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버 May 23. 2019

#3. 어차피 나가는 돈, 다 똑같은 지출 아닌가?

지출을 분류해서 내 소비 패턴을 분석해보자




연봉은 얼마 정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대기업 공채에 모두 탈락하고 졸업한 후 보러 갔던 중견기업 계약직 면접이 끝나갈 때 즈음, 면접관 한 분이 장난스레 던진 질문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대답을 못할 거라고 생각하셨던 것 같지만, 나는 나름대로 생각해둔 금액이 있었다. “제가 생활비를 계산해보니, 2800만 원 이상은 받아야 저축을 하면서 살 수 있습니다.” 사뭇 비장한 내 대답에 약간 놀라시던 그분은, 몇 주 후 나의 첫 팀장님이 되었다. 첫날 출근하자마자 받아 든 계약서에 적혀 있는 연봉은 다행히도 내가 얘기했던 금액보다 넉넉했다. 


그 이유는… #1 참고


   물론 연봉은 보통 업계와 직종, 기업 규모에 따른 ‘시세’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갓 졸업해 경험도 정보도 부족했던 나는 일단 최소 생활비를 바탕으로, 미래를 위해 저축을 할 수 있으면서도 생활이 너무 쪼들리지 않을 수준인 연봉의 하한선을 그려보았었다. 얼마를 벌든 종잣돈을 빨리 모으려면 맨밥에 김치만 먹으며 방 안에서만 살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렇게 몇 년간 허덕이면서 인간미와 건강, 무엇보다 일하는 보람을 온전히 지킬 자신이 없었다. 

   아무튼 희망 연봉을 설정하려면 가장 먼저 내가 한 달에 얼마나 쓰는지 확인해야 하니, 가계부 앱을 켜서 몇 달간의 기록을 정리해 평균을 내보았다. 비목에 따라 지출 금액이 들쭉날쭉해서 평균값이 큰 의미가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필요 생활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려면 지출의 성격에 따라 나누어 계산해야 한다. 그때 최소 생활비를 구하는 데 사용했던 아래 표는 지금도 종종 유용하게 쓰고 있다. 그다음에 1년간 1,000만 원을 모으기로 정하고, 매달 적금으로 나가야 하는 금액을 더했다.



   고정지출은 매달 꾸준히 나가는 돈, ‘부족하면 생활에 타격을 입는 돈’이다. 나는 편의상 전세보증금 대출 이자, 관리비, 공과금만 고정지출로 분류하지만(그 이유는 다음 글에), 식비나 휴대폰 요금, 교통비처럼 일정 금액이 매달 나가는 항목이라면 모두 여기에 들어간다. 고정지출은 아주 기본적인 생활비에 가까워서 금액을 줄이기가 쉽지 않다. 더 경제적인 요금제를 찾거나, 월세가 더 낮은 집으로 이사하는 등 품을 들여서 근원을 찾아 조정해야 한다. 

   변동지출은 시즌을 타는 돈, ‘생존보다는 삶의 질에 더 관여하는 돈'이다. 유흥비, 미용이나 의복, 비품/소모품 구매 비용 등이 있다. 모임이 유독 많은 연말연시나 새 옷을 사는 환절기 등 시즌이 다가올 때 미리 형편에 맞는 예산을 정해두고 통제하지 않으면 과하게 써버리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내가 이 돈을 언제 다 썼지?) 만약 드레스코드가 엄격한 회사에 처음으로 취직한다면 구두나 어른스러운 옷 등을 갖추기 위해 돈이 꽤 들어가니 참고하자.

   나는 월급날을 며칠 남겨두고 다음 달 예산을 짜는데, 제일 즐거운 순간이 바로 변동지출 예산을 나눌 때다. 큰돈은 아니지만, 얼마까지 자유롭게 쓸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이번 달엔 무얼 살까 궁리하는 게 즐겁다. '이번 휴가 때는 얼마를 들여서 어디에 가야지!’를 매달 소소한 버전으로 한다는 느낌이랄까. 취직 후 약 두 달간 자유를 즐긴 다음, 다시 예산을 짤 때 변동지출 총액은 학생 때보다 20만 원 정도만 늘렸다. 한번 씀씀이가 커지면 다시 줄이기는 어려우니, 벌이가 아주 후해지지 않는 이상 섣불리 소비성 지출의 비중을 키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특별지출은 언제 얼마나 필요할지 예상하기 어려운 돈, ‘생활비와 따로 두어야 하는 돈'이다. 금액은 제법 부담스러운데 갑자기 발생하는 경조사비, 병원비 등이 여기에 들어간다. 특별지출이 연달아 발생하면 생활비를 많이 깎아 먹고, 그 결과 카드빚이 불어나 다음 달도 쪼들리며 지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되도록 생활비에는 손대지 않고 비상금으로 따로 처리한다. (비상금 계좌가 늘 바닥을 보이는 이유) 사실상 거의 통제할 수 없는 지출이지만, 그래도 매달 통장에서 나가는 금액이 2~30만 원 선을 지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위 세 가지가 돈을 써서 사라지는 소비성 지출이고, 돈이 쌓이는 적금이나 펀드, 보험료 등은 비소비성 지출이다. 이렇게 정리해보면 내 생활이 빠듯한 이유가 월세 때문인지, 외식을 많이 해서인지, 저축 비율이 너무 높아서인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종종 위 분석표를 들여다보면서, 지금 직장을 그만두면 생활비를 어디까지 줄일 수 있고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가늠해보며 마음을 다잡곤 한다) 여기까지 깔끔하게 분석해보았다면 이제, 월급 관리의 기본인 '통장 쪼개기’를 진행할 차례다. 


작가의 이전글 #2. 내 월급은 다 어디로 갔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