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군 Aug 03. 2021

두 번 죽어야 했던 사람들...

미군에 의한 노근리 민간인 학살

충북 영동 노근리 학살 현장.  아직도 총탄 자국 등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세계적인 지식인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는 과거 저서에서 미국과 관련된 학살을 '사악한 학살' '자비로운 학살' '건설적인 학살' 등으로 구분했다.


사악한 학살은 나치의 유대한 학살처럼 미국의 적대국이 저지른 학살이다. 이런 경우는 끈질기게 파헤쳐서 책임을 묻는다. 그리고 자비로운 학살은 미국의 동맹이나 종속국이 저지른 학살이다. 이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슬쩍 눈을 감거나 약하고 애매하게 비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설적인 학살은 학살을 적극적으로 미화하거나 부정·은폐하는 것을 일컫는다. 미화의 대표적인 경우는 '인도적인 폭격(Bombing for Humanity)'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일본에 대한 핵폭탄 투하로 많은 민간인들이 사망했지만, 결과적으로 전쟁을 빨리 끝내 더 많은 생명을 구했다는 주장이다.

미화가 아니라 학살을 부정하거나 은폐하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미군의 전쟁범죄를 들 수 있다. 한국 전쟁 때도 원주·대구·마산 등지에서 미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이 있었다. 하지만 미국은 계속 부정해왔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사건이 노근리 민간인 학살이었다.


그러다 1994년 월간 <말>의 오연호 기자가 노근리 사건을 최초로 심층취재 보도했다. 5년여 뒤인 1999년, AP통신이 한국 전쟁 참전 미군과 피해자들의 증언과 관련 문서를 발굴해 특종 보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했다. 


'피난민을 통과시키지 말라'는 명령


한국 전쟁 초기에는 전선이 계속 아래쪽, 즉 남쪽으로 밀렸다. 그래서 1950년 7월 23일, 충북 영동군 주곡리 일대 주민들에게는 소개령(분산 명령)이 내려진다. 타 지역 주민까지 합쳐 600여 명에 달하는 민간인들은 미군의 인솔에 따라 이동했다고 한다. 7월 26일 국도를 따라 이동하던 행렬은, 경부선 철길 위로 올라가 계속 남쪽으로 내려갔다.


그런데 이때 미군 부대가 민간인들에게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미군이 사방이 탁 트인 철로 위로 인도한 터라 몸을 숨길 곳도 없었다. 일부 피난민들은 먼저 철길 옆 배수로로 피신했고, 나머지 사람들은 근처 쌍굴다리로 들어갔다.


미군은 기관총과 박격포를 동원해 굴다리 안에 들어간 사람들을 공격했다. 이 공격은 29일까지 나흘이나 이어졌다. 그리고 겨우 20여 명만이 살아남았다.  


지난 2006년 7월 개최된 노근리사건 희생자 합동위령제(8회) 모습. (출처 영동군청 www.yd21.go.kr)


발포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당시 미군이 피난민을 공격한 이유를 짐작할 수 있는 정황이 있다.


사건 발생 하루 전인 7월 25일에 미군과 미 대사관, 한국 정부는 피난민 통제 대책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피난민을 구호의 대상이 아니라 '군사적 관점'으로 대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같은 날, 무쵸 미국 대사는 딘 러스크(Dean Rusk) 국무부 동북아 차관보에게 '피난민들이 미군 전선의 북쪽에서 나타난다면 위협사격을 할 것이며, 그래도 멈추지 않으면 사격할 것'이라고 보고한다.


다음 날인 26일 오전 10시께, 미 육군 제8군은 북쪽에서 내려오는 피난민을 전선 이남으로 통과시키지 말라고 지시한다. 이는 후방 교란을 위한 북측 첩자나 인민군들이 피난민에 섞여 위장한 채로 넘어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사건 당시 생존자들은 미군의 공중 폭격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일각에선 미군이 이를 위해 피난민들을 엄폐물이 없는 철로 위로 인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도 일었다.


경부선 철길.  피난민들은 미군의 인도에 따라 사방이 트인 이 철길 위로 올라와 이동했다.
철길 아래 배수로.  미군의 공격이 시작되자 일부 피난민들은 우선 여기로 대피했다.

한미공동조사 결과는... '우발적인 사고였다'


피해자와 유족들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진상조사를 요구했으나 큰 반향을 끌지 못했다. 미국의 눈치를 본 한국 정부는 조직적으로 유족회의 활동을 방해하기도 했다. 미군에 의한 피해를 주장하는 것은 다른 사건을 말하는 것보다 더 부담이 컸다.


그러다 AP통신의 보도를 <뉴욕타임스>가 1면에 보도하고, 이를 전 세계가 주목하자 그제야 한미 공동조사단이 꾸려졌다. 하지만, 앞서 미국의 '건설적인 학살'을 언급했듯이, 공동조사단을 꾸리는 과정부터 정부 측의 은폐와 축소 의혹을 거두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국 정부도 동맹국인 미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조사단을 꾸리면서 국방부는 관련 예산도 편성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유족들이 조사단에 민간 전문가를 참여시켜 달라고 요구했지만, 이 역시 '필요할 경우 요청'하겠다며 회피한다.


결과는 어땠을까. 결국 조사 결과는 의도적인 사격 명령 없는 '우발적 사고'로 발표된다. 사고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건 규모도 최초 보도에 비해 상당히 축소됐다.


이후 클린턴 대통령은 '유감'을 표명했고 추모비 건립과 유족들에게 장학금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물론 미국 대통령의 유감 표명 자체는 의미가 있지만, 위로금은 보상이나 배상과 그 성격이 다르다. 이것은 해석하면, 당시 사건에 미군이 직접적인 책임은 없지만 인도적 차원에서 위로한다는 뜻이다. 게다가 미군은 이 위로금에 노근리 뿐 아니라 다른 유사 사건까지 포함시켜 모든 책임을 한 번에 해결하려고 했다.


노근리 조사기록에 나타난 미군의 민간인 학살


당시 조사단은 방대한 증언과 자료를 수집했다. 소위 '노근리 기록'이라고 불리는데, 아직도 다른 문서와 달리 열람이 자유롭지 못한 '반공개(半公開)' 상태다. 그럼에도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조금씩 그 내용이 공개되어 왔다.


민간인 희생과 관련한 몇 가지 부분을 살펴보면, '미 제1기갑사단(Saberb6)이 북쪽의 발포 라인에 있는 모든 피난민들은 '사냥감(fair game)'이라고 표현'했다는 내용이 있다(문서번호 9123-00-00421).

굴다리 안에서 바라본 바깥 풍경.  미군은 굴다리 밖에서 사람들이 있는 이 안으로 박격포와 기관총을 쏟아부었다. 살아서 저 빛을 다시 본 사람은 20여 명에 불과했다.


그리고 미군의 한 군목이 쓴 보고서에는 민간인에게 총을 쏜 병사와 나눈 대화도 기록되어 있다. 그 병사는 '불쌍한 민간인을 쏜 것은 미안하지만, 나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라고 말한다(문서번호 342.237). 또한 민간인을 쏜 병사들이 극도의 불쾌감과 무관심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문서번호 342.238).


뿐만 아니라, 국군이 저지른 거창 학살을 신성모 국방부 장관이 은폐하라고 지시했다는 기록도 있다(문서번호 8511-00-00268).


이처럼 노근리 기록은 노근리 뿐 아니라 한국전쟁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을 규명하기 위해 꼭 살펴봐야 할 자료들이다. 하지만 워낙 양이 방대해 많은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다. 거기다 외교적 노력도 필요하기에 현재까지 답보상태에 있다.


잠깐의 관심, 그리고 이어진 침묵


AP 보도 이후 국내에서도 수많은 언론보도가 쏟아졌다. 하지만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가 '그때처럼 한국의 언론이 원망스러운 적도 없었다'라고 할 정도로 국내 언론들의 모습은 실망스러웠다. 미디어오늘은 당시 언론들의 행태를 세 가지로 비판한다.


첫 번째는, 언론들이 내놓는 반성의 방향성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많은 주류 언론들이 우리의 아픔을 외신이 보도한 것에 대해 부끄럽다며 반성했다. 하지만 그 긴 시간 동안 외쳤던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모른 체 했던 것에 대한 인정과 반성은 없었다. 실제로 노근리 유족들은 수십 년 동안 자료집을 내고 미국에 직접 청원을 넣기도 했지만, 대다수 한국 언론들은 해당 사건을 외면해 왔다.


두 번째로는 지나친 외신 사대주의를 꼬집었다. AP통신에 고마움을 느낀다면서도 자체적인 후속 보도는 하지 않고, 계속 외신을 받아쓰기만 했다는 것이다. AP의 공로가 컸던 건 분명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외신의 공으로만 돌리는 것은, 그동안 진실 규명을 위해 애쓴 시민사회와 일부 언론인들의 노력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반미감정이 일어날 것을 걱정하면서 전쟁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었다며 체념하고, 더 나아가 미국에 면죄부를 주려는 행태들이다. 실제로 '우발적 사건'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일각에선 이를 환영하는 듯한 모습도 보였다고 한다.


오죽하면 당시 미국 조지타운대학의 아시아연구소장이었던 데이비브 스타인버그(David Steinberg) 교수가 이런 한국 언론의 행태를 꼬집었다.


노근리사건의 생존자들은 한국 정부에 수십 년 동안 진상규명을 촉구해왔다. 한국 언론에 이 같은 사실이 보도된 적이 있었던가? 있다면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보도됐던가? 보도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중략) 미국의 AP통신이 노근리사건을 보도하지 않고 이를 '뉴욕타임스'가 1면으로 받지 않았더라면 한국 언론에서 노근리사건은 그렇게 대서특필되지 않았을 것이다. - '노근리' 저변에 깔린 인종편견, 문화일보, 1999년 10월 9일


그들은 두 번 죽었다


스타인버그 교수는 노근리 사건을 미국의 인종 편견이라고 비판한다. 피해자들이 '당시 극단적인 위기의 순간에서는 인간으로 대접받기 어려운 아시아인, 그중에도 한국인'이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미국이, 2차 대전 당시 독일이나 이탈리아 국민들을 대상으로도 이런 학살을 할 수 있었을 것인가 반문한다.


한국 내부에서도 오랫동안 한국 전쟁 중 민간인 희생자와 유족들에 대해 빨갱이나 부역자라는 '사회적 인종 편견'이 자리 잡고 있어 왔다. 그리고 미국과 관련된 사건에서는 더더욱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래서일까. 노근리 평화공원의 한 비석에 새겨져 있는 시의 구절이 더욱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노근리 사람들은 두 번 죽었는지도 모른다
미군은 인민군이 두려워 그들을 죽였고
우리는 미군이 두려워
그들의 진실을 외면했다
(정삼일, <말하라! 그날의 진실을> 中)


정삼일의 시.  말하라! 그날의 진실을


[참고자료]

김동춘,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사계절

노엄 촘스키 외, <학살의 정치학>, 인간사랑

서중석 외, <전쟁 속의 또다른 전쟁, 미국 문서로 본 한국전쟁과 학살>, 도서출판선인

진실화해위원회, <미 지상군 관련 희생 사건>

미디어오늘, <외신 뒷꽁무니 따라다니는 한국 언론>, 1999.10.21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노근리'저변에 깔린 인종편견>, 문화일보, 1999.10.9

이전 11화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이 대전에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