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생각상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up L Jun 04. 2024

글쓰기는 탐색이다

무언가를 찾는다는 것은 찾는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고, 반드시 그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확실한 상태를 말한다. 한때 '소비자는 자신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라는 말이 한때 유명했던 적이 있다. 그것은 상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을, 심지어 팔릴지 안 팔릴지를 자신들도 모르는 것을 포장을 잘해서 갖고 싶게 만든다는, 한마디로 개발의 철학이 아니라 광고의 철학이다. 그 이후로 생각보다 쓸모없는 제품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지만 실제 전세걔 소비시장에서 그 철학이 얼마나 통하는지는 모르겠다.
이것을 온라인의 밈과 비교해서는 안될 것이다. 밈은 말 그대로 도박처럼 펼쳐 놓은 것들 중 선택받은 것들이 온라인상으로 끝없이 재생산되면서 유사한 것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인데, 이것은 한두 명이 의도하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부는 그러려고 한 것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심지어 원본의 제작자조차 작정하고 그것만 적극적으로 홍보했다기보다는 많은 것들을 펼쳐 놓고 어떤 것이든 선택받기를 기다린 것에 가까우니 위에서 말한 광고철학과 유사하다고 말하기는 힘든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밈들만 시간이 가면서 모아놓고 보면 방향성이라는 것은 희미하게나마 있게 마련이다.
글을 쓰면서 내가 찾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글을 쓰는 그 시간 자체가 소중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찾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힘들다. 매일 한 시간의 산책을 즐긴다면 그 산책을 통해 마음의 안정이나 소소한 건강을 찾는다고 할 수 있다. 매일 느끼는 것이라고는 그저 습관적으로 걸으면서 거리의 풍경을 눈에 담는 것을 즐기는 것뿐이라고 해도 말이다. 나는 글을 쓰면서 내 안을 들여다보고, 글을 쓰기 위해 끄적거린 노트를 들춰 보는 것을 즐긴다. 하지만 아무것도 쫓는 것이 없을 수는 없다. 내가 의도적으로 쫓는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어딘가 지향점은 있을 수밖에 없다. 그곳이 어디인지 계속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그러나 산책이 나에게 주는 것을 찾는 것과 내가 산책을 통해 지향하는 것을 찾는 것은 결국 같은 이야기이다. 산책을 하면서 얻는 것은 눈앞의 풍경과 상쾌한 기분이다. 산책이 주는 마음과 몸의 건강은 산책길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와, 산책과, 심지어 산책길에서 떨어져서 머리로 생각해야 알 수도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글쓰기가 나에게 주는 것도 계속해서 글을 쓰고 있지만 글을 쓰는 자세, 글을 쓰는 기분 등 글을 쓰는 과정에서는 알 수 없을지도 모른다. 산책의 효과를 먼 미래에나 가서야 실감할 수 있고 그전에는 머리로만 아는 지식에 불과할 수도 있듯이 글을 쓰는 것이 나에게 주는 것은 훗날에 가서야 내 글들이 지나온 길에서 발견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글 자체에서는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글을 쓰는 내 마음이 어떻게 변해왔는가 하는 그 방향성, 그것이다.
사막에서 빛을 찾는 사람이 있어 혼자 길을 걷고 있다. 그는 불빛이 있는 곳에 인가가 있으리라 생각하고 길을 걷는다. 그는 아마도 낮에는 그저 앞으로만 걷고 밤이 되면 불빛을 찾을 것이다. 인간이 내는 불빛을 찾기 위해 '다른 무엇이든 찾기 쉬운' 낮을 기다리지 않을 것이다. 인간이 내는 불빛은 태양이 내리는 빛에 묻혀 버리기 때문이다. 빛을 찾기 위해서는 빛을 버려야 한다. 별자리를 쉽게 찾겠다고 낮을 기다릴 수는 없다. 글을 쓰는 이유를 찾기 위해서는 글을 쓰는 이유를 찾으려 너무 욕심을 부리면 안 된다. 사실, 궁금해하지도 않을 수도 있다. 쓰고 싶으니 쓰는 것, 그것이면 충분할 수 있다. 그래도 정 찾고 싶다면, 기다리자. 내가 쓰는 글이 내는 빛이 있고 내가 그 글들이 지향하는 곳을 단순히 그 빛을 따라감으로써 찾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글을 넣고 판별하는 AI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판별한 방향이 실제 내 글이 내는 빛보다 밝게 빛난다면 내 글들이 진실로 향하는 곳은 찾지 못할 수도 있다. 늘 사람이 하는 일이 그렇듯이 어떤 방향이 있다고 해서 그 방향으로 순수하게 직진만 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글을 쓰면 즐겁다는 데에서 뭔가 더 바라는 것이 생겼다. 글을 더 잘 쓰고 싶고 누군가에게 더 닿고 싶고, 그래서 그 즐겁다는 것을 말로만 떠드는 것이 아니라 공감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 나 자신, 나의 글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는 생각이 생겼다. 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다. 여기서 무리해서 더 가까이 가려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잘 안다. 나는 밀어붙이는 것이 통하지 않는 사람이다. 나 스스로조차 나에게 강제로 하면 마음이 떠나 버리는 사람이니까. 그래서 글을 쓰면서 어떤 고민을 해도 늘 결론은 같다. '계속 쓰자. 그저 써 내려가자. 잘 쓰는지 못쓰는지는 나중에 가면 보일 것이다(지금 잘 쓴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것은 객관적으로는 못 쓴다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안도 포함해서.), 글을 되돌아보는 일은 훗날 뚜렷한 이유가 생기면 그때 한꺼번에 하자.' 그래서 매일 솔직하게 쓴다. 글에 대한 생각까지도.

매거진의 이전글 일상의 글쓰기, 그 지향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