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아인 Jun 04. 2023

화엄에 물들다, 연꽃

석가모니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깨달음이 뭔가를 보여주기 위해 들어 보여 주신 꽃이 바로 연꽃이었다고 하는데, 거기 연꽃만 있었던 걸까? 아니면 많은 꽃 가운데서 연꽃을 들어 보여 주신 걸까? 꽃과 깨달음 사이에서 의미를 몰라 헤매는 제자들 가운데 가섭이 홀로 미소를 지었다. 부처님이 하고자 하는 말을 알아들은 것이다. 불교의 화두 가운데 하나인 ‘염화시중’이 이 그윽한 이야기에서 나왔다고 들었다. 마음에서 마음으로, 말이 없어도 전해질 수 있는 진리란 어떤 세계일까. 연꽃을 바라보며 문득 궁금해지기도 했다.


어느 여름날 찾은 관곡지, 시흥연꽃테마파크에 비가 내렸다. 햇빛 아래 고고한 자태인 연꽃도 멋지지만 빗속에 적나라한 풍경인 연밭도 무척이나 좋았다. 몸이 지쳐갔지만 마음은 자꾸 푸릇해졌다. 피었다가 지고 있는 꽃들조차 최선을 다해 제 몫의 생을 감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참 대견하고 예뻤다.


연꽃, 시흥연꽃테마파크(2020. 7.19.)




키 큰 연꽃들 사이에서 수련은 옹기종기 화엄 세상을 보여준다. 혼자서도 충분히 어여쁜 꽃이지만 여럿이 어우러져 인다라망의 구슬처럼 반짝인다.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풍경은 늘 감동이다. 세상의 모든 것 가운데 뚝 떨어져 혼자 존재하는 것은 무엇도 없다는 생각은 위로가 된다. 비록 지금 내가 외롭더라도. 

“지금 세계의 어느 곳에서 누가 울고 있다. 이유도 없이 울고 있는 사람은 나를 울고 있다 …….”

릴케가 ‘엄숙한 시간’에서 쓴 그 시간도, 누군가 어느 곳에서 울고 웃고 걷고 있는 모든 것이 나와 어떤 관계가 있다는 것이었으리. 이런 생각 앞에선 숙연해지기도 한다. 우리가 서로에게 관계가 있다는 것은. 우리가 서로에게 어린왕자의 장미일 수 있다는 것은.




비가 쏟아지는 연밭에서 커다란 초록 연잎들을 바라본다. 우물처럼 깊은 연잎에 빗물이 담긴다. 웅덩이 같은 연잎이 물을 쏟아낸다. 연잎이 다시 비었다. 채우지 않고, 담고 있지 않고 한없이 비우는 연잎이 지혜를 설법한다. 법정 스님도 ‘연잎의 지혜’에서 "사람들은 가질 줄만 알지 비울 줄은 모른다. 삶이 피로하고 고통스러운 것은 놓아버려야 할 것을 쥐고 있기 때문이다. 연잎처럼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가져야 할지를 알아야 한다."라고 말씀하셨다. 연잎에 고였던 물은 표면의 먼지까지 씻으며 떨어져서 늘 깨끗한 상태를 만든다. 때로 우리 마음 안에 고이는 슬픔과 불만과 두려움 같은 감정들도 한 번씩 다 씻겨, 깨끗하게 빈 연잎 같으면 좋겠다. 



연꽃은 밤의 어둠이 물러가고 해가 뜰 무렵 피어나기 시작해 오전 열 시쯤에 절정이 되었다가 정오를 지나며 서서히 오므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사나흘을 반복하다가 꽃잎을 하나둘 투둑투둑 떨어뜨린다. 그리고는 뜨거운 햇빛에 씨를 만든다. 여름이 다 가도록 연밭은 피는 꽃과 지는 꽃들이 어떤 흐름을 보여준다. 생과 사, 번성과 쇠락, 탄생과 소멸을. 마침내 하나의 꽃잎만 남아 있는 연꽃. 이제 뜨거운 햇빛에 씨를 만들 시간이다.

모든 지는 것은 안타깝지만, 연꽃은 지는 것에 대해서도 너무 마음 쓰지 말라고 다독인다. 사실 연꽃은 꽃이 졌다고 아쉬울 게 없다. 연근과 연밥은 종종 우리 식탁에 오르고, 연잎과 꽃잎은 한여름 열기를 달래는 고아한 차로 만날 수 있다. 꽃대와 줄기 또한 약재로 쓰인다. 말 그대로 아낌없이 주는 식물이다.



넓은 연밭 한쪽에 관곡지가 있다. 강희맹이 명나라에서 연꽃 씨를 가져와 처음으로 꾸민 이 연못은 사각의 못에 둥근 섬이 들어앉은 방지원도 형태로 전통적인 양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어쩌면 강희맹이 이 연못을 바라보며 썼을 시를 생각한다.     

“강 속의 달을 지팡이로 툭 치니 물결 따라 달그림자 조각조각 일렁이네. 아니, 달이 다 부서져 버렸나? 팔을 뻗어 달 조각을 만져보려 하였네. 물에 비친 달은 본디 비어있는 달이라, 우습다. 너는 지금 헛것을 보는 거야 …….”     

연꽃은 8월 내내 핀다. 피었다가 지는 꽃들도 있고 또다시 탄생하는 꽃들도 있다. 때로 ‘강 속의 달’ 때문에 흔들흔들할 때 연꽃을 보러 다시 가야겠다. 자주 봐야 꽃들의 말을 더 들을 수 있을 테니까. 무뎌지고 잊어버리고 살다가도 만나면 다시 그 말을 기억하게 되니까.      


작가의 이전글 여름. 느껴봐, 미풍의 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