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304) 한눈 팔기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롱블랙 1월 14일, 문장채집 no. 304

롱블랙 1월 14일, 문장채집 no. 304

나는 왜 똑같은 생각만 할까 : 문제에 빠져 인생을 낭비 말라

본문 https://www.longblack.co/note/547 


1. 문제가 생겼을 때 우리는 대개 문제 속으로 깊이 빠져든다. 태양만 응시하면서 넓게 펼쳐진 하늘을 보지 못하는 것처럼, 문제만 뚫어지게 쳐다보기 때문에 다른 것은 못본다. 해답에는 더더욱 눈길이 가닿지 않는다.


2. 문제 대신 해결책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문제에 직면했을때, 구체적인 문제에 시야가 갇히는 경향이 있어요. 한 발 떨어져 상황을 보면, 우리가 해결해야 할 일은 '상어 잘 만들기'가 아닌 '상어가 등장하는 영화 잘 만들기' '관객이 공포에 떨며 영화관을 나가게 하기'죠. 


3. 문제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 법. 그 중 하나는 '눈에 보이는 중요한 문제를 잠시 밀쳐 두기'입니다. 문제 앞에서 잠시 한숨 돌리는 것만으로, 진짜 목표를 눈치챌 가능성이 훨씬 높아져요. 문제에만 골몰해있다면 문제를 큰 맥락으로 바라볼 수 없어요.


4. '노력을 너무 믿지 말라'. 문제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한 저자의 두번째 조언. 문제를 다른 차원과 시각에서 바라볼 여유를 잃어버려요. '노력하지 않을 용기'도 가져야 하는. 쓴 약을 억지로 삼키려는 '노력'보다, 내 이야기를 진솔하게 하겠다는 '시도'가 더 필요해요.


5. '확신에 찬 초안'을 버리는 것도 방법.


6. 문제 해결을 위해 '한눈을 팔아야'해요. 다른 차원의 해결책을 떠올리기 위해서. "최선의 답은 문제를 내려놓고, 당신이 있는 시간과 장소를 변화시키고, 맥락을 바꿀 대 발견된다. 그러면 우리의 뇌가 연관성을 찾아내 무엇이 가능한지 탐색할 기회를 갖게 된다"


7. (문제가 설정한) 한계를 벗어난다고 상상해 보자. 최대 난제를 자산으로 변화시킨다고 상상해 보자. 당신은 할 수 있다. 문제가 규정하는 시야에 갇히지 마라. 그래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뿐더러 출발 지점보다 더 나은 곳에 서게 된다.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더 좋아진다.


『나는 왜 똑같은 생각만 할까』는 2016년 도서출판 부키를 통해 한국에 번역 출간되었다. 저자 데이비드 니븐은 유명 심리학자로 우리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조언을 건넨다. ⓒ부키




매거진의 이전글 303) 뉴욕 최고의 디저트 스토어, 리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