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쿼카킴 Jan 12. 2019

로또 3. 우리 사회의 유행


 그렇기 때문에 위로와 힐링이 주가 되는 책과 이야기가 인기가 많을 수밖에 없다. 나는 때로 아무런 메시지가 없고 모호한 단어와 지나치게 많은 빈 공간으로 가득한 베스트셀러를 만날 때 당황하곤 한다. 왜 이런 책들이 읽히는가? 요즘 시대에 가장 분명한 것이야말로 공감과 위로이기 때문이다.

 컬러링북이 유행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그림을 직접 그리는 것도 아니고, 왜 그려진 그림에 색칠하는 게 유행할까? 어린 시절에나 하던 놀이 아닌가? 또 한동안 의문이었다. 아마도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는 건 이제 귀찮고 피곤한 일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백지는 이제 우리에게 두려움을 상징한다. 안 그래도 머리 아픈 일이 사방에 널렸는데 굳이 사서 머리 쓸 필요가 없다. 

 우리 세대에 또 다른 유행으로는 공무원시험이 있다. 공무원 되는 게 유행이라는 말은 좀 지나칠 수도 있겠지만, 학생들이 장래희망으로 공무원을 꼽고, 실제 수많은 청년이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까닭에 경쟁률은 상상을 초월한다. 내 주변에도 이미 공무원이 되었거나 공무원을 준비 중인 친구들이 많다. 그러나 꿈의 직장이라는 공무원이 되어서도 만족하고 행복해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답답하고 닫혀있는 공무원 사회에 무력함을 느끼고 노력해도 자신의 삶이나 집단을 바꿀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으며, 퇴직 후 연금이나 바라보고 종이나 떼는 인생이라고 스스로 폄하하고 있었다.

 공무원시험을 준비 중인 친구 S와 대화하다가 그 이야기가 나왔다. 시험을 준비 중인 S에게는 기분 나쁜 주제가 아닐까 조심스러웠지만 S의 생각은 분명했다. 

 “그건 딱히 공무원만 느끼는 문제는 아닌 거 같은데?”

 큰 노력을 기울여 사기업에 들어가도 사회초년생은 똑같은 문제에 부딪힌다. 노력한 것에 비해 결과는 너무 작게 느껴진다. 집단 안에서 나의 존재는 초라하고 무력하다. 출근이 이어질수록 새롭지도, 흥미롭지도 않은 인생의 지리멸렬함, 그 시간에 매몰되지 않으려고 다시 치열한 전쟁을 치러야만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로또 2. ‘보통’이 아니어야 비로소 ‘보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