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벨뷰의 정원 Dec 16. 2023

오늘의 일이 편안하신가요?


미국 학계에서 생각보다 많이 쓰는 말 중 하나는 편안(comfortable)이다.  업무를 하는 것이 편안하게 느껴지는지 내게 묻는다.


편안함은 소파에 앉거나 고양이를 안고 있을 때 느껴지지, 일할 때 느끼는 감정은 아니지 않나? 잘 적응이 되질 않았다. "불편해서 못하겠어."라고 말하는 것도 어색했다. 그래서 편안한지 물으면, "물론이지!!"라도 쾌활하게 대답하곤 했다.


몇 년이 지난 지금은 누군가 내게 이런 질문을 하면, 정말 내가 편안한지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고 대답을 한다. 좋으면 좋고 싫으면 싫다고.





예문을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지도교수가 학생에게: 지금 하는 연구를 출판할 준비가 되었니? (내가 보긴 충분한 것 같은데 네가 보기엔 완벽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 그래도 이젠 출판하는 게 좋겠다)

(Do you feel comfortable with submitting the current version of manuscript?)

기자가 학자에게: 이 (예민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주실 수 있을까요?

(Are you comfortable with talking about this (sensitive) subject?)

공저자끼리: 12월 말로 잠정적 데드라인을 정해도 부담이 없으시겠죠?

(Shall we tentatively aim for December for this work, if you guys feel comfortable to do so...?)




이런 이성적이고 격식 있는 질문을 할 때에 '편안함을' '느끼다'라는 감정적 표현을 쓰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졌었다.


한국에서 일할 땐 불편이 당연했다. 나도 아프고, 동료도 아프고, 상사도 아프고, 다 아팠다. 모두가 고통스럽게 앞으로 노를 저어 가는데 내 손가락 아프다고 칭얼댈 수는 없었다. 내가 편안한지 아무도 묻지 않았고, 나도 아무에게도 묻지 않았다.






미국 사람들에게 Feel comfortable~?은 나름대로 상대에 대한 존중의 표현이다. "불편해할 만한 일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으니, 혹시 당신이 불편하다면 솔직히 이야기해주세요."와  같은.


또한 판단의 '주관성'을 인정한다. A에겐 불편한 일이 B에겐 편할 수도 있다. "내가 왠지 꺼려지는데." "그건 내 원칙에 반하는데." "그 날은 일정이 좀 많아 피곤할 것 같은데." 다 좋은 이유가 된다.


사실 이유를 구체적으로 말할 필요도 없다. I am not sure if I would feel comfortable to do so. 라고 말하면 그만이다. 그러면 상대방은 용수철처럼 "어이쿠! 그러시다면 염려마세요. 괜찮습니다."라고 할 것이다.





나는 이런 식의 화법이 데이비드 흄의 상대주의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추정한다. 이성의 감성에 대한 우위를 주장했던 칸트와 달리, 흄은 사람들이 두루 편안하게 느끼는 것이 곧 사회의 도덕이 되며 인간의 이성은 감성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니 '사회적으로 옳은지' 대신 '네가 편안한지'를 묻는 것이 흄 입장에선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다.


미국의 법, 정치체계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사례 기반적, 맥락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똑똑한 몇 사람이 '노오력'하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낼 수 있으리라는 플라톤적 엘리트주의가 (없진 않겠지만, 우리나라에 비해 훨씬) 희미하다. 개별 문제에 대해 여러 사람이 치열하게 논쟁하다보면 이렇게 저렇게 보다 나은 결론에 도달하겠지-라는, 조금은 느긋하고 답답하고 혼란스럽고 비효율적인 시스템이다.


'회사의 성장을 위해서라면 맡은 바 임무를 열심히 해야지.'

'네가 승진하려면 더러운 것도 꾹 참아야지.'

'학생의 본분은 공부지.'

미국인들에긴 이런 의무론적 명제가 잘 통하지 않는다.



그들은 이렇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인간은 제멋대로이고 누가 시킨다고 해서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 불편하게 만들면 반감만 살 뿐이다. 그러니 네가 유명해지고 싶고 성공하고 싶다면 이 기회를 알아서 놓치지 않겠지. 너와 나의 편안함의 레벨이 다를테니, 너의 편안함이 무엇인지 나에게 알려주길 바란다. 그렇게 맞춰나갈 수 있는지 한 번 보자. 안 되면 빠이빠이하는 거고!'






'편안한지'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나는 내 감정이 온순한게 반응하는지보다, 내 양심에 부합하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내가 쓴 글이 학자로서 양심에 비추어볼 때 세상에 내놓을 퀄리티가 되었나. 내가 말하려는 이슈가 비록 논쟁적이긴 하지만 누군가는 말해야 하는 주제인가. 이렇게 나 개인이 나에게 셋팅해놓은 기준을 한 번 점검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확신이 서지 않으면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말하고 거절한다.


나는 이런 화법이 개인의 양심을 존중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에 기여했으리라고 생각한다. (내가 본 바로는) 기업이든 정부든 학자에게 연구용역을 맡긴 경우, 발주자가 연구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드물다. 학자의 양심을 압박하기 때문이다.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라'는 식의 판결은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압박하므로 위헌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런 시스템은 '너는 너, 나는 나' 사고에 기초하고 있기에, '빠이빠이'가 언제든 가능해야 돌아갈 수 있다. 상사 입장에서 이것 저것 다 불편하다고 하는 사람을 계속 데리고 있긴 어렵다. 회사와 좋은 핏이 아니라면 상사가 거침 없이 사람을 자른다. 


어떻게든 후배를 잘 트레이닝해서 회사의 가치에 부합하는 인재로 만들려는 선배의 욕심에서 비롯하는 크고 작은 폭력도 "웬만하면 너는 내가 데리고 간다."라는 책임감에서 비롯하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언제든 자를 수 있다면 구태여 그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어가면서까지 강요를 할 이유가 없다.


우리의 의무론적 공동체주의와 미국식의 주관적 상대주의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사회 전체로 볼 땐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는 미국이 답답할 때도 많다.


그래도 내 업무에 있어서만큼은, 나의 양심을 최대한 지켜가면서 일하고 싶기에 '편안한지'를 물어봐주는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미국에선 한국보다 세대 간 갈등이 덜 느껴진다. 싫은 건 때려 죽어도 안하는 정신이 오래 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누구든 '난 이게 왠지 싫어요, 불편해요.'라고 말할 수 있고, 그 의견이 환영받을 수 있다면. MZ 세대는 공동체를 생각하지 않는다거나 자기만 안다는 식의 비판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당신의 오늘 하루는 편안한가요? 당신을 불편하게 만든 일이 있었나요?

작가의 이전글 남편은 착한데 모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