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샐리 Apr 16. 2022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는 나만의 학습법

스타트업에서 일잘러가 되는 첫 번째 방법

제가 스타트업에서 3년간 일을 하며 느낀 점은 ‘빠른 학습 능력이 필수다.’라는 것입니다. 스타트업, 특히 초기 스타트업일수록 내가 맡아야 하는 업무 범위가 넓고 가이드를 제시해 줄 선배가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인력의 변동도 잦다 보니 제가 다른 사람의 업무를 땜빵해야 할 때도 있겠죠. 그래서 새로운 업무를 빨리 학습하고 적응하는 능력이 정말 중요합니다. 오늘은 제가 여러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 실천했던 방법들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늘 그렇듯이 저의 방법이 정답은 아닙니다.



과거 히스토리 훑기

과거 자료를 리뷰하는 것은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자료를 훑으면서 업무의 전체적인 개요와 주기적인 업무 플로우를 정리해 보세요. 예를 들어, 사내 사정으로 인해 다른 직원이 담당하던 정부지원사업을 내가 맡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세요. 이때 이전 자료를 통해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는 것은 우선 그 사업 자체겠지요. 지원사업을 진행하는 기관, 그 기관 내 컨택포인트, 지원사업의 목적과 기관, 그리고 우리 회사가 그 사업에 지원할 때 제출했던 사업 계획서 등입니다. 그다음으로 파악할 것은 그 사업으로 인해 파생되는 주기적인 업무입니다. 이 업무의 일환으로 내가 꾸준히 해야 하는 세부적인 업무 내용은 무엇인지(보고서 작성? 지출 증빙 준비?),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 (매달? 매주? 매 분기?), 언제 그 업무를 해야 하는지(매달 말일? 지정 날짜가 있나? 등), 어떤 형식으로 업무가 진행되는지(정해진 보고서 양식이 있나? 이메일로 제출하나? 등)를 알아야 합니다. 시간이 넉넉해서 천천히 이런 세부사항을 꼼꼼하게 파악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 자료들을 꼭꼭 씹어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의 흐름에만 익숙해져도 히스토리 훑기는 성공입니다. 세세한 디테일은 세부 업무를 할 때 필요한 부분만 다시 찾아보며 공부해도 늦지 않습니다.


외부 리소스 활용하기

그럼 사내에 히스토리가 전혀 없는 업무는 어떡하나요? 제일 막막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의 대부분은 사내에 그 업무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를 줄 사람도 없을 겁니다. 그야말로 회사에서 그 일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 되는 거죠. 이럴 때는 외부 리소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그 업무에 대한 글이 많이 올라오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저는 모비인사이드, 오픈 애즈, ㅍㅍㅅㅅ 등에서 제가 원하는 정해 놓은 키워드로 일주일에 1번씩 검색해 새로운 글들을 읽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그다음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은 세미나나 강연입니다. 해당 분야와 관련된 회사 또는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세미나를 열 때 참석해 배우는 겁니다. 저 같은 경우는 마케팅 업무를 했었다 보니, 페이스북 코리아에서 여는 페이스북 광고 세미나나 마테크 스타트업에서 여는 강연을 가곤 했습니다. 이런 세미나 정보는 스여일삶이나 디캠프 이벤트 탭, 모비인사이드 이벤트 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습이 답인 업무도 있다

간혹 연습만이 답인 업무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디자인이 있겠죠? 제가 했던 마케팅의 경우 디자인 역량이 참 많이 필요합니다. 광고에 쓰이는 영상과 이미지부터 홈페이지와 앱에 들어가는 배너, 블로그 게시물의 커버까지 디자인을 떼어 놓고서는 마케팅을 생각할 수가 없는데요. 이런 모든 디자인 작업을 사내 디자이너가 해주면 가장 좋은 퀄리티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겠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내가 넓은 범위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처럼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니까요. 이렇게 연습이 필요한 업무는 어쩔 수 없이 시간을 조금 더 들여 연습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효율적인 연습을 위해서는 약간의 규칙이 필요합니다. 다시 마케팅 디자인을 예로 들자면, 배너의 디자인 규칙을 먼저 정하고, 그 규칙에 맞추어 연습을 하는 겁니다. 저 같은 경우는 회사 블로그 포스트에 쓸 커버이미지를 직접 디자인해야 했는데요. 이때 먼저 디자이너님과 규칙을 정했습니다. 블로그 커버 이미지는 사진 가운데에 투명도를 높인 검은색 원을 배치하고 그 안에 게시판 이름과 게시물 제목을 어떤 폰트로 써넣는다 같은 규칙이요. 이런 큰 규칙 안에서 내가 어떻게 각 요소들을 배치하고, 어떤 색을 활용할지를 생각하며 디자인하는 것입니다. 연습은 툴 사용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센스를 기르는 데도 필수적이니까요.


스타트업에서 일한 다는 것은 새로운 것에 대한 학습과 적응의 연속입니다. 여러분만의 효과적이고 시행착오가 적은 학습법을 개발해보세요! 그것만 있다면 어느 곳에서 일하든 빠르게 회사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퇴사에도 기준이 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