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엔이방인 김상엽 May 17. 2023

[올라 UN] 유엔 회원국

회원국 자격 요건 및 가입 절차

오늘은 어떻게 한 나라가 국제기구 회원국이 될 수 있는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유엔을 예로 들어보겠다.


2011년 주유엔칠레대표부 근무 당시, 유엔 회원국이 된 국가가 있었고, 유엔총회장에서 그 국가의 가입 승인 관련 회의에 참석하는 기회를 가졌었다. 그 국가는 193번째 유엔 회원국이 된 남수단이다.


유엔은 1945.10.24. 미국·영국·프랑스·중국·소련과 그 밖의 회원국 과반수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을 기념하며 유엔 헌장을 비준하며 공식 출범했으며, 이 명칭은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가 고안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26개국 대표가 모여 추축국(독일·이탈리아·일본)에 대항하여 계속 싸우자고 결의하였던 1942년 연합국 선언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 주 뉴욕 시에 있으며, 각국에서는 매년 10월 24일을 유엔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2023년 현재 회원국 수는 193개국이다.


회원국 자격

그러면 어떻게 새로운 국가나 정부가 유엔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나?

유엔 헌장에 따르면, 유엔 기구의 회원국 자격은 "is open to all peace-loving States that accept the obligations contained in the United Nations Charter and, in the judgment of the Organization, can carry out these obligations"(유엔 헌장에 포함된 의무를 받아들이는 모든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들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이 기구의 판단에 따라 이러한 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 각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권고 및 총회의 결정에 따라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다.


새로운 국가 또는 정부를 인정하는 것은 다른 국가 및 정부만이 허용하거나 보류할 수 있는 행위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외교 관계 설립을 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유엔은 국가 또는 정부가 아니므로 국가 또는 정부를 인정할 권한이 없다. 반면, 독립 국가의 조직으로서, 그것은 새로운 국가를 회원국으로 인정하거나 새로운 정부 대표의 자격을 인정할 수 있다.


회원국 절차

그럼 회원국 절차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국가는 사무총장에게 신청서와 헌장에 따른 의무를 수락한다는 공식적인 편지를 제출하고, 안보리는 그 신청을 고려한다.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 등 5개 상임이사국 중 어느 누구도 신청서에 반대표를 던지지 않았다면, 모든 가입 권고는 15개 안보리 이사국 중 9개 이사국의 찬성표를 받아야 한다.


안보리가 권고하면, 그 권고는 유엔 총회에 검토를 위해 제출된다. 새로운 회원국을 승인하기 위해서는 유엔 총회에서 3분의 2의 다수결이 필요하다. 회원국 자격은 총회 결의가 채택된 날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유엔 회원국 증가

1945년 51개 회원국으로 시작한 유엔은 지구상의 다양한 나라들이 가입하여 현재 193개 회원국으로 되었다.


51개 회원국 (1945년)

아르헨티나, 호주, 벨기에, 볼리비아(2009.4.7. 볼리비아 다민족국으로 변경), 브라질,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벨라루스), 캐나다, 칠레, 중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체코슬로바키아(1993.1.1.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 덴마크,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1958.2.21. 이집트와 시리아 연합 결성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으로 변경, 1961.10.13 시리아 독립 후 지위 회복, 1971.9.2. 아랍 연합 공화국은 이집트 아랍 공화국으로 변경)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인도, 이란(1981.3.5. 이란 이슬람 공화국으로 변경), 레바논, 라이베리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우크라이나), 남아프리카 연방(1961. 남아프리카로 변경),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현 러시아),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유고슬라비아


55개 회원국 (1946년)

아프가니스탄, 아이슬란드, 스웨덴, 시암(1949.5.11. 태국으로 변경)


57개 회원국 (1947년)

파키스탄, 예멘


58개 회원국 (1948년)

버마(1989.6.18. 미얀마 연합으로 변경, 2011.3.30. 미얀마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


59개 회원국 (1949년)

이스라엘


60개 회원국 (1950년)

인도네시아(1965.1.20. 유엔 탈퇴 결정, 1966.9.19. 유엔 활동 재참여 결정)


76개 회원국 (1955년)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캄보디아, 실론(1991.9.19. 스리랑카로 변경), 핀란드,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요르단, 라오스(1975.12.2. 라오스 인민공화국으로 변경), 리비아(1969.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로 변경, 2017.12.22. 리비아로 변경), 네팔, 포르투갈, 루마니아, 스페인


80개 회원국 (1956년)

일본, 모로코, 수단, 튀니지


82개 회원국 (1957년)

가나, 말라야 연방(1963.9.16. 말레이시아로 변경)


82개 회원국 (1958년)

기니


99개 회원국 (1960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콩고(브라자빌, 1970. 콩고 인민 공화국으로 변경, 1971.11.15. 콩고로 재변경), 콩고(레오폴드빌, 1997.5.17.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 키프로스, 다호메이(1974.11.30. 베냉 공화국으로 변경), 가봉, 아이보리 코스트(1985, 코트디부아르로 변경), 말라가시 공화국(1975.12. 마다가스카르 민주공화국으로 변경),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소말리아, 토고, 어퍼 볼타(1984, 부르키나파소로 변경)


104개 회원국 (1961년)

모리타니, 몽골, 시에라리온, 탕가니카(1964.4.26. 탕가니카와 잔지바르 연합, 196411.1.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으로 변경)


110개 회원국 (1962)

알제리, 부룬디, 자메이카, 르완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간다


113개 회원국 (1963년)

케냐, 쿠웨이트, 잔지바르


115개 회원국 (1964년)

말라위, 몰타, 잠비아


117개 회원국 (1965년)

감비아, 몰디브, 싱가포르


122개 회원국 (1966년)

바베이도스, 보츠와나, 가이아나, 레소토


123개 회원국 (1967년)

민주 예멘(1990.5.22. 예멘과 민주 예멘은 합병되어 예멘으로 된 하나의 회원국이 됨)


126개 회원국 (1968년)

적도 기니, 모리셔스, 스와질란드


127개 회원국 (1970년)

피지


132개 회원국 (1971년)

바레인, 부탄,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135개 회원국 (1973년)

바하마,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1990.10.3. 독일 민주 공화국과 독일 연방 공화국의 통일로 인해 독일로 변경)


138개 회원국 (1974년)

방글라데시, 그레나다, 기니비사우


144개 회원국 (1975년)

케이프 베르데, 코모로, 모잠비크, 파푸아 뉴기니, 상투메 및 프린시페, 수리남


147개 회원국 (1976년)

앙골라, 사모아, 세이셸


149개 회원국 (1977년)

지부티, 베트남


151개 회원국 (1978년)

도미니카, 솔로몬 제도


152개 회원국 (1979년)

세인트루시아


154개 회원국 (1980년)

짐바브웨의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57개 회원국 (1981년)

앤티가 바부다, 벨리즈, 바누아투


158개 회원국 (1983년)

세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1986.12.16. 세인트 키츠 네비스로 변경)


159개 회원국 (1984년)

브루나이 다루살람


159개 회원국 (1990년)

리히텐슈타인, 나미비아


166개 회원국 (199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한민국


179개 회원국 (1992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조지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몰도바 공화국,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184개 회원국 (1993년)

안도라, 체코, 에리트레아, 모나코, 슬로바키아,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 1945.6.26.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공화국, 슬로베니아 공화국,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1992 분할

** 2019.2.14.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

*** 2006.6.3.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로부터 독립, 2006.6.28. 유엔 회원국 가입


185개 회원국 (1994년)

팔라우


188개 회원국 (1999년)

키리바시, 나우루, 통가


189개 회원국 (2000)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투발루


191개 회원국 (2002년)

스위스, 티모르-레스테


192개 회원국 (2006년)

몬테네그로

남수단 회원국 가입

마지막으로 2011.7.9. 남수단이 수단에서 분리가 되어 2011.7.14. 에 유엔 회원국 가입을 해서 193개 회원국이 되었다. (2023.5월 기준 193개 회원국)


* 연도별 회원국명 순서는 유엔사무국 기준


(사진 출처: 유엔사무국웹사이트)


Disclaimer - This post was prepared by Sang Yeob Kim in his personal capacity. The opinions expressed in this article are the author's own and do not reflect the view of his employer.


#국제기구 #해외취업 #유엔 #인턴 #영어 #스페인어 #UN



매거진의 이전글 [올라 UN] 회의 비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