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타 Aug 12. 2020

숲만 추구해서 더욱 아쉬운 드라마 ‘보이스 1’

OCN 보이스 1 비평

숲만 추구해서 더욱 아쉬운 드라마 ‘보이스 1’


 2017년 1월, 말년병장이 됐다. 처음엔 좋았다. 하지만 이내 권태를 느꼈다. 군필자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말년병장 때의 시간은 참으로 무의미한 시간의 연속이기에... 어느 날, 하릴없이 리모컨을 붙들고 TV 채널만 돌리고 있었다. 그때 드라마 한 편을 발견했다. 드라마를 본 건지 영화를 본 건지 헷갈리게 만든, 특별한 매력을 지닌 드라마였다. 이는 곧 필자를 포함한 생활관 모든 전우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바로 김흥선 연출의 드라마 ‘보이스 1’이다.


∗ 스포일러가 들어가 있습니다. 정주행 끝내신 분들이 읽기를 추천합니다.

∗ 전역 후 쓴 글을 다듬었습니다. 3.5년 전의 글이네요... ㅎㅎ

∗ 이후 보이스 2,3 비평을 연재할 예정입니다.


#1. 소리와 서스펜스의 극대화


 과거, 사고로 인해 눈을 다쳤지만, 청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경찰 강권주. 그는 남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감지해 사건을 해결한다. 이 성문분석 수사법을 위해 ‘보이스’는 소리의 사용을 극대화했다. 각종 도구에서 나오는 청각적 요소를 활용해 극에 긴장감을 조성했다. 서스펜스의 활용도 돋보였다. 피해자와 가해자를 번갈아 잡아주는 숏 테이크와 교차편집은 극의 서스펜스를 증폭시켰다. 범인을 목전에 두고 드라마를 끝내버리는, 시청자와의 밀당 편집까지 완벽했다. 이 서스펜스는 ‘보이스’의 전매특허로 자리 잡았다. 필자 또한 미치게 만들었다.     

#2. 나무를 돌보지 않았던 ‘보이스’


 완벽할 줄 알았던 ‘보이스’. 하지만 스토리 전개 방식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다. 큰 얼개였던 피카레스크식 구성은 좋았다. 그러나 섬세함이 부족했다. 사건에 숨겨진 뒷이야기, 이를 대사에 의존해 풀어나가는 경향이 짙었다. 이 과정에서 강권주는 감정적으로 변하고 사건 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무진혁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 때문에 시청자는 점차 소모적인 피로감을 느꼈다. 또한 컨트롤 타워에서 청력을 활용한 강권주의 오더, 현장에서 패기를 활용한 무진혁의 행동. 이 둘을 활용한 사건 해결 방식은 정형화되었고 이는 진부함으로 직결됐다. 즉 스토리 전

개의 동력을 잃어버리는 원인이 됐다. 숲만 추구하고 나무는 보살피지 않은 드라마의 전형이었다.     


#3. 씨앗도 보살피지 않은 ‘보이스’


 곳곳에서 나타나는 설정의 어색함, 즉 씨앗을 보살피지 않은 모습도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신고 후 3분 이내에 현장에 도착하는 걸 목표로 하는 ‘골든타임 팀’. 우리나라에서 3분 내에 현장에 도착할 수 있는 ‘최적의’ 신고센터 위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경찰이 너무나도 무능하게 나온다. 주인공인 무진혁 형사 또한 폭력 원툴이다. 뭐... 현실 고증이니 드라마적 허용이니 그러면 할 말 없지만 아쉬운 설정이었음은 분명하다.



출처 : OCN 보이스 시즌 1


 장르 드라마의 힘은 스토리에서 나온다. ‘보이스’의 스토리는 숲만 보고 나무를 보지 못했다. 씨앗도 보살피지 못했다. 나무를 보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장면을 담아 극을 전개하든지, 아니면 사건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좀 더 담아냈으면. 강권주, 무진혁이 아니라 다른 캐릭터의 비중을 늘려 사건을 다채로운 방식으로 해결했으면. 그리고 씨앗을 잘 보살피기 위해 입체적인 설정을 담아냈으면. 정주행 후, 무의미한 가정만이 머릿속을 부유하던, 그리고 그만큼 애착을 갖고 봤기에 더욱 아쉬웠던 드라마 ‘보이스’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른 멜로의 선물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