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ayYu Sep 24. 2023

꾸밈음답게 연주하기

안 꾸밈만 못하도록.

   꾸밈음 연주가 점점 부담스러워진다. 왜? 왜? 왜? 나에게 물으니 좀 더 잘하고 싶으니까 그렇단다. 그렇지. 더 잘하고 싶으니까. 꾸밈음의 종류가 많지만 (앞꾸밈음, 뒤꾸밈음, 턴꾸밈음, 떤꾸밈음(트릴), 모르텐트 등등 바흐 꾸밈음은 또 어떻고...) 내가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Scarlatti K.380 잔결꾸밈음이다. 수 없이 많이 들어왔고 악보는 어렵지 않아서 더듬더듬 초견을 마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악상기호를  지켰을까? 그런 건 궁금해 하지는 마시고 그냥 음표와 건반 맞추기라고만 해 주셨으면 합니다. 


Scarlatti Sonata K.380 No.23 도입부


    꾸밈음이 부담스러워진 건 오히려 곡의 난이도가 높지 않아서다. 무슨 말인고하니, 다른 테크닉에 집중하느라 관심을 돌릴 수 여지가 많다면 이 곡에서도 꾸밈음은 여느 곡과 마찬가지로 별 의미 없이 스쳐 지나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잔잔한 물결이 흐르는 듯 맑고 영롱한(?) 정신으로 순수한 기운이 감도는 선율 사이에서 번뜩이는 꾸밈음은 좀 달랐다. 잘못 연주하면 찬물을 끼얹는 것 같았다. 그래서 완전 정신 바짝 짜릴 수 밖에 없었고 그렇게 스스로 신경쓰다보니 부담스러웠다. K.380 꾸밈음은 시작부터 그랬다. 마치 공연장에서 솔로 연기를 하는 부분에서 모든 조명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그런 느낌. 깨끗하지 못하고 지저분하게 연주되면 곡 전체에 대한 기대감마저 사라지게 만드는 부분이다.  

     

    위 악보에 적힌 손가락 번호를 무시하고 평소 습관대로 손가락을 날렸고(23232) 이게 영 깨끗하지 못한 음을 만드는 주범이라는 것에 점점 확신을 갖게 되었다. 검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보다 힘이 좋긴 하지만 빠른 속도로 연타할 때 확실하게 들어 올리고 내리기를 반복하면서 동일한 소리를 만들어는 건 쉽지 않았다. 어물쩍 슬그머니 남의 집 벨 누르고 도망가려는 녀석처럼 자신 없는 소리가 계속 거슬린다. 이런 점이 나만 그런건지, 대부분의 연습생이 겪는 비슷한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해 자연스럽게 악보에 적힌 손가락 번호로 되돌아가본다. (23243) 손가락 위치가 바뀌는 것 만으로 분명 '파'음이 훨씬 깨끗해졌다. 다만, 평소 습관을 이겨내고 지금의 습관이 불편하게 되면서 더 이상 습관이 아니라고 하자면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좋은 소리를 만드는 쉬운 방법, 노력을 줄여주는 방법 중 하나는 손가락 번호에도 있다. 괜히 손가락 번호가 적힌 게 아니다. 배우는 자세가 잠시 불손했음을 반성한다.


PS. 떨림의 회수도 아티스트마다 조금씩 다르다. 정답이 있는 건지, 아니면 연주자의 해석대로 길이를 늘여도 되는 것인지 아리송하다. 흠...

매거진의 이전글 아르페지오. 아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