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로 Nov 19. 2016

훼방

글로 나아가는 이 

서울의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면,
사람들의 다양한 행동에 대한 호기심이 생성될 때가 있다. 
이번 이야기를 쓰는 이유는,
어떤 호기심과 어떤 불편한 감정 하나의 결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의문은 수많은 궁금증 가운데서 
단 하나를 발제한 것에 불과하다. 

출, 퇴근 시간 열차를 이용하다보면 
열차가 가득 차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들끼리 서로 몸을 부딪히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역에서 역으로 도착했을 때 
하차하기 위해 출입문이 열리는 그 순간이다.  

출입문 앞까지 열차는 사람들로 꽉 매워져 있고, 
그 중 누군가는 열차밖으로 나가야 하고, 
또 누군가는 열차안에 남아 있어야 한다. 

서로 뒤섞여 혼란은 예상되고,
어김없이 '치익'소리와 함께 문이 열리자,
사람들은 서로 부딪히며, 고함을 지른다. 

결코 내리지 않으리라, 이를 꽉 물고, 절대 어깨를 돌리지 않는 아주머니부터
손잡이를 잡고 내 이 팔이 끊어지더라도 비껴서지 않으리 각오를 씹는 아저씨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

과학적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이상한 상황을 지켜보며
 나는 내 나름대로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내렸다가 타면 되는데..." 

쉽다.
머릿속으로는,
하지만 결국 나 또한 비켜서지 않은 것이다.


"결국 문제해결의 시작은 생각이 아니라, 행동에서 비롯된다" 


-------------------------------------------------------------------------------
 
만석의 지하철에는

만삭의 아내가 타고 있다. 

좀 내릴게요.

비켜주세요.

제발......

당신들은 내렸다 다시 탈 수 있지만 

이 아이는 한번 내리면 다시 탈 수 없어요.  
그러니까 제발... 

남편은 어디 있어요? 

아이고, 젊은 아가씨가 어떡해? 
애가 나올려고 하는거여? 
엄마, 저 아줌마 임신했나봐. 

등록된 병원이 어디에요? 


......

절체절명의 시간에
나는 그날
불을 질렀다. 


내가 불을 지른 열차에서 
당신은 과감히 내리기를 바란다. 

-훼방, 글로 나아가는 이- 


 

매거진의 이전글 제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