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부 시민기자단 Apr 01. 2020

집돌이

코로나19, 인내심이 필요했다.

장애로 인한 극한 통증이 견디기 어렵다. 2월 25일, 서울재활병원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와 해당 병원에서 일주일에 한 번 정기적인 물리치료를 받던 나 역시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하지만 근육의 강직으로 인해 통증을 버텨내는 것은 생각보다 무리였다. 다른 병원에도 가봤지만 사정을 듣고 “죄송한데 우리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워요.” 라는 답변만이 돌아왔다. 나도 이 말은 바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집돌이가 된 나는 매체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자가격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작은 효과라도 있는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근육의 강직으로 인해 매일 찾아오는 극한 통증을 계속해서 참아 내야만 했다. 대구에 사는 한 중증장애인은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격리된 삶을 살며 제대로 된 일상생활을 할 수 없었다. 대구시에도 장애인의 활동지원제도가 있겠지만, 지역마다 바우처 제도의 격차가 큰 건 사실이다. 물론 개인의 삶에 다양한 변수가 있겠지만, 이런 상황에서조차 장애당사자가 ‘어쩔 수 없는’ 일상을 견뎌내야 하는 것이 참 어렵다.     


장애인에게 자가격리는 ‘더욱 힘들어진 특수한 상황을 오롯이 혼자서 견뎌내는 것’이다. 아무리 도움을 자청한 봉사자와 활동지원사가 있다고 해도 재난은 재난이다. 누군가가 올 때까지 컵라면만 먹는 사람이 있고, 이 조차도 어려운 사람 있다. 최중증장애인은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자원을 확보하지 않으면 활동지원사가 마스크, 의약품, 식품을 챙겨서 올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한다. 혼자 밥을 못 먹거나 화장실을 못 가는 분들이 그때까지 살 수 있을까?     


서울에 거주하는 다른 장애당사자들도 지금의 모든 상황을 어떻게 이겨내고 있을지 생각하면 먹먹하다. 나 역시 제때 밥을 못 먹지 못하고, 화장실도 갈 수 없다. 





김삼식 기자             

호기심과 물음이 많은 사람     

매거진의 이전글 단어 하나에 싹트는 미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