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익명의물고기 Jun 12. 2023

노동법령 용어번역 : 사직, 해고, 계약종료

resignation, dismissal, termination

최근에 의뢰를 받아 한-영 취업규칙을 하나 만들었다.
'퇴직'에 관한 사항과 '제재(=징계)'에 관한 사항은 취업규칙의 필수기재사항이다.
 

근로기준법
제93조(취업규칙의 작성ㆍ신고)
 상시 1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 업무의 시작과 종료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 근로에 관한 사항
2. 임금의 결정ㆍ계산ㆍ지급 방법, 임금의 산정기간ㆍ지급시기 및 승급(昇給)에 관한 사항
3. 가족수당의 계산ㆍ지급 방법에 관한 사항
4. 퇴직에 관한 사항
5.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에 따라 설정된 퇴직급여, 상여 및 최저임금에 관한 사항
6. 근로자의 식비, 작업 용품 등의 부담에 관한 사항
7.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설에 관한 사항
8. 출산전후휴가ㆍ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
9. 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
9의2. 근로자의 성별ㆍ연령 또는 신체적 조건 등의 특성에 따른 사업장 환경의 개선에 관한 사항
10. 업무상과 업무 외의 재해부조(災害扶助)에 관한 사항
11.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발생 시 조치 등에 관한 사항
12. 표창과 제재에 관한 사항
13. 그 밖에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 전체에 적용될 사항

 
근로관계의 종료 사유로는 ⓐ근로자 일방이 근로계약의 해지를 청약하는 경우(사직) ⓑ사용자 일방의 의사로 근로계약을 해지하는 경우(해고) ⓒ계약기간 만료, 정년 등 사직도 해고도 아닌 경우가 있다.


각각의 경우 영어로는 각각 이런 용어로 번역된다고 한다 :  


1. Resignation(사직=자발적 퇴사): Resignation occurs when an employee voluntarily chooses to end their employment with an organization. It is a decision made by the employee and communicated to the employer through a formal resignation letter or verbal notice. Resignation is usually motivated by personal reasons, career advancement opportunities,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job, or a desire for a change. The employee typically provides notice as per the terms of the employment contract or local labor laws.


2. Dismissal(해고): Dismissal, also known as termination or firing, is the involuntary termination of an employee initiated by the employer. It occurs when an employee's employment is terminated due to reasons such as misconduct, violation of company policies, poor performance, insubordination, breach of trust, or other disciplinary issues. Dismissal is a serious action taken by the employer and usually follows a proper investigation, disciplinary procedures, and adherence to legal requirements or due process.


3. Termination(근로계약 종료 일반): Termination refers to the end of an employment relationship initiated by either the employer or the employee. It can occur for various reasons, such as completion of a fixed-term contract, redundancy, violation of company policies, or performance issues. Termination can be initiated by either party and is typically done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and conditions outlined in the employment contract or local labor laws.


이런 느낌


필수기재사항 중 법령 내용과 거의 비슷한 조항은 법령번역센터 홈페이지에서 긁어와도 되지만 그래도 납품하기 전에 꼼꼼히 봐야 한다.


'children'이 누락됨


왜냐면 이것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 가끔 오류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우연히 남녀고용평등법 가족돌봄휴직 조항에서 오류 찾고 신고해서 기프티콘 받았다.


지금은 고쳐져있다. 뿌-듯


단순자문 뿐 아니라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 등 binding force가 있는 영문 문서 검토를 요청받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면서 작년에 법률번역 전문가 과정을 수강했었다. 그게 아니었다면 상법을 들여다 볼 일이 거의 없었겠지만..과제하다가 상법에서도 한개 찾았다.


이것 역시 지금은 고쳐져 있다!


엄밀하고 정확한 표현을 찾는 일은 언제나 즐겁다.

작가의 이전글 넌 중요하지 않아. 그러니 너 좋은 대로 살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