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범인 Jan 16. 2017

범죄학자가 되는 법

팟캐스트 '범인은 이안에 있다'

이전 글에서 알아본 '범죄학'을 공부하는 이들을 '범죄학자'라 할 수 있겠습니다.


범죄학이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는 특성과 마찬가지로 범죄학자 또한 여러 전문가들이 각자의 범죄와 관련된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범죄'라는 공통되는 주제로 연구를 행하고 있습니다. 범죄와 관련된 그 어느 주제에 대하여 연구한다고 하더라도 그 학자는 '범죄학자'의 범주 내에 있다고 볼 수 있어요.


범죄학 공부하기


'범죄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느 학자가 그렇듯이 (안타깝게도) 공부를 해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범죄학과 관련된 전공을 학부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범죄학을 중심으로 구성된 학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가 가진 교육과정이 선택권을 주지 않는 것 같은 조건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범죄학' 자체가 응용학문이다 보니 학부에서는 바탕이 될 만한 기초적인 학문(예: 심리학, 사회학, 통계학, 경찰학, 법학 등)을 전반적으로 배우는 것이 오히려 미래의 직업 선택권이 넓어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후 대학원 진학으로 범죄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국내 대학은 광운대학교의 범죄학과 (석, 박사과정)와 경기대학교의 범죄심리학과, 범죄학과 (석, 박사과정) 정도가 있습니다. 경찰행정학과 전공으로 다수의 대학에 석, 박사과정도 존재하고 있고요.


하지만 국내 대학교의 범죄학 공부는 워낙 소수의 학교가 이를 제공하다 보니 다양한 분야의 선택이 어렵고 함께 연구하는 교수진의 관심분야와 나의 관심분야가 동떨어진 경우, 원하는 연구를 진행해보는 것에도 한계가 많습니다.


물론 국내에도 심리학, 사회학 등의 내부에서 범죄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시지만, 이 또한 잘 알려지지 않았고, 경찰행정학 내에서 범죄학 연구를 진행할 수 있지만, '경찰'이라는 주제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 전문성이 애매해질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집니다. 


범죄학을 유학을 통해 공부하고 있는 동료들도 그리고 저 또한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미국 유학을 선택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범죄학 분야 내에서 다양한 주제를 선택할 수 있는 해외로 유학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과정일 수 있겠습니다.


범죄학 관련 입학정보


먼저, 범죄학을 공부하고 싶은 청소년분들은 본인이 범죄학을 공부하는 것을 어느 시기에 시작할지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먼저 본인이 범죄학 이외에는 어떠한 것을 공부할지 알 수 없고, 유학도 여러 가지 조건 (어학, 재정, SAT 등)이 가능하다면 학부부터 범죄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을 생각하는 것도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다른 방법은, 국내 대학으로 범죄학을 공부하기 전 기초 학문으로 관심이 있는 학과(예: 사회학, 심리학, 통계학, 기초과학, 경찰학)를 선택해 학부 졸업 이후 대학원 지원을 통해 범죄학을 공부할 수 있겠습니다. 


국내에서 기초 학문으로 대학 재학 중 일 경우, 대학원 지원은 학과를 가진 국내 학교들(광운대, 경기대)이나 경찰행정학과 대학원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본인과 맞는 성질을 가진 학과나 비슷한 연구주제를 가진 교수진이 없다면 불만족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 대학원에 진학했다가 실망감을 가지고 미국으로 유학을 나오게 되는 경우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대학원의 석사의 경우 전액 장학금이 지원되는 일은 거의 없어 재정적인 조건이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장학금의 일부를 해당 학교에서 지원받을 기회가 많고, 학부의 전공에 상관없이 본인이 범죄학을 공부하고 싶은 의지를 확실히 보이면 충분히 진학 가능합니다 (필자의 경우). 영어권 국가에서 학부를 졸업하지 않은 경우, 어학 점수(토플, 아이엘츠)가 필요하며, 미국 대학원의 경우 미국의 대학원 입학 자격시험인 GRE(Graduate Record Examination) 점수도 필요합니다 (유럽의 경우 필요 없음).


이후 박사과정을 염두에 둘 경우, 전액 장학금과 큰 금액은 아니지만 급여(stipend)가 지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지원 시 해당 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금액을 지원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움으로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들 거나 거의 들지 않고, 어느 지역에서 공부를 하느냐에 따라 심지어 이 급여를 모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박사과정 학교를 선정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물론, 그 학교가 나를 받아주느냐 (합격하느냐) 이겠지만, 그것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그 학교에 내가 하고자 하는 연구를 하는 교수진이 존재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는 해당 학교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는데, 막연히 어느 학교를 보아야 하지 싶을 때는, US News에서 전공별로 미국 내 대학의 순위를 정리한 US News Ranking 의 순위 내에 있는 학교를 기준으로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링크 : US News Ranking 미국 범죄학 대학원 순위 


지원 방법 또한 각각 다르며, 이 또한 각 학교 홈페이지를 확인해야 하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석, 박사가 대부분 유사):

Statement of Purpose 혹은 Personal Statement: 내가 왜 이 학교에 지원하게 되었는지, 앞으로 어떠한 연구를 하고 학술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

GRE 점수: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됩니다. 물론 고득점이면 더욱 좋긴 합니다.

TOEFL 점수: 사회과학, 문과의 경우 이공계, 자연계열보다 높은 점수를 요구합니다.

추천서: 2-3명의 본인을 가르치거나 함께 연구한 교수, 직장 상사 등


학부 성적, GRE, TOEFL 우수하지 못하거나, 특별히 부각할만한 장점이 없더라도 명확히 하고 싶은 연구나 해당 학교에 본인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SOP에서 잘 서술하고, 좋은 추천서를 받으면 충분히 박사 진학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비단 범죄학 대학원뿐 아니라 일반 다른 대학원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범죄학의 미래


범죄학은 국내에서 여전히 비주류 학문입니다.


실제로 범죄학을 외국에서 공부한 후, 국내에서의 자리잡기가 어려움을 인식하고 대부분의 경우 국내로 들어오지 않고(혹은 못하고) 잔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대학 내에 학부로서의 학과도 없고, 이미 경찰대를 비롯한 경찰행정학과가 다수 자리하고 있는 상태라 인력의 수요가 확실히 적고요.


이러한 현상이 범죄가 그만큼 우리의 삶에서 심각하게 자리 잡고 있지 않다는 긍정적인 사회임을 보이는 반증일 수 있다면, 그러한 맥락에서라면 저는 개인적으로 이 '범죄학'이 크게 흥하는 것을 원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범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곳이 한정되어있고, 해당 자료의 접근성이 바로 전문성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이 실제 형사정책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사례 또한 접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범죄학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 한다면, '정의로움'이라 하겠습니다. '정의'를 공부하는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criminal justice) 종종 그에 상응하지 못하는 학자들이 지식만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학자'로 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 그 속에서의 모든 것들을 객관화시켜야 하는 것이 우리들 '범죄학자'이겠지만, 그 사이에서 옳고 그름과 사람에 대한 존중을 잊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가르치며 본인들이 하고있는 경우도 봅니다. 


올바른, 정의롭고 합리적인 그런 범죄학자들이 더욱 많아지길 희망해 봅니다.


또한, 이상적인 '범죄학'의 활용은, 그 응용성을 활용해 어디에서든 (예: 직장, 학교, 가정 등) 범죄피해를 줄이고, 잠재적 가해자를 만들지 않는 것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 범죄학이 가져가야 할 미래 방향성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더욱 많은 이들이 '범죄학'의 다양한 주제를 접하고 이야기하게 되는 그 날을 바라봅니다.



추가 범죄학 관련 정보



범죄학자가 다룰 수 있는 다양한 주제 예시


일반적으로 범죄학자가 할 수 있는 공부라고 하면, 쉽게 떠오르는 주제는 '사이코패스', ' 프로파일링'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범죄학자가 다룰 수 있는 주제는 무궁무진합니다.


형법

사형법, 유지해야 하는가?

형벌 판결과 대중이 인식하는 형벌의 정당성

과학적 증거의 법정 활용 기준


경찰

지역 순찰과 실제 범죄율과의 관계

신고가 접수된 후 해결되는 과정의 효율성 검증

주민의 경찰 만족도 조사

수사에 활용될 수 있는 과학기술


형사정책

범죄 피해 예방 정책 기획 및 검증

범죄피해자 지원제도

정부 형사정책 관련기관 운영 효율성

전자발찌 활용 문제


교정학

수감자 정신건강

수감자 교화 프로그램 검증

면회 방식 연구


범죄사회학

지역사회와 범죄율 관계성

조직 폭력 단체 내 사회망 연구

범죄피해를 줄이는 사회적 구조 연구


범죄심리학

형사정책 관리직(검사, 변호사, 경찰 등)의 직무 스트레스

자백을 받아내는 기술

잠재적 가해자의 범죄의지를 줄이는 요소에 대한 연구


잠깐 보면 알 수 있듯이, 위 주제들은 더욱 세분화될 수도 다른 분야와의 연계가 불가피할 수도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범죄에 대한 연구를 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되는 걸까요?


범죄학 기본 과목 (미국 학부 예시)


미국 범죄학 학부에서 기본적으로 들어야 하는 범죄학 과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범죄학 개론 (Introduction to Criminal Justice Systems and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범죄학 이론 (Criminology)

형법 (Criminal Law)

형사사법 체계 (Criminal Procedure)

교정학 (Corrections)

경찰학 (Policing)


이후 각자 다음 중 하나의 전공을 선택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Anthropology, Bachelor of Arts

Cell and Molecular Biology, Bachelor of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ecurity, Bachelor of Science

Criminal Justice (Crime Control and Prevention), Bachelor of Arts

Criminal Justice (Institutional Theory and Practice), Bachelor of Science

Criminal Justice Joint Degrees (CUNY Justice Academy)

Criminal Justice Management, Bachelor of Science

Criminology, Bachelor of Arts

Culture and Deviance Studies, Bachelor of Arts

Economics, Bachelor of Science

Economics Joint Degrees

English, Bachelor of Arts

Fire and Emergency Service, Bachelor of Arts

Fire Science, Bachelor of Science

Forensic Psychology, Bachelor of Arts

Forensic Science, Bachelor of Science

Forensic Science Joint Degrees

Fraud Examination and Financial Forensics, Bachelor of Science

Gender Studies, Bachelor of Arts

Global History, Bachelor of Arts

Humanities and Justice, Bachelor of Arts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Bachelor of Arts

Latin American and Latina/o Studies, Bachelor of Arts

Law and Society, Bachelor of Arts

Legal Studies, Bachelor of Science

Philosophy, Bachelor of Arts

Police Studies, Bachelor of Science

Political Science, Bachelor of Arts

Public Administration, Bachelor of Science

Security Management, Bachelor of Science

Sociology, Bachelor of Arts

Spanish, Bachelor of Arts

Toxicology, Bachelor of Science

출처: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CUNY


범죄학 미국 석박사 교과과정


대부분의 미국 석, 박사의 교과과정은 서로 유사합니다. 


필수 과목 (Required Courses)

Criminological Theory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Policy 

Research Methods

Statistics


이외의 본인의 연구 주제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선택과목을 들어야 하며, 수업과 별개로 박사 자격시험, 논문 제안서 심사, 논문 심사를 거쳐 학위를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석, 박사 기간 동안 지도교수 및 교내에서 연구와 강의 등의 활동을 할 기회가 주어집니다.



연계 콘텐츠

팟캐스트 '범인은 이안에 있다'

에피소드: 범죄학자를 꿈꾸는 너에게 [범죄학 2화] with 범인들 (안드로이드/PC: 팟빵 아이폰: 팟캐스트)

매거진의 이전글 범죄를 공부하는 게 범죄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