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엔이방인 김상엽 Jun 30. 2023

[올라 UN] 유엔 회원국 그룹

넌 소속이 어디냐?

최근에 우리 대한민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알제리,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가이아나와 함께 2024~2025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총 유효투표 192표 중 무려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시아 태평양 국가 그룹의 이사국으로 선출됐다.


아시아 태평양 국가 그룹의 이사국으로 선출됐는데, 유엔 내에는 어떤 그룹이 있고, 왜 그룹이 있으며, 우린 어디에 소속이 되어 있나요? 하고 몇몇 독자분들께서 문의가 들어왔다. 유엔 회원국들은 다양한 목적(정치적, 경제적 등)에 따라 (회원 자격을 가진) 공식 및 비공식 그룹에 속해있다. 유엔 총회 기준으로 활동하는 그룹의 유형에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를 해보겠다.


예를 들어, regional groups(지역 그룹들)은 다른 유엔 기구들의 회원국들 간 공평한 지리적 의석 분배를 촉진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 아프리카 국가 그룹 (54개 회원국)

• 아시아 태평양 국가 그룹 (54개 회원국)

• 동유럽 국가 그룹 (23개 회원국)

• 중남미 카리브해 국가 그룹, GRULAC(33개 회원국)

•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 WOG(28개 회원국 + 미국)


사실 미국은 어떤 그룹의 공식 회원국도 아닐뿐더러, 서유럽과 다른 국가들의 모임에 옵서버로 참여한다. 반면 미국은 유엔 총회 내 투표 시에는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의 회원으로 간주된다. 재미난 사실은 튀르키예는 아시아 태평양 그룹과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의 회원국 동시에 두 그룹에 속해있는데, 유엔 총회 투표 시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의 회원국으로만 간주된다. 교황청은 옵서버 자격으로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 회의에 참석한다.


지역 그룹은 공식적으로 투표 및 기타 목적으로 존재하지만, 일부는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조정하거나 그룹 구조를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지역 그룹의 의장은 월 단위로 순환하고, 의장은 회의, 행사에서 그룹을 대표하여 발언할 수 있다.


주요 그룹

그럼 공식 유엔 총회 회의에서 정기적으로 공동 성명을 발표하는 그룹만 간략히 설명하겠다.


77그룹과 중국 (G77, Group of 77 and China)

어느 한 의제에 다수의 표가 필요하다 싶으면, 77그룹이 움직이고 대부분 정치적인 배경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경제나 개발 관련 의제에서 개발도상국들의 자국 이익에 반하는 결의안이 상정되면, 77그룹은 반대표를 던져 그 결의안이 부결되도록 한다. 참고로, 77그룹+중국이라고 하며, 77그룹 내 중국의 막강한 힘이 반영된다고 생각하면 중국이 이 그룹을 통해 국제사회 의제에 대한 협상, 결정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G77은 회원국들의 집단 경제적 이익을 증진하고 유엔에서 고도의 (공동) 협상 능력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발도상국들의 조직이다. 현재 134개의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고, 의장은 매년 1월 1일부터 교대한다. 유엔 총회에서 G77은 모든 제2위원회(경제․개발 및 금융) 및 제5위원회(행정 및 예산) 및 개발과 관련된 일부 제3위원회(사회적, 인도적, 문화적 문제)에 대해 협상을 한다. G77은 UN 본부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한국은 1996년 OECD에 가입한 이후 G77에서 탈퇴했다. www.g77.org


비동맹 운동(NAM, Non-Aligned Movement)

비동맹 운동(NAM)은 자신들이 어떤 주요 권력 블록에 공식적으로 동조하거나 반대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국가들의 집단이다. NAM에는 현재 118개의 회원국과 18개의 옵서버 국가가 있다. NAM 정상회담은 3년마다 열리며, 정상회담의 주최국은 다음 정상회담까지 자동으로 의장국이 된다. "NAM 트로이카"는 현재, 이전 및 차기 의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엔 총회에서 그룹은 평화 및 안보 문제뿐만 아니라 제1위원회(군축 및 국제안보), 제4위원회(특별정치 및 탈식민), 제6위원회(국제법) 및 일부 제3위원회에 대해 협상을 한다. 북한이 이 그룹에 속해있고, 동북아 지역 혹은 한반도 관련 이슈가 나오게 되면 한국은 두 눈을 크게 뜨고 NAM 동향을 체크한다.


합동조정위원회(JCC, Joint Coordination Committee)

JCC는 NAM과 G77을 위한 조정 및 조화 메커니즘으로, 양자 간의 불필요한 업무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협력 및 조정을 강화하는데, 공동 NAM 및 G77 성명은 JCC의 이름으로 작성될 수 있다고 한다.


유럽 연합(EU, European Union)

EU는 28개 유럽 국가들 사이의 통합된 경제적, 정치적 동반자 관계라고 보면 된다. 유럽 연합은 뉴욕에 자체 외교 업무와 상설 사무소인 유럽 연합 대표부가 있다. EU는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지위를 강화하고 유엔 활동의 전체 범위를 조정한다. EU 의장직은 매 6개월마다 순환한다. www.europa.eu


아프리카 연합(AU, African Union)

아프리카 연합에는 55개의 회원국이 있습니다. 아프리카 연합은 관찰자 지위를 가지고 있고 뉴욕에 영구적인 사무실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AU와 아프리카 국가 그룹은 GA 문제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뉴욕의 AU 대표단은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한 회의 시설을 제공합니다. 보통, 아프리카 국가 그룹은 아프리카 연합이 아닌 GA에서 연설합니다. www.au.int


군소도서국가연합, Alliance of Small Island States)

AOSIS는 42개의 작은 섬 국가들과 저지대 해안 국가들의 동맹이며, 38개 회원국과 5개 옵서버국이 있다. 의장은 3년 임기이다. http://aosis.org


아세안(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은 10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장은 1년 임기이다. www.aseansec.org


CANZ(Canada, Australia, New Zealand)

특정 문제에 대해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는 그들의 입장을 조정하고 그들 중 한 국가가 모두를 대표하여 발언하거나 협상한다.


카리콤(CARICOM, Caribbean Community)

카리브 공동체(CARICOM)는 15개 회원국과 5개 준회원국으로 구성된 20개 카리브해 국가 및 종속국의 조직을 말한다. CARICOM은 회원들 사이에서 분기별로 의장직을 교대하며, 옵서버 자격으로 협상에 참여하고, 뉴욕에 대표사무실이 있다. www.caricom.org


걸프 협력 이사회(GCC, Gulf Cooperation Council)

GCC는 6개국(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뉴욕에 옵서버 사무실이 있다. http://www.gcc-sg.org/en-us/Pages/default.aspx)


CELAC

CELAC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국가의 공동체(이전의 "리오 그룹")이며, 33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http://celacinternational.org/


최빈개도국(LDC,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는 회원 자격이 GA에 의해 정의된 일련의 기준에 기초한 국가 그룹이며, 현재 48개의 LDC가 있다. 그룹의 의장은 3년마다 한 번씩 교대한다. www.unohrlls.org


내륙형 개발도상국(LLDC, Landlocked Developing Countries )

32개의 LLDC가 있으며, 유엔 총회는 LLDC의 특별한 상황을 인정한다. 의장 임기는 2년. www.unohrlls.org


아랍 연맹(League of Arab States)

아랍 국가 연맹 (때로는 "아랍 연맹"이라고도 함)은 지역 조직이며, 21개의 회원국과 4개의 옵서버국이 있다. 의장은 월 단위로 순환하며 아랍 국가 연맹은 제4위원회와 중동 문제에 협상을 한다. 아랍 국가 연맹은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뉴욕에 사무소를 유지하고 있다. www.arableagueonline.org


북유럽 국가들

북유럽 협력 국가들에는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과 세 자치 지역이 포함된다. 의장직은 매년 순환직제다고 한다. www.norden.org


이슬람 회의 기구 (OIC,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OIC는 5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그룹이며, 이슬람 정상회의 주최국은 3년간 의장직 맡는다. OIC는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뉴욕에 대표단을 유지하고 있다. www.oic-oci.org


태평양 제도 포럼(PIF, Pacific Islands Forum)

태평양 제도 포럼은 16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국가들로 구성된 정치 그룹이다. 연례 포럼의 주최국은 포럼 다음 해의 의장국이기도 하다. www.forumsec.org.fj


태평양 군소도서국(PSIDS, Pacific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PSIDS는 특히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 문제에 대해 회원국을 옹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 태평양 섬 국가들의 그룹이다.


책임성·일관성·투명성을 지지하는 그룹(ACT, Accountability, Coherence and Transparency Group)

ACT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책임성, 일관성, 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27개 중소국의 지역 간 그룹이다.


JUSCANZ: JUSCANZ는 원래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및 뉴질랜드(이후 이름)로 구성된 비공식 회원국 그룹이다. 이 그룹은 확대되었고 이제 G77, NAM 또는 EU에 속하지 않는 다른 국가들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제2위원회 및 제3위원회 문제에 참여한다.


"주요 그룹(Major Groups)"에 대한 참고 사항: 이 용어는 시민 사회단체를 지칭할 때 지속 가능한 개발(2030 의제)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9개의 주요 그룹 분야(기업과 산업, 어린이와 청소년, 농부, 원주민, 지방 당국, NGO, 과학기술계, 여성, 노동자와 노동조합)가 있다. www.un.org/esa/dsd/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민국은 그 어느 그룹에도 속해있지 않아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다. 어느 분께서 우리는 MIKTA(멕시코 Mexico, 인도네시아 Indonesia, 한국 Korea, 튀르키예 Türkiye, 호주 Australia의 5개 중견국으로 구성된 지역 간 cross-regional 협의체)에 속해있고, 유엔에서 공동 성명을 하는 것으로 아는데, 이를 통해 우리의 영향도 크지 않을까라고 물었다. 사실 협의체 목적이 국제사회의 공동이익 증대 기여라는 공통 과제가 있다고 하지만, 주유엔칠레대표부에서 근무 시(2011-17)에 믹타 협의체가 공동 성명을 통해 동일한 입장을 갖는 의제가 거의 없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유엔예산위원회 협상 중에 호주외교관 친구에게 "믹타에서 공동 성명을? 너희 국가 입장과 조금 다른 것 같은데?"라고 물어보니, 그 친구가 "국가 입장을 기본으로 우린 믹타보다 CANZ에 더 무게감을 두고 있어."라고 조용히 답변했다.


가끔 유엔 협상장에서는 소수의 강대국(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일본 등)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나라들이 각 지역적, 정치적, 경제적 목적인 그룹에 속해서 발언을 해가는 것을 보면 국제정세가 어떻게 흘렀으며, 현재 누가 국제정세 물줄기를 잡고 있으며, 미래에 어디로 흘러갈지의 맥락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제69차 유엔 총회 제5위원회(행정예산) 2차 속개회의(the second resumed part of the sixty-ninth session)에서의 MIKTA, EU, G77+China, 일본 그리고 미국대표의 발언문을 첨부하니, 각 그룹 및 국가의 입장을 잘 살펴보길 바란다.(2차 속개회의에서는 유엔 평화유지군의 예산 및 행정에 대해 논의한다.)


(사진 출처: 유엔사무국홈페이지)


Disclaimer - This post was prepared by Sang Yeob Kim in his personal capacity. The opinions expressed in this article are the author's own and do not reflect the view of his employer.


#국제기구 #해외취업 #유엔 #인턴 #영어 #스페인어 #UN

매거진의 이전글 [올라 UN] 유엔 회원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