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팽이구름 Jan 02. 2022

할머니의 엄마에게

부모가 죽음을 잘했으니, 나도 잘하겠지



할머니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다. ‘내가 죽게 되면’ ‘나 죽으면’ ‘빨리 죽어야지’라는 말. 우리 할머니는 한 번도 그 말을 한 적이 없었다. 그런데 어느 해부턴가 무거운 자연의 질서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듯 그 말들을 꺼내기 시작했다. ‘또 언제 보겠나’ 라며 눈물 바람을 하는 날도 생겨났다. 다가올 이별은 막을 도리가 없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말은 ‘에이, 그런 말 마’ ‘무슨 그런 말을 해’라는 것뿐. ‘죽지 않을 거야’라고 말할 순 없으니 그만 말문이 콱 막혀버리고 만다.          



할머니는 어떤 답을 기대하는 걸까? 우리가 어떻게 말해야 조금이나마 위안이 될까. 죽음이 멀지 않았으니 이별을 잘 준비해 보자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자주 보자는 말인 걸까. 아니면, 부모를 보내며 겪었던 순간들이 떠올라 미리 예고편을 날리는 걸까. 할머니 나이가 되면 그 말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될는지.     


  

누가 언제 죽었고, 몇 명이 남아 있는지를 헤아려보는 것이 어른들의 안부 인사. 누구는 치매에 걸려서 아무도 못 알아본다더라. 누구는 갑자기 쓰러져서 죽었다더라. 누구는 더 이상 거동이 어려워 요양원에 갔다더라. 함께 시간을 쌓아온 이들이 하나 둘 곁을 떠나가는 것을 지켜보며 할머니는 아마 저 뒤로 미뤄뒀던 세상과의, 우리와의 이별이 그리 멀지 않았음을 깊이 체감했을 것이다.       



언젠가 할머니는 ‘부모가 죽음을 잘했으니 나도 잘하겠지.’라고 말했다. 보통 엄마를 따라간다는 입덧처럼, 죽음 역시 무사히 지나가겠거니 어림짐작하는 것 같았다.  내 부모가 그럭저럭 잘 해냈으니, 나 역시도 아마 그렇지 않겠느냐고. 



무서운 주사를 맞을 때 엄마들이 ‘선생님, 덜 아프게 놔주세요.’ 그러면, 선생님들은 기꺼이 친절을 베풀어 줄 텐데. 할머니가 ‘죽음이 덜 아프게 해 주세요.’라고 어딜 가서 부탁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도 고작 ‘우리 곁에 오래오래 있다가, 편안히 가게 해주세요.’라고 기대해 보는 것 말고는 별다른 도리가 없다.          



그러니 이럴 때, 주사가 그저 따끔할 뿐이라며 견딜 수 있는 만큼의 두려움만 꼭꼭 씹어 입에 넣어주는 것처럼, 할머니의 엄마가 나타나 말해주었으면. ‘세상과의 이별이 그렇게 아프지 않더라, 무탈하게 지나갈 테니 걱정 말아라.’라고 할머니와 우리를 조금 안심시켜 주었으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