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eREAL Life Oct 02. 2020

글로벌ESG 광풍과 기업의 지속가능성+4


기업은 왜 ESG경영을 해야하는가_3


[입찰제한과 탄소국경세 도입]


#1.

ESG평가가

광범위하게 적용이 되자

투자사 만큼이나

발빠르게 움직이는 곳이 있었으니


바로, [입찰시장]과

[탄소 기반 인더스트리].


공급체인에 있어서

파트너사가 품은 리스크로 인해

자사의 ESG평가가

낙제점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도래하자


글로벌 기업들은 앞 다투어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부터

체크하기 시작했다.


또한, 리스크 햇징을 위해

사업 및 프로젝트 입찰시에도

파트너사의 ESG평가 결과를

요구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기존

[지속가능보고서 제출]이나

[기업평판 조회]에서 더 강화된 조치


해당 결과가 자사 내

ESG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게 되면


아무리 사업성이 좋은 프로젝트라 할지라도

해당 프로젝트를 드롭할 수 있도록


입찰 거버넌스 체계가 구축된 것이다.



#2.

글로벌 홈퍼니싱 기업 이케아의 경우,

기업 및 인권에 관한 UN 지침 (UNGP)과

UN SDGs를 기반으로

제품, 서비스, 재료 및 구성 요소를

책임감있게 조달하는


[IKEA 공급업체 행동강령]을

2000년에 도입하게 되는데


2018년부터는

자사에 필요한 협력사의 ESG평가 지표가

[IWAY 플랫폼]에 반영되어


해당 기업평가를 완료해야

입찰기업의 등록과 거래가 가능하도록

입찰 프로세스가 변경된다.


보다 엄격한 ESG Screening이

글로벌 협력사를 대상으로 시작된 것이다.


...


또한, 글로벌 최대 유통사 월마트는

2020년 9월, 일렉트릭 슈나이더와 협약을 맺고

탄소제로분야 뉴 이니셔티브인

[기가톤PPA 프로그램] 을 도입했는데


여기서, PPA란 "전력구매계약" 으로서

(Power Purchase Agreement)

월마트의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시켜


2030년까지 10억 톤의 온실 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한다.


중요한 것은 이 프로젝트는

전세계 위치한 월마트 뿐만 아니라

제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에

포커스되어 진행된다는 것인데


글로벌 시장에서 총 8,000 메가와트 이상의

풍력/태양광 발전 전력구매계약을 성사시킨

일렉트릭 슈나이더 내

지속가능성 서비스 사업부(ESS)를 통해


재생에너지 관련

교육 및 설계, 에너지 구매 컨설팅이

협력업체에게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월마트 공급체인 내

개선된 재생에너지 사용율을 기반으로

 

자사 내 재생에너지 사용율이

끌어올려지는 결과를

월마트는 취하게 되는 것이다.





#3.

Ecovadis의 경우,

등록된 65,00여개 기업에 대한

상시 오픈 ESG평가플랫폼을 제공하여


해당기업의 ESG 레퍼런스를

누구나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했다.


이제, 해당 기업이

파트너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ESG Open 플랫폼과

사업을 통해 자사가 축적하게 되는

Closed된 파트너사 ESG 데이터를 통해


기업이 추구하는 ESG방향과

적합한 파트너십을 설계하고


안정감 있는 ESG 협업체계로

業(업)을 기반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가

활성화 될 수 있음에 환영의 뜻을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오히려

이러한 글로벌 무브먼트에 대한

짙은 우려의 눈빛을 던진다.


그 우려의 핵심은

미준수기업은 시장에서 배제되는

실질적인 시장 진입장벽이 형성된다는 것.


그들 역시

환경, 사회, 안전, 인권 

기업의 사회책임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핵심 가치임에 동의 하지만


해당 사안이 정치적 현안과

보호무역이라는 이해관계가 엮이게 되면서

ESG 칼날은 공공연한 카르텔을

만들게 될 것이라는 것.


EU가 2020년 3월

New Green NewDeal을 천명하며

2023년에 도입되는 [탄소국경세] 처럼 말이다.



#4.

EU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ZERO를 달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밝히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중립 대륙을 구축하기 위해

European Green New deal을 선언한다.


그리고 탄소중립경제 달성을 위해

2023년 부터 전 EU경제시장에 도입할

강력한 조치를 꺼내 들었는데


그것은 바로 [탄소국경세].


즉, 탄소배출에 대한 일종의 세금으로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EU로 들어 오는 모든 수입품에

무역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


게다가 EU는 해당 세금을 모아

코로나19 피해 복구를 위한

특별 경제회복기금으로 사용하겠다고 밝힌다.


즉, 탄소 문제가 촉발시킨

기후변화 재앙 중 하나로

코로나19의 비극을 거론하며


EU가 전면전을 치르고 있는 현안의 재원으로

탄소국경세를 이용하겠다고 선언한 것.


결국, ESG로 시작된 환경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기가 도래한 것이다.


#5.

사실, 탄소국경세는

10여년 전 사장된 아이디어 였다.


탄소배출 감소 매커니즘으로

기업 측면으로는 탄소배출권 거래와 함께

국가 간 탄소국경세가 거론되었지만


당시, 자유무역 협정의 확대로

국가 간 무역관세의 부과는

불합리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과 함께

글로벌 편가르기와 


America First 트럼프의

관세불복에 대한 중국 본보기가 시연 되면서


*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에도 미국은

유럽 항공기에 10%, 와인 위스키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EU에 통보했다.


EU 역시 자국의 산업을 보호해야하는

방패를 고민하게 된다.


다만, 힘으로 누르는 트럼프와는 다른

선명한 명분이 갖춰진 방식으로.


*출처 : Ingram Pinn, Finanacial Times



EU는 이를 [기후변화위기]에서 찾았고

탄소배출비용 지불이라는 명확한 명제 하에


[무임승차방지, 오염자 부담원칙, 공정한 가격경쟁] 을

핵심 원칙으로 탄소국경세를 밀어붙인다.


실질적으로

미국, 중국, EU 3개의 강대국 모두가

무역관세 전쟁에 참전하게 된 것.


...


사실, EU의 자국 내 산업보호 조치는

2010년에 돌입하면서 점차 표면화되고 있었다.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붉어진

 EU 내 상존한 국가 모라토리움

(그리스, 이태리 등)


그리고 기업의 오프 쇼어링 심화로

자국의 일자리문제와 내수경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었던 것.


그리고 그 돌파구로

EU 내 관세 카드가 거론되면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리쇼어링 정책이 추진 된다.


그 결과, 아디다스는 탈중국하여

다시 독일 품으로 돌아왔고

프랑스는 4년만에 기업 40여곳이

자국으로 복귀하는데 성공한다.


당시, 이에 고무된 마크롱은

생산기지가 타국으로 진출하는

오프 쇼어링은 이젠 지속 불가능하며


EU는 이를 개선하여 산업 주권을 다시

되찾아야 한다는 담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6.

탄소국경세가 거론되자

러시아와 브라질은 즉각 발끈다.


전,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메드베데프는

"자국 시장접근을 제한하려는 보호주의 조치"라며

러시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적 대응 방안(?)을 준비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브라질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개발도상국의 설자리를 뺏는 새로운 식민지 정책"

이라며 비난을 이어 간다.


또한,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말레이시아 수상들은

"기후위기를 방패로 한 신보호주의"라며

EU의 속셈을 꿔 뚫었다.


물론,

전세계에서 탄소배출량이 제일 많은 중국은

EU에 강한 거부감과 함께

자국의 대응조치도 거론한다.


환경을 명분으로 한 새로운 무기를

즉시 철회하라는 항의와 동시에


탄소국경세 부과 시,

대중국 무역에서의 보복조치는 불가피하다고

EU를 압박 하고 있다.



재미난 건, 미국의 상황인데

트럼프의 경우, "기후변화는 사기" 라며

EU의 탄소국경세 자체를 부정했지만


이번 미국 대선을 통해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새로운 대통령으로 당선될 경우에는


미국 역시 2025년까지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기업가 트럼프와 날을 세우는

친환경 정책이자

그동안 소원했던

EU와의 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동시에 중국을 압박하는

새로운 카드로 사용하겠다는 전략인 셈.


결국,

정치적 요인, 자국 보호주의,

국가경제 현안 그리고 코로나가 맞물리면서 


ESG지표는 강대국만이 살아남는 카드로

무섭게 변화되고 있다.



#7.

서슬 퍼런 무역관세 전쟁 소식에


산업통상부, 환경부, 외교부 등

한국 정부 내 관계부처는 '20년 9월

긴급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EU는 28개 회원국을 거느렸을 뿐만 아니라

인구 5억명의 세계 최대 시장. 


무엇보다 한국 대외 무역시장 중에서도

중국, 미국 다음으로

세번째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EU의 탄소국경세 도입은

대외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치명적이지 않을 수 밖에 없다.


...


물론, 러시아를 비롯하여 많은 국가가

WTO 제소를 통해 저지의사를 표명했고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역시,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관세]를 활용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며

비판적인 국제 여론전이 진행되고 있으나


EU가 선언한 [탄소국경세]는

 Green Deal의 주요경제 정책이자

코로나19로부터 EU를 재건하는 도구로


현장 도입이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


2019년 12월

EU 내 Green DEAL이 채택되면서

탄소국경세에 대한 로드맵은

2020년 3월 완료 되었고


2020년 7월부터 3개월간

정책공청회 단계에 돌입하고 있다.


이후, 21년 6월까지

탄소국경세 운영에 대한

세부방안이 채택될 예정이며


2023년에는 탄소국경세 도입을

EU 전지역에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Continue. 글로벌ESG 광풍과 기업의 지속가능성+5]

...


    스토리텔링 : [See REAL] + Life   


매거진의 이전글 글로벌ESG 광풍과 기업의 지속가능성+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