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runch
매거진
팬데믹시대 너는 어떻게 사니
실행
신고
라이킷
8
댓글
공유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by
SeeREAL Life
Oct 10. 2020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흐르는 당신에게
Feat.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흐를때가 있잖아요
#1.
2020년 새해 첫날
.
우리는 1919년에 이어 101년만에
앞자리가 2020년으로 같아지는 의미있는 해라며,
당시, 일제강점기의 상흔을 딛고
당당히
글로벌 시장을 이끄는
대한민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의욕적으로
새해를 준비하고 있었다.
사회 여기저기에서도
<대한민국의 새로운 희망>을
잉태하자며
새해 목표도 가열차게 셋업하고 있었다.
특히, <BTS>
는 정규앨범 4집을 발간하며
세계 팬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고,
한국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 뿐만 아니라
오스카까지 제패하며
한국인들의 문화 저력을 세계에 알리고 있었다.
#2.
그랬기에 전염병의 습격은 뼈아팠다.
생각지도 못한 코로나는
새해의 염원을 비웃기라도 하듯
최초 발병 3개월만에
전
세계로 유행하며
팬데믹(Pademic)으로 이어 졌고,
지구촌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가더니
이젠 취약한 사회구조 이곳 저곳을 건드리며
탈출구조차 보이지 않는 분노와 분쟁으로
우릴 위협하고 있다.
국내외 할 것 없이 떨어지는 취업률과
치솟는 물가는
유래없는 경제적 빙하기까지
만들고 있다.
아직 사회에 제대로 발 붙이지 못한 청년층은
고용절벽이라는 눈앞이 캄캄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사회의 동력은 이미
떨어진지 오래다.
#3.
‘사회의 허리’ 라고 불리는 장년층 역시
소득과 노후의 위기로 이어지며 사회 전체는 정말
‘너나 할 것 없는 끝 모를 두려움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IMF시대보다 더 힘들다고 하시는 분들도
자주 마주하게 된다.
아니, 심하다 못해 더 고약하다며
끊었던 담배마저 꿈뻑 꿈뻑 다시
피워대시는 분들을 보고 있노라면
지금이야 말로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흐르는 시대’가 아닌가
생각 되어진다.
#4.
이 고약한 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해쳐나가야 할까.
고민에 고민을 이어가던 즈음,
우연찮게 팬데믹 시대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듣게 되었다.
어느 경제학과 교수님은 지금의 코로나 상황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하면서도
막연한 불안과 위기감은 현재의 삶을
더
큰
어려움으로 빠트린다는
진정 어린 경고를
표명하신다.
마루에 앉아
교수님의
경고를 곱씹어보며
<불황경제 매커니즘>이라는 것에
눈이
틔어지고
나서
보니
"
악순환일 것인가 선순환일 것인가"의 기초에는
결국
인간이 품은 정서 변화가
핵심이 된다는 걸 깨닫는다.
그리고 그 운영의 생리마저
초등학교 때부터 우리가 품어야 한다고
귀가 따갑게
듣던
"
힘들수록
말이야
희망
을 갖고 살아야돼"
와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에
무릎을 탁 치게 된다.
#5.
맞다,
경제는 본래 흐름의 미학이자
생물적인 힘을 가
진
관계적
개념이
다.
그렇기에 저명한 경제전문가들은
선순환의 팬텀업을 설계할 때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도록
경제 요소의 변화와 함께
시장의 불안을 지워가는 치료를 병행한다.
삶 역시 마찬가지
다.
고난과 두려움의 악순환을
먼저 이겨내야 결국엔 내가 왜 사는지 이유를
알게 된다.
그리곤 그 안에서 삶의 가치를 알아가며
다시 고난이 다가와도 넉넉히 이겨낼 수 있는
‘나만의 처방전’으로 삶의 선순환을
지어갈 수 있는 것이다.
#6.
필자는 이 고약한 시절을 살아내기 위해 단순히
‘희망을 찾으세요’ 라는 말을 하고 싶지 않다.
대신, 지금도
"
희망
"
이라는 이름
으로
더 나은
삶의 길을 찾고자
어려움을 무릅쓰
고 있는
이들
이
들려 준
삶의 혜안을 나누며,
팬데
믹 시대라 불리는 이 고단함 속에서도
선명한 꿈을 지어가는 비결을 공유하고자 한다.
팬데믹의 불안을 살아내는 노하우로
우리시대 희망의 안테나를 세워
다시
나의
삶을 일으키는
팬텀업을
이어가고자 한다.
바야흐로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흐르는 시대다.
*데일리경제 칼럼 [윤한득의 안테나살롱]
keyword
불안
코로나
인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