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정문일침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르헤시아 Dec 30. 2023

자기성찰(自己省察)

종종 친하게 알고 지내는 여러 사람의 인품의 높고 낮음을 논하고 평가하는 자가 있다.  그런 자는 반드시 그 자신의 인품의 수준이 그 여러 사람 가운데 가장 맨 아래에 해당한다. 또 자주 친하게 알고 어울려 지내는 여러 사람의 문사(文詞)의 우열을 논하며 평가하는 자도 마찬가지다.  그런 자는 반드시 그 자신의 글 수준이 그 여러 사람 중에 가장 맨 아래에 있다. 문장을 짓는 사람이 은연중에 남에게 놀림을 받고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오로지 자기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데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식견과 재능이 부족한 데도 나 홀로 자부심이 너무 지나친 까닭에 놀리는 자가 이를 틈타게 되는 것이다. 자신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른 사람의 식견이나 문장을 살펴보아 모두 나보다 나을 것 같으면 나에게 식견과 문장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다른 사람의 식견과 문장을 살펴보아 모두 나만 못할 것 같으면 나에게 식견도 문장도 없는 빈 수레의 상태에 불과한 것이다.


-홍길주(洪吉周, 1786∼1841),  '수여난필속(睡餘瀾筆續)' 

매거진의 이전글 문장의 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