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골목길 경제학자 May 28. 2024

더 많은 로컬 매거진이 성공하려면

더 많은 로컬 매거진이 성공하려면


로컬 매거진은 단순히 지역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를 넘어, 지역 정체성을 구축하고 로컬 브랜드와 크리에이터를 발굴하며 새로운 지역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로컬 매거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와 더불어 지역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로컬 매거진의 비즈니스 모델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매거진 발행을 통해 지역 브랜드를 발굴하고, 이를 오프라인 편집숍에서 판매하며, 나아가 지역 특화 상품을 직접 개발하는 '로컬 매거진-로컬 편집숍-로컬 제조업'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다. 제주의 '리얼제주 매거진〈iiin〉'을 발행하는 재주상회가 이런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이는 로컬 콘텐츠를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두 번째는, 종이 잡지의 한계를 뛰어넘어 웹진 형태로 발행하는 것이다. 패션 웹진 '아이즈매거진'은 로컬 매거진은 아니지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유통 전략이 눈여겨볼 만하다. 웹진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이 용이하고 업데이트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는, 특정 지역문화에 특화된 콘텐츠 IP를 개발해 웹툰, 캐릭터, 지역 특산품 등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는 매거진 콘텐츠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지역 고유의 문화 자산을 IP로 활용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이 안착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선, 지자체는 로컬 매거진의 전문 인력 양성에 힘써야 한다. 지역 대학과 연계해 매거진 제작 실무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우수한 지역 인재가 로컬 크리에이터로 발굴될 수 있도록 공모전이나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로컬 매거진의 기획력과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지자체는 우수 로컬 매거진을 선정해 제작비와 운영비를 일부 보조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 특히 창간 초기 단계의 매거진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초기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 관점에서 로컬 매거진의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셋째로, 지자체가 나서서 지역 기업의 로컬 매거진 광고 게재를 독려하고, 광고비 일부를 보조해 주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는 매거진의 재정적 자립도를 높이고 안정적 운영을 돕는 동시에, 지역 기업에게도 효과적인 마케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로, 로컬 매거진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유통망 확대가 시급하다. 관공서, 도서관부터 호텔, 게스트하우스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로컬 매거진을 만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 지역 방문객들이 매거진을 통해 지역 정보를 얻고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마포구의 '마포 사이골목' 프로젝트처럼, 지자체가 로컬 매거진과 지역 소상공인, 문화예술인 등 다양한 주체 간 협업을 주선하고 공동 마케팅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 상품, 서비스 간 시너지를 발휘해 시민들의 관심과 소비를 이끌어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이처럼 로컬 매거진은 지역의 고유한 가치를 발굴하고 브랜딩하는 플랫폼으로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매거진 발행, 편집숍 운영, 지역 특화 상품 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확장성 등은 로컬 매거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이 안착하고 로컬 매거진이 명실상부한 지역 브랜딩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 인력 양성, 우수 매거진 발굴 및 제작 지원, 안정적 광고 수익 확보, 유통망 확대 등 지자체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로컬 매거진이 지역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연결하고 협업을 촉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로컬 매거진의 성공을 위해서는 매거진 제작자의 열정과 역량, 지자체의 체계적 지원, 지역 공동체의 관심과 참여가 선순환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로컬 매거진은 지역의 숨은 가치를 재발견하고, 지역민의 자부심을 고취하며,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오후서재 #신도시키드 #비마이크



매거진의 이전글 로컬 크리에이터가 하는 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