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내맘대로 Aug 06. 2023

한국 사회가 추구하는 인재상

산업 혁명을 통해 근대 사회가 시작되면서, 사회는 특정한 부류의 인재들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인재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인간적인 감정을 쉽게 억제할 줄 아는 사람

2) 비인간적인 학습량을 견뎌내는 사람

3) 조직을 위해 개인을 버릴 줄 아는 사람

4) 조직을 위해 다른 개개인들을 도구화시킬 줄 아는 사람

5) 조직의 명령에 복종하는 사람


이 조건에 맞는 사람들이 근대 사회의 엘리트로서 자본가의 훌륭한 도구로 쓰여왔고, 그들이 만들어낸 기업-정부 복합체는 국가를 빠른 속도로 발전 시킬 수 있었다. 그런 역사적 경험은 현대에 와서 지금까지도 국가적 인재상에 대한 뚜렷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는 다음과 같은 사람을 인재라고 부른다: 


1) 비인간적인 분량의 비인간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학습 내용을 머리에 집어 넣을 수 있는 사람

2)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때에 따라 개개 인간을 도구화 시켜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이뤄낼 수 있는 사람

3) 자신의 취향이나 타고난 적성보다 사회적 요구에 자신을 잘 맞출 수 있는 사람


근대 사회와 비교해서 달라진 부분이 있다면? '조직에 충성하기' 항목이 사라진 것 뿐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조직에 대한 충성은 여전히 정부와 기업이 원하는 항목이지만, 먼저 그런 시대를 살아온 수많은 사람들이 오늘날 학부모가 된 덕분에 그에 대한 항목은 점점 아무도 동의하지 않게 되었다. 


그렇다면 지금의 현대 사회가 추구하는 인간상은 무엇일까?


바로, 싸이코패스 다.


즉,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얼마나 사회적 요구에 맞게 싸이코패스로 변할 수 있는지, 얼마나 싸이코패스로서 일을 잘 수행하는지를 자랑한다. 학부모들은 자기 아이가 얼마나 이 사회에서 쓸모 있는 싸이코패스가 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널리 자랑한다. 혹 자기 아이가 옆 집 아이보다 '덜 싸이코패스화'가 될 것 같으면, 어떻게 하면 더더욱 싸이코패스적인 기질을 갖출 수 있을까 고심하며 전전긍긍한다. 


그런데,


아무리 인간이 노력해도 싸이코패스적인 기능면에서 절대 따라잡을 수 없는 기계가 현재 한창 개발되고 있다. 그게 바로 AI 다. 


20세기에 이어 21세기까지 전세계는 어떻게 하면 한 사람을 비인간적인 학습을 견디고 습득하며 그에 맞는 출력물을 내놓는 존재로 교육 시킬지를 고민했다. 그런데 AI는 가장 훌륭한 천재 한 명이 평생을 노력해도 습득하지 못할 학습량을 수 초만에 기억하고 절대로 까먹지 않을 뿐 아니라, 학습한 데이터로부터 '창의적인' 출력물을 쉬지 않고 내놓는다. 그리고 그런 AI의 기능은 매 년이 아니라, 매일, 아니 어쩌면 매 분마다 조금씩 향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교육 현장에선 근대의 인재상과 별로 다르지 않은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작가의 이전글 한국 공동체의 소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