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oads Jan 03. 2023

아니 에르노의 책을 덮으며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아니 에르노의 '한 여자'를 일 주일 전에 읽었다. 작가의 말대로, 자신의 어렸을 때 그리고 성인이 된 현재까지를 기억하는 유일한 여자는 자신의 어머니다. '한 여자'는 딸의 곁에 있었던 어머니와, 억척스럽고 독립적인 가장, 중산층인 척 하는 열등의식이 강한 여성이 모두 들어 있다.  작가의 어머니를  넘어선 하층 여성들의 삶을 보게 하는 사회적 의미가  있었다. 이 사회적 접근은 나 같은 독자의 취향에 맞았다. 


그런데 어머니의 죽음 직전의 모습을 마치 엑스레이를 보듯 상세히 기록한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는 읽다가 중단했다. 나도 이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치매, 요양원 생활을 지켜보았다. 그래서 글이 살아있다. 작가가 말하는 상황이  내 눈에서 짙게 펼쳐진다. 


글 속에서 어머니가 떠올려지고, 그 곁에 내가 있어서 자꾸 내가 그 분에게 했던 행동이 떠올라서 죄스럽다. 곧 지나갈 시간이라는 것을 알아었야 했는데, 그 당시는 모두가 두려워 직시하지 못했다. 피했다. 아니 어머니의 상황이 아니라, 내 일이 우선이었다. 곧 이 생을 떠날 분이라는 것을 조금 더 인식했다면 좀더 다가갔을 터인데. 김연수의 책, '그트록 평범한 미래'처럼 나는 왜 그때 미래를 깨닫지 못했을까. 우리의 미래는 지금의 모습을 못 벗어날 것이다. 우리의 미래는 현재 나의 상황, 상태, 태도에서 상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변을 보면서 상상할 수 있다.  예측 불가능한 미래가 아니라 우리 손에 잡히는 미래였다. 


그런데 이 책을 읽기를 중단한 가장 큰 이유는 내 현실 때문이다. 이제는 고령층이 된 나이, 이 책 속의 상황이 나의 어머니가 아니라, 바로 나로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건강약자에 속하는 나에게, 어느 악령 영화 속에서 악령이 다가오는 전조로 보여지는 검은 안개가 책을 통하여 스물스물 다가오는 듯 하다.   


상세한 사실적 묘사가 더욱 나를 힘들게 한다. 그 현실을 모르는 것도 아니다. 엄마를 통해 익히 알고 있다. 그런데 이제 엄마가 아닌 내가 그 속에 있다. 난 이 글을 누구에게 읽히고, 누가 날 이렇게 봐주길 원할 수있을까. 생각이 이렇게 이르니 더 난감하다.  혈육이 없는 나에게 작가의 눈처럼 봐 줄 사람이 없는데. 


새해 초에 이런 글을 읽을 이유가 없다. 연시에는 없는 희망도 한번 마음에 품어야 하지 않겠는가.  현실을 넘는 환상을 한번 꿈꾸어야 하지 않겠는가. 내 아픈 현실이 그대로 투영되는 미래를 보는 것은 조금은 늦춰도 되지 않겠는가. 








매거진의 이전글 누군가 꿈을 물어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