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군 Sep 27. 2016

카트

저 생활비 벌러 나와요. 반찬 값 아니고.



저희가 바라는건 큰 게 아니에요. 저희를 투명인간 취급하지 말아달라는 거에요. 
저희의 이야기를 좀! 들어달라는 거에요.


















이 영화를 보고 한국에서 서민의 위치에서 살아가는건 정말 쉽지 않다고 다시한번 느꼈다.



비겁하거나 힘이 없거나
자신이 세상과의 싸움에서 졌다고 느낄 때 사람은 가끔씩 지금 이 현실 속의 세상과 우리의 정부, 나라를 탓하곤 한다.


깊이 들어가서 관심을 가질 수록 답이 없어보이는 정치와
못사는 사람들을 더 못사게 만드는, 마치 먹이사슬 처럼 엮여져 있는 빈부의 격차와
가진 것 하나 없어 자식에게 해줄게 별로 없는 부모님의 모습을 볼 때


생각을 해 본다.


이 모든 것은 누구의 탓이냐고.



'네 자리에서 묵묵히 열심히 살아가다 보면
언젠가 쨍-하고 해 뜰 날이 오지 않겠냐?' 라는 낭만적인 만들도
하루아침에 당신이 일하는 회사에서 부당하게 해고 통지를 받게 된다면 그냥 다 개소리고 꿈에 절은 망상일 뿐이다.



내 자식은 수학여행을 가냐마냐 하는 고교시절 여러 난제 중 하나에 봉착 해 있고
출장을 떠나 돌아올 기미조차 안보이는 남편은
집에 전기가 끊겼는지 어떤지 일말의 관심조차 없고
싱글맘이라는 핸디캡도 다른 이들에겐 '고작 애 하나 주제에' 라는 속편한 고민으로 치부되는 현실 속에서
마트에서 근근히 살아가다가 하루 아침에 다른 업체로 팔려가게 된 '여사님' 들은
노동조합을 만들게 된다.
조합의 '조' 자도 모르는 사람들이 말이다.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지금 부천 이마트가 있기 전,
이랜드가 가지고 있던 '홈에버' 캐셔들의 이야기이다.
(실제로 저 사태가 일어났을 때 아주 멀리서 들리는 메아리 처럼 기사로나마 흐릿하게 인지했던 기억이 있다)


그저 비극적인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얼결에 마트에서 지내게 된 사람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그래도 낭만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이 좋았다.


하지만
언제고 나에게,
그리고 당신에게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현실이라서
한편으로 너무 무서웠다.
(이렇게 굳이 영화로 만들지 않았다면, 나같은 사람에게는 그저 빨리 잊게 되는, 잊으려고 인지하지 않아도 그저 흘러가게 되는 이야기였을 뿐일테다)







+
중간중간
마치 실제 인물들을 모셔온것 같은,
인터뷰 형식의 자기소개 씬에서는 가슴 속에서 뜨거운게 올라올 만큼 절절했다.



++
등장하는 배우들의 연기 또한 거의 미쳐있다.
염정아누님-문정희로 이루어진 투톱은 
이 영화가 그들의 필모그래피에 묵직하게 남게 됨에 틀림없다.
그리고 아역으로 나온 두 사람,
도경수와 지우.


도경수는 아이돌이 연기하는걸 혐오하리만치 싫어하는 나에게
처음으로 그 선입견을 깨준 배우다.

강혜정의 리즈시절을 꼭 빼닮은 지우도 앞으로가 기대되고.





+++
인터스텔라의 광풍에 이 영화가 국내 박스오피스에 끼치는 영향은
홈에버 캐셔들이 관리부와 윗선들에게 던졌던 모래알 처럼 미미하지만
심장을 울리는 영화다.
(작금의 국내 정세와도 너무 닮아있어서 더욱)  


매거진의 이전글 거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