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풀 May 29. 2022

허클베리(Huckleberry), 내 오랜 궁둥이 열매

글벗의 공간에서 오래 전 미시시피강에서 찍은 사진을 보았습니다.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곳이지만, 어딘가에 오랜 벗이 싱긋 웃으며 손을 흔들 것만 같습니다.

나의 ‘허클베리 프렌드(Huckleberry friend)’가요.


“앞니 빠진 허클 씩씩한 소년~

유유히 흐르는 미시시피강~”


만약 이 노래를 함께 흥얼거리신다면, 귀하의 나이는, 채소 반 구십세, 훗!훗!훗!

만화영화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 떠오르시나요?


원작 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 of Huckleberry Finn/1884년)은, ‘톰 소여 모험(the adventure of Tom Sawyer/1876년)’, ‘미시시피강의 생활(life on the Mississippi/1875년)’과 함께, 마크 트웨인의 ‘미시시피 3부작’으로 불립니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인쇄소 견습공으로 떠돌다가, 도선사(導船士: 이끌 도, 배 선. 안전한 수로로 배를 안내하는 사람)로 일했던 마크 트웨인.

그에게 미시시피강은 상상력과 리얼리즘을 함께 키워준 공간이었습니다.


톰 소여의 모험 때 조연이었던 허클베리 핀은, 8년 만에 주인공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화목한 집 귀염둥이 톰보다 홀로 외롭게 살아가는 허클베리에게, 더 큰 연민과 사랑이 모였나 봅니다.

하긴, 저도 완벽한 천재보다는 어딘가 어리숙해 보이는 주인공들을 더 좋아합니다.

구영탄이나 강백호가 가진 외로운 그늘이 정겹습니다.^^;;


Huckleberry는 무슨 뜻일 가진 이름일까요?

huckle은 궁둥이나 넓적다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 열매 ‘huckleberry’는 궁둥이처럼 퉁퉁하죠.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 주제가 ‘moon river’ 끝부분 노랫말 ‘huckleberry friend’ ‘정겨운  뜻합니다.

통통한 모습으로, 함께 허클열매를 따며 어린 시절을 보내서 붙은 이름 같습니다.


Family name인 Finn은 핀란드와 관계가 있는지 아닌지는 찾아봐도 모르겠습니다.

분명한 건 핀이란 성을 쓰는 사람들은 허크와 부랑자인 아버지 팹(Pap)뿐이란 점입니다.

생각해 보니 Pap이란 이름도 ‘아무 가치 없는 것’, ‘옥수수죽’ 같은 뜻을 가졌네요… (죽 같군요.)

불운한 환경에서 막 살아온 사람이, 아들의 이름도 큰 의미 없이 지었다고 추측해 봅니다.


반면 톰 소여(Tom Sawyer)란 이름엔  의미와 직업이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Tom은 예수의 사도(使徒: 시킬 사, 무리 도. 일꾼) 토마(Thomas)에서 왔습니다.

원래 아람어 어원으론 쌍둥이(twin)을 의미합니다.


패밀리 네임인 소여(Sawyer)는 톱질꾼이란 직업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소여’가 아니라 ‘소이어’라고 표기했다면, 테일러나 베이커처럼 이해가 쉬웠을 듯합니다.


미국만의 작명 방식은 아닙니다.

남성들의 드림카 Ferrari도 직업에서 왔습니다.

페라리는 대장장이를 뜻하는 라틴어 ‘ferrum’에서 유래했습니다.

이태리어 ferro는 쇠를 뜻합니다.

쇠를 다루는 대장장이를 ‘ferraiolo’라고 부릅니다.

대장장이 가문에서 엄청난 쇳덩이를 만들어냈다고 볼 수도 있겠군요.

그렇다고 페라리사의 설립자 엔초 페라리도 대장장이 출신은 아닙니다.^^;;


나라를 한국으로 옮겨 상상엔진에 불을 붙입니다.

인구수 1위인 김(金: 쇠 금)씨는, 철을 만들던 사람들이었을까요?

영남에 있던 고대국가 가야의 대표 생산물은 철이었습니다.

신(申: 펼 신)씨는 금속을 늘이고 펴는 금속 가공업에 종사했는지 궁금해집니다.

나무 목(木)에 점 복(卜)자가 붙은 박(朴)씨는 예언자나 교육자 집안일 것 같기도 합니다.


그저 상상입니다.

확실한 근거가 있지 않으니, 오해하지 말아 주십시오.

그냥 이런 해석 저런 상상이 즐거울 뿐입니다.


만약 직업적 특성으로 성씨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저는 ‘전할 전(傳)’자나 ‘이야기 설(說)’자를 고를 것 같습니다.

전대두, 전대두환, 전대가르…

음… 아무래도 설대두가 낫겠군요.^^;;

작가의 이전글 [바둑, 밭 위의 Stone War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