 왜 이렇게 하면 안 되는지 차분히 설명할 것이다. 모르는 것에 부끄러워하지 않고 물어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다. 미숙했던 이들이 경험을 쌓고 또 다른 미숙한 이를 만났을 때 너그럽게 대할 수 있도록. 나는 그에게 더 좋은 곳을 찾길 바란다는 말로 답장을 보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라진 여성 컴퓨터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