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군 Mar 04. 2018

영화 리틀 포레스트 후기

본격 태리야끼의 먹방 영화.

나, 배고파서 내려왔어.




고모는 고모다. 이모가 아니다.




온기가 있는 생명은 다 의지가 되는 법이야.




뭘 그렇게 어렵게 사냐.




그렇게 바쁘게 산다고 문제가 해결이 돼?













본격 태리야끼의 먹방 영화.



시험, 연애, 취업 문제들을 날려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의 이야기.



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힐링, 치유, 시간, 삶 등을 논하는 영화다. 점점 살기 팍팍해져 가는 이 시대에 꼴랑 농촌을 그린 영화 한 편으로 힐링이 될리 만무하지만, 철이 들기도 전에 혼자 살기 시작하여 대학에 들어가면서 바로 서울로 올라왔던 '혜원(김태리)' 이 고향집에 다시 '돌아오면서' 그녀가 셀프 메이드로 해 먹는 음식들은 '아 나도 저렇게 해 먹고 싶다' 라는 동조를 불러일으키기엔 충분하다.




노량진의 고시촌에서 남자친구와 함께 임용고시를 준비하던 혜원은 낙방의 아픔을 뒤로하고 자신의 몸과 옷가지 몇 벌만 들고 나머지는 모두 버려둔 채 고향으로 돌아온다. 엄마와 함께 살던 집에 아무도 모르게 홀로 살아가고 싶었던 혜원을 고모와 옛 친구들이 가만 두지는 않고 그녀의 마음을 달래준다. 허기를 느껴 서울에서 고향집으로 온 거라는 그녀의 대사처럼 혜원은 영화 내내, 쉴새없이 먹는다. '저렇게 먹어도 될까' 싶을 정도로 심하게. 농약을 전혀 치지 않고 혼자 힘으로 만들어낸 재료들로 우리가 쉬이 만들 수 있는 김칫국, 수제비 부터 막걸리, 단밤조림, 난생 처음보는 꽃 튀김 까지. 



F1 그랑프리의 속도전을 방불케하는 요즘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오로지 먹고 재배를 하고 수확을 하는 겨울-봄-여름-가을 그리고 다시 겨울을 그리는 이 영화는 '그냥 다 버리고 하고 싶은 거 해봐' 라는 은근한 동조를 관객에게 전한다. 실제로 영화에 등장하는 혜원의 엄마(문소리) 는 딸이 고등학교도 졸업하기 전에 남편 때문에 지워버렸던 자신의 '무언가' 를 찾기위해 딸을 버리고 영영 떠나버린다. 






평생 엄마를 원망하고 '자신보다 먼저 가출해 버린' 걸 질투하지만 마치 망령처럼 그녀의 기억에 콕콕 박혀있는 엄마의 음식 레시피 덕분에 서울에서도 고향에서도 멋지게 배를 채우며 생존하게 되면서 엄마가 자신에게 남긴 '유산' 처럼 엄마를 똑 닮아간다. 대학교 입학 통지서가 도착하자마자 혈혈단신 서울로 상경한 것도 그렇고 갑자기 고향에 온 자신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준 고모와 친구들에게 말 한 마디 없이 쪽지만 남긴채 사라진 것 역시 엄마를 닮았다. 혜원은 영화 내내 '나는 상처 받았으니까, 너는 위로나 해' 라는 자세를 꼿꼿이 유지하지만 그녀에게 아무 댓가없이 온정을 배푸는 인물들(엄마, 전남친 제외) 이 좀 안쓰러워 보였다.










현대 사회의 최대 화두(?)인 회사에서의 승진과 업무 스트레스, 꼬여만 가는 연애, 보이지 않는 결혼, 가족과의 갈등 등을 모두 배제시킨 영화지만 '너흰 이렇게 못하잖아' 라는 말을 건네는 듯한 임순례 감독과 원작(만화) 이 있는 리틀 포레스트의 스토리는 '대리만족' 이라는 명분인 허울뿐인 영상미, 농촌에 대한 환상 따위를 관객에게 보여주며 '이제 숨 좀 쉬고 살자' 라는 웃기지도 않은 위로같지 않은 위로를 한다.



리틀 포레스트를 보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서울이나 수도권에 있는 모든 청년들이 '에라 모르겠다' 하고 귀농을 했을 경우 한국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하는. 서울에 몰빵이 되어있는 대한민국이라는 시스템 속에서 농촌에 대한 환상을 품고 지방으로 내려가서 살려는 청년들이 과연 몇 이나 될까. 이 영화를 보고 '아 나도 다 때려치고 농사나 짓고 살아야 겠다' 라고 생각하는 바보들이 있을까? 느림과 자연, 그리고 유기농 이라는 유혹에 혹하기엔, 온갖 시스템에 묶여 사는 우리는 이미 너무 멀리 와버린 것 같다.


임순례 감독은 영화 속에서 혜원의 입으로 '분명히 농촌은 좋지만 그만큼 어렵기도 하다' 라는 이야기를 하기는 한다. 그래도 귀농에 대한 호기심이 0.1 정도 생기는 건, 그만큼 영상과 유기농 식단 조리법을 너무 잘 그려낸 탓이다. 거의 환상에 가까울 정도로(무슨 음식 영화인줄?).



굳이 극장에서 볼만한 영화는 절대 아니지만 영화 '아가씨(2016)' 이후, 자신의 필모그래피를 채우려 꽤 독보적인 길을 걸으려고 하는 김태리 때문에 굳이 극장에서 본 영화다. 


일본의 원작 만화가 있는 영화지만 원작자나 일본 내에서 원작보다 너무 훌륭하게 그려냈다는 발언을 여기저기서 들었기에 굳이 원작까지 찾아볼 영화는 아니다.







당신이 진짜 힐링을 원한다면 이 대책없는 영화를 보지 말고 가까운 교외나 해외에 나가 녹음과 자유(?) 를 만끽하는 걸 추천한다.

(본격 퇴사 권장 영화)



하지만 뜬금없이 영화가 전달하는 본작의 제목이기도 한, '당신만의 작은 숲을 만들어라' 라는 말엔 많이 동의한다. 현실에 치여 살기만 하다 어느새 늙고 병든 자신을 돌아봐 봤자 후회만 남는 시대니까. 나의 리틀 포레스트가 뭘까 생각해 봤는데 음악, 책, 일주일에 극장에서 한 편(?)씩 보는 영화, 만화, 글, 게임, 가끔 친구들을 만나서 나누는 수다,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식사, 늘 남몰래 하는 공상 정도다(꽤 많네). 당신도 어서 당신만의 작은 숲을 만드시길. 안 그러면 재미없는 뻔한 어른이 되고 말 테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쓰리 빌보드 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