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무비리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준수 Aug 20. 2023

영화와 소설의 입체적 경험

영화와 소설 읽기: 단순한 열정

영화 '단순한 열정'은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아니 에르노)의 작품이며, 그 작가의 작품은 모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썼다는 사실로 주목을 받았다. 1991년에 출간된 소설은 연하의 유부남을 사랑했던 사실을 일기처럼 기록해서 당시 화제가 되었다. 그런 소설을 영화로 제작했으니, 평론가들의 관심이 클 수밖에 없었다.

영국 로열 발레단에서 19세에 최연소 수석 발레리노가 되어 유명세를 탔던 세르게이 플루닌이 남자 주인공으로 출연했다. 그는 불륜의 열정에 사로잡힌 남자를 표현하기 위해, 전라 노출을 불사하고 연기했다. 마케팅 관점에서 보면 흥행 몰이를 위한 다양한 조건이 충족된 영화인 셈이다.


소설을 영화로 각색해서 제작할 때, 영화적 표현이 소설의 상상력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가 있다. 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그런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소설을 읽기 전, 소설에 대한 평론을 접한 적이 있었기에 소설의 특징이 무엇인지 대략 알고 있었다.

원작은 중년 여성이 유부남과 사랑에 빠지면서 겪게 되는 고뇌를 밀도 있게 다루었다. 반면, 영화는 남녀 간의 성행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낼 뿐, 여주인공의 내면에서 벌어지는 생각과 감정을 충분하게 담지 못했다고 느꼈다. 그래서 원작의 각색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작 소설을 읽었다.


소설은 여성의 내면에 대해 솔직하고 담담하게 묘사했다. 두 남녀의 육체적 사랑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영화는 소설과 다르게 각색했다. 마치 소설의 행간에 감춰진 남녀의 육체적 열정을 절묘하게 찾아내어 구체적으로 그려낸 것 같았다. 여성의 심리를 표현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시도하였다. 다만 그 시도를 남성 관객의 입장에서 감지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같은 이야기를 매체적 특성에 맞게 최적화된 방식으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소설과 영화는 상호보완적이었다. 소설은 심리적 묘사로, 영화는 육체적 이미지 재현으로 호기심과 상상력을 충족시켰다. 두 가지의 경험은 동일한 이야기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만들었다.


영화는 소설을 읽지 않았다면 이해하지 못하거나, 무심코 지나칠 장면이 많았다. 책을 읽기 전 영화를 보았을 때는, 남녀의 성적 관계가 사실적으로 표현되고 중심경로로 부각되었다. 그로 인해 디테일한 심리 묘사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주변경로가 되어 스쳐버렸다. 여성 관객은 디테일한 주변경로에서 소설의 심리적 재현을 감지했을지 모른다.

책을 읽고 영화를 다시 보면서, 감독(다니엘 아르비드)이 소설에서 중요하게 언급하는 심리와 행동을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지어 소설에서 직접 언급되지 않았던 장면들을 모두 영상으로 표현하면서, 소설의 여백을 채워주고 완성시켰다는 인상마저 들게 했다. 감독은 매체의 차이를 고려하여, 여주인공의 욕망, 기다림, 설렘, 그리움, 슬픔, 공허 등의 복잡한 감정을 이미지화시켰다.


이 모든 이미지 제작은 여배우 라에티샤 도슈의 연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녀의 섬세한 감정 연기가 돋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감독은 그녀의 얼굴을 클로즈업하여, 다양한 감정을 담았다. 그녀는 눈빛, 눈물, 표정, 낯빛, 심리 등의 미묘하며 다양한 면모를 연기했다. 영화에서 여배우의 연기력만으로 의미 전달이 어려운 소설의 심리 묘사는 음악을 사용하기도 했다. 친숙한 노래와 가사를 통해 여주인공의 심리 상태를 대변한 것이다.


끝으로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왜 단순한 열정인가?

단순함에는 명료해서 쉽다는 특징이 있지만, 이 작품에서는 강력하고 거부할 수 없다는 특징으로 다가왔다. 온통 한 사람을 생각하게 만들고 빠져들게 만드는 열정은 개인의 의지로 극복하거나 외면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다. 순수한 열정 그 자체이기에 헤어 나올 수 없다는 의미에 가깝다.

사랑에 빠져본 적 있는 사람은 온통 상대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하여 기쁨과 슬픔을 극단적으로 오고 가는 경험을 했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을 작가는 고스란히 글로 기록해 두었다. 가치판단을 배제한 채, 솔직한 감정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감독은 그 감정을 영화적인 방식으로 이미지화하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애틋함을 유머로 감싸 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