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삼김 Apr 27. 2021

글을 쓰다

여기에 글을 쓰게 되는 이유


요즘 글을 자주 쓰고 있다.

어떻게 보면 일기와도 비슷한 글을 계속해서 쓰게 된다. 공개적인 글이라 일기와는 차이가 있지만, 사소한 내용을 한 바닥 글로 적어보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딱히 어떤 결심이나 목표를 정해놓은 것은 아니다. 그저 내 글을 공개할 용기가 생겼고, 단지 글을 쓰는 일이 마음에 들어서 계속해서 글을 쓰게 된다.


아마도 글 쓰는 직업이 아니라서 글 쓰는 일을 더 즐기는 것 같다. 그래서 글을 부담 없이 공개하고 아주 쓸데없어 보이는 주제를 골라서 글을 쓰고 있다. 오늘도 사소한 주제로 내가 글 쓰는 이유를 쓰려한다. 왜 글쓰기를 즐기는지, 글을 쓰고 나면 내 감정이 어떻게 변하는지 같은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일상을 살아내자면, 사람인지라 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생기고 쌓이게 마련이다. 뭐라고 설명할 기회나 필요도 없이 일순간에 지나가는 듯한 감정과 생각이 내면에 쌓인다. 무엇이라고 정확하게 말할 수 없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마음속에만 가득해진다. 대부분은 기억과 함께 사라져도 어느 순간에나 내면에는 무언가가 남아있다.


이 생각과 감정들은 거의 언어라는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언가가 엉켜있다. 하지만 내가 시간을 들여서 글을 쓰기 시작하면, 이 엉켜있던 생각과 감정들이 하나씩 풀어져 나오기 시작한다. 내가 어느 순간에 무엇을 느꼈는지, 왜 그렇게 했는지 등 처음으로 언어화된 생각들이 녹아 나온다. 녹아 나온 생각들은 글을 썼다 지웠다 하면서 구조화된다. 그러면 형태도 없던 생각들은 체계와 모양을 갖추게 된다.


이렇게 구체화된 생각과 감정을 글로 마주하게 되면 나는 나를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내가 왜 그랬는지, 무엇을 느꼈는지 인과관계를 알게 되고, 기쁘거나 좌절스러운 결과를 얻었을 때도 그것을 더 잘 납득할 수 있게 된다. 내가 나를 차분히 설득하고 설명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그러고 나면 내 감정을 더 부드럽게 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시간을 들여서 얻은 생각과 감정은 나를 마주 보는 것만이 좋은 건 아니다. 글로 무언가를 적는 순간 엉킨 채로 쌓여있던 감정이 풀어지면서 세상 밖으로 나온다. 그러면서 느끼는 후련함이 있다. 내 이야기를 마음껏 적어도 된다는 자유로움, 내 생각을 하얀 종이에 탁 풀어놓아도 된다는 느낌에 속이 시원해진다. 마음속에 가득 차있기만 했던 무언가를 비워낸 기분이다. 그러면 정서적으로 좀 더 안정된 기분이 들어 중독적으로 계속해서 글을 쓰게 된다.








좀 더 솔직하고 내면적인 이야기는 일기에 쓰게 된다. 하지만 공개된 글을 쓰게 되면 아무래도 좀 더 구체적으로 쓰게 마련이라, 내면의 생각을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기보다 좀 더 절제된 언어로 차분하게 쓰게 된다는 것도 장점이다. 부족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에게는 공해가 될 수 있지만, 나에게 글쓰기는 이런 의미가 있다.

 

그런 이유로 요즘은 중독된 것처럼 글을 쓰고 있다. 어느 날 이 행동을 멈추고 다시 바쁜 일상으로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마음을 비우고 오롯이 나에게만 집중하는 이 일을 완전히 그만두지는 못할 것 같다. 아주 바쁜 일상이라도 나 자신의 정서적 안정과 휴식을 위해서라도 가끔이라도 이렇게 글을 쓸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새하얀 머릿속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