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gos Brunch Jul 06. 2019

유대교는 언제 시작하였을까?

요한계시록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유대교는 언제부터 시작하였을까? 구약 성경에 유대교는 등장하지 않는다. ‘유대교’란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곳은 마카비하 2:21과 토비트 1:8이다.1) 마카비 문맥에서 유대교에 대한 설명을 보면, 유다교는 비유대적인 것에 대한 저항을 넘어, 유대 민족의 강력한 민족주의적 자존심과 열심의 발현이다(마카비하 8:1, 14:38). 2) 


유대교의 원시 형태는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온 에스라와 느헤미야에 의해 시작하였다. 유대교의 본격적인 모습은 헬레니즘의 강력한 영향력에 저항하면서 종교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정식 종교로 등장하였다. 사실 “유다교는 한 번도 하나의 통일된 형태로 나타난 적이 없다”(Thiselton, 104).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 종파운동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테면 바리새파, 사두개파, 서기관, 열심당, 헤롯당, 에센파, 메시아주의 등등이다. 그들은 서로 사상이 다르긴 하지만, 율법을 준수하며 여호와 하나님을 유일신으로 받아들이는 것에선 동일하였다. 


구약은 유대교라는 종교 형태보다는 야웨 하나님을 신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구약의 선지자들은 하나님 백성이 행복하고 마음 편하게 살도록 하나님의 뜻대로 나라를 다스리라고 강조하였다. 제사 제도나 종교 제도보다는 하나님의 뜻을 바로 가르치고 실천하는 것을 훨씬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공의를 행하고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동행하는 것이 아니냐"(미 6:8).

"너희가 정의와 공의를 행하여 탈취당한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이방인과 고아와 과부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말며 이곳에서 무죄한 피를 흘리지 말라"(렘 22:3).

포로 후기 하나님 신앙이 종교화되면서 유대교는 자기 민족 중심주의로 바뀌었다. 선지자들이 외치던 모든 나라와 열방에 복을 끼치는 민족, 그들과 함께. 여호와 하나님을 찬양하고 예배하는 선교적 비전은 약화되었다. 그들은 무너진 성전을 다시 건축하고, 희생 제사를 열심히 드렸으며, 율법을 지키는데 집중함으로써 이스라엘이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순수 여호와 신앙, 순수 이스라엘 혈통을 회복하자는 국수적 운동은 유대교를 점점 보수적으로 만들었다. 유다교라는 종교에 집중하면서 이교도에 배타적이었고, 나아가 전투적이었다. 모든 민족에게 복이 되어야 한다는 아브라함의 선교적 비전은 사라지고 타민족, 심지어 같은 민족이고 모세 오경을 받아들이는 사마리아인들까지 개 같이 여겼다. 


이런 배타성, 자기 민족 우월 의식, 보수화는 극심한 박해와 핍박 속에서 묵시 문학과 묵시 종말론을 만드는 토양이 되었다.


1) 마카베오하 2:21 또 유다교를 위해서 용감하게 싸운 영웅들이 하늘로부터 내려온 천사들의 도움으로 적은 병력으로 온 땅을 점령하고 많은 야만인들을 몰아내고

2) 마카베오 8:1 유다 마카베오와 그 동지들은 여러 촌락으로 몰래 들어가서 그들의 친족들을 불러내고, 유다 민족의 전통을 꾸준히 지켜온 사람들을 소집하여 육천 명 가량의 사람들을 모아놓았다.

3) 라지스는 전에 유다 민족이 역경을 겪기 시작하던 때에 유다 전통을 고수하는 자라는 고발을 당하여 몸과 목숨의 위험을 무릅쓰고 유다 전통을 위해서 열성을 다 바쳤던 사람이다.


참고도서

Thiselton Anthony C., 성경해석학 개론(Hermeneutics : An Introduction), 김동규 옮김, 서울:새물결플러스, 2012년

매거진의 이전글 누군가 당신을 거짓으로 고소할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