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eREAL Life Jul 22. 2020

마이클포터와 포스트 코로나 CSV전략+1

Feat. 넥스트챔피언 - 김태영, 도현명 著


intro


#1.

2014년 12월.

마이클포터 교수와  마이클샌델 교수가

함께 서울을 찾았다.


동아 비즈니스포럼2014가  마련한

[Debate of the Century] 의 패널로서

두분의 만남이 어렵게 성사된 것.


당시,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로

한국 내 반향을 이끌어낸 마이클샌델 교수와

세계 3대 경영학자이자

"CSV의 아버지"라 불리는 마이클 포터 교수가

한 자리에 모인다는 소식에


국내외 주요 소식통들은

그야말로 흥분을 감추지 못했고


한국에서도 화두가 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치유할 대안"

정의와 CSV적 측면에서 논한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국민적 관심은 뜨거웠다.



#2.

2011년 초

하버드 경영대학교 마이클포터 교수는

하버드 비즈니스리뷰를 통해


"자본주의를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주제의

How to Fix Capitalism 논문을 게재하며

[ CSV ] 라는 개념을 처음 제안한다.



그는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식의

CSR적인 사회적 책임 해소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인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더 적극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나누어야

지금의 자본주의의 폐해를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


특히, 2007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인

더 극명해진 글로벌 경제위기

세계 곳곳이 정부실패 그리고 시장실패의 한계로

양극화와 사회문제의 몸살을 앓으


실물경제의 둔화로 촉발된

기업 경영악화의 타개책으로


[Creating. Shared. Value]


즉,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 제시 것이다.



#3.

마이클포터 교수와 마이클샌델 교수가 내린

한국사회에 대한 진단과 처방은


대략 비슷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자본주의는

 "부의 확대를 위한 매커니즘"이기 때문에

 

한국과 같은 경제규모에서 대기업의 출현은

정부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동시에 기업의 역기능이 심화 되었다는 것.



따라서, 공평함의 문제, 공공선의 문제에 논의가

이제야 시작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기업과 비즈니스 역시 새로운 역할에

직면하고 해소해야 한다는 것을 주문했다.


결국, "얼마나 팔 수 있을 것인가" 라는

기존 자본주의자의 관점에서

자신의 제품으로 고객과 직원 그리고 협력업체까지

"어떠한 편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로


The Role of Business Society를

새로 구축하고


자선에서 시작된 사회공헌활동이

다양한 사회혁신주체와 연결된 CSR로 변모되어


기업의 제품, 서비스를 통한

직접적인 사회가치 창출로

사회의 필요가 충족될 수 있도록


[Philanthropy -> CSR -> CSV] 의

가치 체인의 변화 역시 제안되면서 말이다.



#4.

두 석학들의 혜안어린 진단 이후 CSV는

2015년 UN SDGs 출범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글로벌 혁신을 담보하는 비즈니스 책무로도

각광을 받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정작 CSV가 말하는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전략을

도대체 어떻게 디벨롭할 수 있나요? "


라는 실질적인 음에

아직까지도 명확한 진단과 솔루션을

제시해 주시는 분들 또한 드문 것이 사실.


게다가 2010년 초반

유행처럼 번지던 대기업의 CSV경영팀이

 "지속가능경영실"로 통폐합되며


CSV의 활동이 축소되거나

유명무실해지는 모습을 마주하면서


한국에서의 CSV는 이젠

떠한 전략을 취해야 할지...


고민이 앞서게 된다.



#5.

그래서 궁금해졌다.


CSV를 실제 현장에서

운영하고 있는 나는


이런 급격하 네거티브하게

변모하고 있는 CSV입지와 사회상황에서


어떤 전략으로

Creating Shared Value를

이어나가야 할지?


그리고 더 세밀하게 점검하고 싶었다.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 이윤추구를 연구하는

하버드 최고의 경영학자가 왜!!


정반대에 위치한 사회혁신과 사회개선을

부르짖게 되었는지?


무엇보다 마이클포터가

기업이라는 수익의 매커니즘에서

 

결국, 이루고자 하는 CSV 핵심은 무엇인지?



[Continue. 마이클포터의 CSV전략+2]

...


    스토리텔링 : [See REAL] + Life   


매거진의 이전글 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회에서 사회공헌하기+5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