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사람이 무슨 힘이 있겠냐지만 죽은 사람만이 낼 수 있는 힘도 있다. 미움을 흩어내는 힘 혹은 자비를 심는 힘. 죽이고 싶을 만큼 미워했는데, 막상 진짜 죽어버리면 사람이 당황을 하나, 그때부터는 죽이고 싶을 만큼 미워했던 자신의 마음을 잊어버린다. 아니면 진짜 죽었으니까 죽이고 싶은 마음이 자동으로 사라져버리는 것일까? 사실은 죽인 것도 아니고 나 홀로 방구석에서 죽을 만큼 미워한 것뿐인데 -조금이라도 그의 육체에 흠집을 내거나, 그것도 아니면 인형을 가져다 놓고 저주를 퍼부은 것도 아닌데- 진짜로 죽어버리니 조금 미안한 마음이라도 드는 것일까?
아빠는 엄마를, 엄마는 아빠를 경쟁이나 하듯 미워했다. 하지만 그 경쟁의 시작부터 끝까지 엄마는 줄곧 열세였고, 아빠는 우세였다. 이혼의 원인이 누구에게 있든, 비극이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든, 사람이 사람을 미워하는 일에는 자유가 따른다. 아빠가 엄마를 죽도록 싫어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겠지만 있을 수 없는 일은 아니기에,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싫어하는 일을 제3의 인간이 바로잡을 수는 없는 일이기에, 아빠의 미움 경쟁은 늘 고도를 달렸다. 엄마가 죽기 전까지.
그 모습이 썩 좋게 보이진 않았다. 버섯이나 오이를 싫어하는 행동도 갓난아이 앞에서는 조심해야 할 일이다. 부모가 편식하는 음식을 자식도 편식하는 경우가 많기에 그러하다. 엄마를 향한 아빠의 분노 표출은 제 앞에 핏덩이가 있건, 저를 낳아준 부모가 있건 가리는 일이 없었다. 그 행동이 어른으로서, 부모로서 해서는 안 될 행동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걸렸다.
그것은 아주 어릴 때부터였다. 나도 모르게 내 안에 이염된 아빠의 분노가 꽤 오랜 시간 엄마를 향해 있었다. 엄마가 나를 버린 줄 알았던 것이다. 이혼. 그것이 핏덩이를 버리는 일이 아니라, 어떻게든 그 핏덩이와 같이 살아보려고 했던 선택이었다는 것을 안 순간부터는 그것을 몰랐던 순간을 인생에서 지워버리고 싶었다. 그간 아빠가 내뿜었던 분노의 불꽃들이 도대체 무엇을 향한 것이었는지 의구심이 들었다. 그 분노 곁에는 늘 내가 있었는데, 활활 타는 불에 그슬려 볼품이 없어진 건 정작 나인데.
엄마와 일 년에 두 번씩 여행을 다녔던 나는 독립문 앞에서, 에펠탑 앞에서, 오줌싸개 소년 동상 앞에서 남긴 기념사진들이 가득이었다. 카카오톡 메신저에 엄마와 여행지에서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려두면 아빠는 귀신같이 메시지를 보내왔다.
-사진 내려라.
시위를 하듯 여러 번 엄마와 찍은 사진을 올려두고 다시 여러 번 아빠의 메시지를 받았던 시간들이 있었다. 하지만 엄마가 죽자, 아빠는 더 이상 그런 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다. 그제야 미움이 멎었다.
엄마의 죽음이 아빠의 마음에 자비를 한 알 심어 놓기라도 한 걸까? 부디 그의 좁디 좁은 마음 밭에 자비라는 것이 자리할 날이 오기를 기도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