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경도 Aug 08. 2023

심박수 그게 뭔데요?

야간행군의 추억

 군입대 직후 신병 시절 이야기입니다. 신병교육대에서 야간행군이란 훈련을 받게 되었습니다. 저녁을 먹고 출발해서 밤새 걸은 후 새벽녘 해 뜰 때 복귀하는 깨나 난이도 높은 훈련이었죠. 게다가 20kg의 완전군장으로 인해 짓눌린 어깨와 발바닥의 물집까지, 괴롭고도 고단한 훈련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육체적 고통보다 더 힘든 것이 있었습니다. 난생처음 걸어보는 길이었기에 도대체 내가 어디쯤 와있는지, 반환점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가늠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쯤 되면 반 정도는 왔을까? 몇 시간이나 더 걸어야 하나?’ 20kg의 완전군장 무게는 어깨를 짓누르고 발바닥의 물집은 쓰라렸습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큰 고통은 불확실성이 주는 마음의 불안이었습니다. 


반환점에 다다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반환점에 도달 후 부대로 복귀하는 행군길은 그다지 힘들지 않았습니다. 대충이나마 얼마쯤 남았는지 내가 어디쯤 와있는지 감을 잡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잠은 쏟아지고 다리는 천근만근이지만 걸을수록 목표지점이 가까워지는 것을 알고 있기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생겨났습니다. 아는 만큼 여유가 생기고 그것이 정신적 힘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힘내세요. 정상이 코앞이에요."

우리는 등산을 할 때에도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특히 처음 방문하는 등산로의 경우 이미 정상을 밟고 하산하는 사람이 건네는 ‘거의 다 왔어요. 힘내요.’라는 말은 큰 힘이 되지 못합니다. 두루뭉술하게 전해주는 응원의 메시지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주지도 못하고 힘만 빠지게 하거든요. ‘분명 다 왔다고 했는데, 저 모퉁이만 돌면 정상이라고 했는데...’ 하얀 거짓말은 그들의 고마운 의도와는 달리 어깨만 더 무겁게 하는 경우도 있죠. 차라리 표지판에 쓰인 ‘정상까지 0.5km’와 같은 객관적 정보가 나을 때도 있습니다. 

 

객관적 정보의 힘

 이처럼 객관적이고 명확한 정보는 내가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그래서 목표지점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힘의 분배를 어떻게 해야 하며 스퍼트를 어디에서 해야 할지 가늠할 수 있게도 해줍니다. 보이지 않는 목표, 실현 여부를 확신하기 힘든 그 무엇을 향해 달려가야 할 때에는 객관적 정보로부터 힘을 얻어 보세요.

 

심박수가 필요해

자, 이제 운동상황으로 넘어가 볼까요? 운동을 할 때 이런 객관적 정보는 ‘심박수’라는 것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느끼는 운동의 ‘힘든 정도’는 매우 주관적이라 적절한 강도를 설정하기가 힘이 듭니다. 따라서 운동강도를 설정하고 파악할 때 심박수를 이용하는 것이죠.      


심박수란? 

심박수(heart rate)는 1분 동안의 심장이 뛰는 횟수를 말합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안정 시 심박수 60~100회를 정상범위로 보고요, 청소년과 아동, 여성의 경우 조금 더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심박수라는 것이 신체활동에 따라 오르내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심리적 흥분상태나 매운 음식, 약물복용에 따라 심박수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운동상황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심박수입니다. 즉 강도가 높은 운동을 할수록 심장은 급하게 뛰기 시작하고 휴식을 취하면 안정 시 상태로 되돌아가려 천천히 뛰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심박수는 운동 강도를 해석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안정 시 심박수가 건강상태를 가늠하는 지표로도 사용된다고 해요. 한 연구에 따르면 안정 시 심박수가 60회 이하인 사람은 90회 이상인 사람에 비해 대사질환 유병률이 낮다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안정 시 심박수가 천천히 뛸수록 건강하며, 안정 시 심박수가 높을수록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배드민턴 좋아하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