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시용 Mar 25. 2017

[고급 재테크 공부]
포트폴리오 의사결정 #2

주식은 어떻게 거래할까


호가 주도형 시장(Quote-Driven Markets)

호가 주도형 시장은 유동성을 제공한다. 거래자들은 비드(bid) & 애스크(ask) 가격을 공지하는 딜러(또는 시장 조성자(market maker))와 거래하게 되며, 따라서 딜러 시장이라고도 부른다. 딜러는 증권을 재고(inventory)로 가지고 있으면서 사고팔 가격 즉 비드-애스크 가격을 공지한다. 딜러는 사고팔기 원하는 가격 스프레드 차이에 이윤을 붙여 유동성을 제공한다.

유동성이 적은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ex) 채권시장)은 근본적인 거래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딜러 시장으로 구성된다. 해당 시장에서 딜러는 본인을 제외한 거래 상대방이 아무도 없을 때조차 증권 재고를 유지하기 위해 즉각적인 유동성을 제공한다. 또한 스와프 또는 선도 시장과 같은 거래 증권을 위한 유동성도 제공한다. 몇몇 시장(ex) 외환 시장)에서는 가격보다 신용 위험이 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가장 최적의 가격을 제시하는 딜러는 언제나 한 명이 아니다.

몇몇 딜러 시장에서는 평균적인 투자자에게 호가창(limit order book)이 닫혀있다. 이렇게 닫힌 호가창(closed-book)이 적용되는 시장에서 투자자는 최적의 호가를 찾기 위해 브로커를 고용해야 한다.


주문 주도형 시장(Order-Driven Markets)

주문 주도형 시장에서는 더 나은 가격을 위한 경쟁이 일어난다. 거래자는 다른 거래자와 거래한다. 호가 주도형 시장에 있는 중개 딜러가 없다. 딜러 역시 주문 주도형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지만 일만 거래자의 한 명으로 거래하며,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증권 재고를 유지하려는 딜러가 없기 때문에 유동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주문 주도형 시장에서는 주문이 시장을 움직이며 거래자의 행동이 증권의 유동성을 결정한다. 거래의 체결은 잠재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매칭 가격이 적용되는 기계적인 규칙에 의해 결정된다.

주문 주도형 시장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다 : 전자 교차 네트워크(electronic crossing networks), 옥션 시장(Auction market), 자동 옥션(Automated auction). 전자 교차 네트워크 안에서 전형적인 거래자는 기관 투자자다. 거래는 하루 중 특정 시점에서 평균 bid-ask 호가에 취합되고 매칭 된다. 수수료가 낮고 거래자는 딜러 bid-ask spread를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거래 비용이 낮다. 충분한 거래 행위가 없을 경우 전부 또는 일부 거래가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교차 네트워크에서 거래자는 거래 상대방 또는 거래 상대방의 거래 규모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사실로 인해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가격이 수요와 공급 조건으로 조정되는 것)이 없다. 가격이 거래자의 주문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거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옥션 시장 거래자는 거래 체결을 위해 다른 거래와 경쟁해야 한다. 옥션 시장은 하루 중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주기적 시장, 하루 지속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옥션 시장은 가격 발견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교차 시장에서 발생하는 거래 미체결을 감소시킨다.

자동 옥션은 전자 지정가 거래 시장(electronic limit-order markets)으로도 불린다. 장외전자거래시장(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 ECNs)의 예로 미국의 NYSE Arca 거래소, 프랑스의 Paris Bourse가 있다. 해당 시장에서 거래는 하루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특정 규칙에 따라 거래가 체결된다. 전자 교차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자동화 거래가 이루어지고 거래 상대방의 신원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반면 옥션 시장으로서 가격 발견을 제공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브로커 시장(Brokered Markets)

브로커 시장에서 브로커는 거래자의 대리인으로서 거래 상대방을 찾는 역할을 한다.


하이브리드 시장(Hybrid Markets)

하이브리드 시장은 호가 주도형 시장, 주문 주도형 시장, 브로커 시장의 특징을 결합한다. 뉴욕 증권 거래소가 그 예이며 호가 주도형 시장과 주문 주도형 시장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호가 주도형 시장과 같이 전문 딜러가 있는 반면 지속적인 옥션 시장처럼 거래가 하루 종일 이어지고 거래소가 시작될 때 특정 거래들이 취합되어 체결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고급 재테크 공부] 포트폴리오 의사결정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