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군 Oct 30. 2019

영화 82년생 김지영 리뷰

82년생 김지영을 기준으로 우리시대 어머니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조남주 작가가 쓴 동명의 책, 82년생 김지영을 토대로 만든 영화다. 그래서 어딘가 비뚤어져 있는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을 적시하는 남자들에게 공유와 정유미는 졸지에 '믿고 거르는 배우'가 되었고 영화를 향한 변명같은 기사와 인터뷰는 지금도 쏟아져 나오는 중이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원작을 읽어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원작처럼 남자를 편협하게 그리지 않으려 애쓴 티가 많이나는 영화다. 각색과 연출을 맡은 김도영 감독과 함께 각색을 한 유영아, 김효민 분들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알것 같은 대목이다. 버스에서 '김지영(정유미)'을 성추행 하려는 학생은 정말 짧게 지나가고 김지영이 근무하는 회사 화장실에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장면 또한 은근슬쩍 지나간다. 김지영에게 택시 안에서 남자들을 대표하여 이런저런 항변을 하는 택시 운전기사는 잘려나갔으며 그 외에도 원작에서 두드러졌던 김지영의 학창시절이 영화에는 거의 실려있지 않았다. 첫째 딸(공민정 / 김은영 역) 과 둘째 딸(김지영), 그리고 막내 아들(김성철 / 김지석 역)로 대변되는 한국의 남아선호사상 씬도 비중이 크지 않아, 여러모로 각색을 잘 했다는 생각이 드는 영화다.





대신 원작처럼 '빙의'로 유발되는 김지영의 정신병이 영화를 이끄는 큰 소재로 자리매김했다. 그래서 덕분에 시부모님과 친정 어머니의 비중이 늘었으며 우리 어머니 세대가 자식들에게 얼마나 양보하고 남편 뒷바라지를 하며 자신의 삶을 불태웠는지 잘 보여준다.




특히 오빠들을 뒷바라지 하느라 선생님이 되고 싶었던 꿈도 접은채 공장에 들어가 미싱을 돌리던 손에 난 상처를, 어머니의 어머니(외할머니)로 빙의하여 김지영이 미안하다고 하는 장면은 어머니를 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눈물을 흘릴만한 장면이었다.

영화 82년 김지영에게 영화적 평가를 내리자면 원작에 비해 상당히 잘 만든 영화라고 할 수 있겠다. 82년 김지영을 옹호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 남자들이 분노를 일삼으며 키보드 워리어가 되어갈 동안 여성 감독과 여성 각본가는 전혀 편협하지 않은 시선으로 스크립트를 써내려갔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이시대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만한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다. 원작에 구구절절이 쓰여져 있던 남자들을 향한 어줍잖은 성차별적인 시선도 별로없고 어느날 갑자기 '맘충' 이라고 불리게 된 억울한 누명을 쓴 82년생 김지영의 말도안되는 항변이나 변명도 없다. 세상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육아휴직을 내려면 회사의 눈치를 봐야하는 남성들과 임신을 하면서부터 경력단절을 각오해야 하는 여성들을 포함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모든 부부들의 현실을 잘 보여주는 영화다.





82년생 김지영을 시작으로 각종 미디어에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나오기만 하면 닥치고 추앙하는 여자들도 웃기고 그걸 꼴같잖게 여기며 한심한 댓글을 다는 남성들도 웃기다. 남자나 여자나 되도않는 젠더 싸움을 할 시간에 서로를 어떻게 하면 더 잘 이해하고 보듬어 줄 수 있을까 고민을 했으면 좋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