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엔이방인 김상엽 Mar 13. 2023

[올라 UN] 다자외교

한 대 맞고 정신 차리자!

한창 유엔대표부에서 다자외교의 매력을 느끼고 있을 시점, 존경하는 한 외교관분께서 '외교에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항상 최선의 접근법은 다자외교가 아니며, 모든 국가들은 공통된 과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다자외교와 다른 접근법의 장단점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라고 하셨다.


그 당시에는 다자외교의 꽃인 유엔에서 다자간 협상을 통해 해결되는 글로벌 이슈를 직접 몸소 느끼고 있었는데, 그분의 말씀을 듣고 토르의 해머로 한 대 맞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아! 항상 열린 관점으로 사물을 바라봐야 하는구나라고.


그래도 양자외교가 아닌 다자외교로 외교 업무를 접했고, 양자외교보다는 다자외교의 매력과 장단점을 더 잘 알고 있다고 자부 아닌 자부하고 있다.


3개 이상의 국가가 참석한 회의(다자외교)는 그전에도 있었지만, 20세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G8 국가들의 회의와 냉전 종식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P5의 비밀 코커스(Secret caucuses)에서 그들의 영향력의 정점에 도달했다.


안보리 결의안 투표 중


다시 말해 다자외교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공동의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들이 집단으로 협력하는 실행(practice)이라고 보면 될 것이고, 종종 유엔과 같은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는 여러 당사자 간의 협상, 대화, 협력을 포함한다. 지역, 하위지역, 글로벌(regional, sub-regional, and global) 등 다양한 수준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평화와 안보, 인권, 경제 개발, 환경 보호와 같은 광범위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다.


다자외교의 기본 원칙은 주권 존중, 국가 간 평등, 분쟁의 평화적 해결 등을 포함하며 종종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와 동맹을 통해 협력을 촉진하고 합의를 구축한다. 전반적으로 다자외교는 국제협력을 촉진하고 집단행동이 필요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고 보면 된다.


그럼 소규모 임시 회의부터 유엔과 같은 보편적인 국제기구까지 다자외교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며, 그들의 다자외교를 통해 협의된 성공적인 예시는 무엇일까 알아보자.


다자외교의 장점

다자간 외교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점이 있다.

 - 협력 강화, Cooperation: 국가들 간의 더 큰 협력을 촉진하고, 국가들 간의 신뢰와 이해를 쌓는 데 도움이 된다. 협력함으로써, 국가들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고 그들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유된 도전을 해결할 수 있다.

- 향상된 합법성, Legitimacy: 개별 국가들이 취하는 일방적인 행동보다 세계적인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더 합법적인 장을 제공한다. 다자간 외교에 참여함으로써, 국가들은 국제 규범과 가치에 대한 그들의 헌신(commitment)을 보여줄 수 있다.

- 효율성 향상, Efficiency: 여러 나라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양자외교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복 작업을 방지하고 조정 능력을 향상해 시간과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 참여 증가, Participation: 국제 의사 결정에 더 광범위한 참여를 장려하고, 그것은 국가들이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발언권을 가질 수 있게 하고 더 포괄적인 글로벌 거버넌스를 촉진한다.

- 충돌 감소, Reduced conflict: 평화적 협상과 분쟁 해결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마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막고 장기적인 안정과 평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다자외교는 국제협력을 촉진하고 국가 간 신뢰를 구축하며 집단행동이 필요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고 보면 될 듯하다.


이 나라들과 다 협의하려면 얼마나 걸리는 거야?


다자외교의 단점

다자간 외교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 매우 느리고 복잡한 의사 결정을 거친다. 여러 당사자 간의 협상과 협의를 포함하여 느리고 복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Slow and complex decision-making.

- 규모가 크거나 영향력이 큰 국가가 의사 결정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자 외교는 규모가 작거나 덜 강력한 국가들에게 도전적일 수 있다. 이는 불평등한 결과를 초래하고 다자간 협정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 Imbalances of power.

- 여러 당사자 간의 조율이 필요한데 이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우선순위, 의제 및 관점의 차이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공통점을 찾고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Coordination challenges.

- 종종 구속력이 없으며, 이는 준수를 집행하기 위한 공식적인 메커니즘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협정의 효과를 제한하고 모든 당사자들이 그들의 약속을 확실히 이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Lack of enforcement.

- 다자외교는 모든 이해관계자, 특히 소외되거나 과소대표된 집단의 필요와 이익을 항상 적절하게 대변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협정의 효과를 제한하고 불평등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adequate representation.


전반적으로 다자간 외교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항상 최선의 접근법은 아닐 수 있다. 국가들은 공통된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다자간 외교와 다른 접근법의 장단점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라는 그분의 말씀으로 대신하겠다.


성공적인 다자외교 예시

역사를 통틀어 성공적인 다자외교의 예는 많이 있다. 그중 내가 유엔대표부에 있을 동안 직접 경험한 예시를 공유한다.

 - 파리 기후 협정을 들 수 있겠다. 2015년 190여 개국이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리 협정에 서명했다. 이번 합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공동의 틀을 개발하기 위해 각국이 협력하는 다자외교를 통해 협상됐으며, 대부분의 서명국들에 의해 비준되었으며 기후 변화와의 싸움에서 중요한 성과로 간주된다. 

- 두 번째는 이란 핵 협상의 예시이다. 2015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러시아는 경제 제재를 해제하는 대가로 이란과 핵 프로그램을 제한하기로 합의했다. 협상은 복잡하고 논쟁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협력하는 다자간 외교를 통해 진행되었다. 이 협정은 핵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성과로 널리 알려졌다. 


다음 다자협약은 1990년대에 다자외교를 통해 협상되었으나, 현재까지 좋은 예시로 남아 있어서 공유한다.

- 대인지뢰금지협약: 1997년 122개국이 대인지뢰 사용, 생산, 비축, 반출을 금지하는 대인지뢰금지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지뢰의 인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이 협력하는 다자외교를 통해 협상되었고, 대부분의 서명국들에 의해 비준되었으며 국제 인도주의법을 추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성과로 간주된다.


각각의 예시에서 다자간 외교는 여러 당사자 간의 협상, 대화 및 타협을 포함했다. 각국은 공동의 목표를 식별하고, 공동의 해결책을 찾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협력했다. 그 과정은 일반적으로 유엔과 같은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는 일련의 회의, 협상, 협의를 통했으며, 궁극적으로 다자외교의 성공은 선의로 협력하고, 서로의 이익과 우려를 존중하며,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공동의 해결책을 찾으려는 국가들의 의지에 달려 있다.


중남미 외교관들과 함께 유엔 결의안 협상 준비 전 티타임


그래도 난 다자외교가 좋다.

다자외교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비판 중 하나는 시급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는 데 느리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합의의 필요성과 여러 당사자의 개입으로 인해 당면한 문제 해결에 대해 지연과 기대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다자외교는 많은 이점이 있지만 도전과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복잡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효과를 보장하고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중한 고려와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려와 평가 과정을 전 세계 국가들과 함께 하면서 교훈을 얻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가지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어서 난 양자외교보다는 다자외교가 좋다.


(사진 출처: 개인 소장)


Disclaimer - This post was prepared by Sang Yeob Kim in his personal capacity. The opinions expressed in this article are the author's own and do not reflect the view of his employer.


#국제기구 #해외취업 #유엔 #인턴 #영어 #스페인어 #UN

매거진의 이전글 [올라 UN] 군축위원회는 Assembly Line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