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Xevangelist 19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적진 Mar 09. 2024

앞으로는 무엇을 통해 보고 살까?

앞으로 오게 될 바보상자는?





미디어포털 자료와 구글 제미니를 사용하였습니다


ai 이미지 분석해 줘~~




분석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방송/동영상 사용 시간 비율이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5.9%에서 17.6%로 증가)
인스턴트 메신저, 포털 애플리케이션, 뉴스, 게임, 사진/카메라, 음악, 소셜 네트워킹, 책/만화(웹툰) 사용 시간 비율은 감소했습니다

1. 방송/동영상: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증가한 방송/동영상 사용 시간 비율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발달과 콘텐츠의 다양화, 5G 네트워크의 확산 등이 방송/동영상 사용 시간 증가를 촉진할 것입니다.


2. 게임:
게임 시장의 성장과 모바일 게임의 발달은 게임 사용 시간 비율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정부의 게임 규제 강화나 다른 앱의 성장에 따라 게임 사용 시간 비율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인스턴트 메신저: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미 높은 사용 시간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포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의 등장에 따라 사용 시간 비율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4. 포털 애플리케이션:
포털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비율은 앞으로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검색 엔진의 발달과 다양한 앱의 등장으로 인해 포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목적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5. 기타 앱:
뉴스, 사진/카메라, 음악, 소셜 네트워킹 등의 앱 사용 시간 비율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핀테크, AR/VR 등의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앱들이 등장하고 기존 앱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앱 사용 시간 비율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방송/동영상, 게임, 인스턴트 메신저는 앞으로도 높은 사용 시간 비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포털 애플리케이션, 뉴스, 사진/카메라, 음악, 소셜 네트워킹 등의 앱 사용 시간 비율은 감소하거나 큰 변화 없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 핀테크, AR/VR 등의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앱들이 등장하고 기존 앱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앱 사용 시간 비율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료를 보면

기존 강자는 인스턴트 메신저입니다

카톡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의 성장입니다

22년까지 통계자료니 다들 아시듣 코로나 영향으로 동영상 플랫폼 성장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직 AI 등장은 반영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게임 포털 sns의 매년 축소되고 있습니다

시장은 크지만 감소추세입니다


제가 관심 있게 보이는 것은

생활정보, 쇼핑, 지출관리 금융앱의 증가입니다


쇼핑 금융거래 그리고 생활정보..... 당근앱(?)의  성장과 연관이 있을까요 ㅋㅋㅋ


제가 주장하고 싶었던 것은 포털의 시대가 가고 SNS의 시대가 올 것이다라는  자료를 만드고 싶었는데

자료보고... 어....


메신저 기능에 쇼핑 금융거래와 생활정보 재공 하는 형태가?

그것을 동영상으로?


동영상보고면서 소통하고 영상과 관계있는 것을 구입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형태의 앱?

바로 딱 떠오르지는 않지만...(저는 x라고 이야기하고 싶지만 ㅋㅋㅋ 아직 멀었습니다)


그런 형태가 앞으로 포털의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강자가 될 것 같은데요





이전 18화 새로운 기능 "아티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