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 인사이트 : 일상에서 생각을 낚다] : 내 리뷰를 다시 읽고 있자니
최근 [푸에르자 부르타] 공연 리뷰를 업로드하였다.
업로드를 한 후 리뷰를 다시 읽고 있자니 2년 전에 떠오른 고민이 다시 스멀스멀 올라왔다.
무용이란 장르는 무용수들의 훈련된 움직임, 화려한 의상, 무대 요소인 무대미술, 무대조명, 영상..
최근 몇 년간은 미디어아트란 이름을 모두 포함한 종합예술이라 칭해진다.
또한, 융복합 예술이라 칭해지며 예술계에서 하나의 장르로 꾸준하게 인정받아왔다.
무용 공연 공연장에는 무용 관련인들이 죄다 모이지만, 일반 관객을 찾기엔 다소 어렵다.
왜 일반 대중에게는 무용이란 장르가 어렵기만 할까? 우리 이 참에 그 이유를 한 번 고민해 보자.
무용은 세부장르로 나뉜다.
대표적으로는 발레와 현대무용, 한국무용 그리고 점점 떠오르는 스트릿 댄스 즉, 실용 무용이다.
대한민국의 예술 열풍은 끊이질 않는다. 영화 [기생충], 드라마[오징어 게임], 아이돌[BTS] 최근에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스우파)까지 열풍에 열풍을 더하고 있다. 그중에도 아이돌댄스, 스트릿 댄스로 한국의 대중은 물론 해외까지 자신들의 역량을 보여준 BTS와 스우파 크루는 화려한 퍼포먼스부터 훈련된 신체를 통한 완벽한 칼 각의 움직임은 보는 이들이 전율을 일으키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댄스 열풍에도 무용의 대중화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발레와 현대무용, 한국무용 장르 모두 특정 대형 단체를 제외하면 티켓의 매진을 기대하긴 어렵다.
(발레에서는 유니버설 발레단, 국립 발레단처럼 국-공립 발레단 혹은 대형 발레단. 현대무용에서는 국립현대무용단 그리고 최근 이날치 밴드와의 <범 내려온다> 협업과 한국관광공사의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 시리즈에 출연한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가 있고, 한국무용은 국립무용단과 국-공립 단체가 있다.)
[국립현대무용단의 춤추는 강의실]을 통해 뇌 과학자 김대식 박사는 "춤의 기원은 과거의 있었던 일들을 표현하고, 전달해 주는 다시 말해 문자와 글이 발명되기 전 글 1.0 버전이 아니었을까"란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비슷한 생각으로 어린아이들도 말을 아직 배우지 못했을 땐 신체로 자기 의사를 표현한다. 이처럼 필자 역시 말 이전 춤이 있듯 춤의 영역은 어마어마하다 생각하며 춤의 대중화는 꼭 이루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 스트릿 댄스의 열풍이나 한 그룹의 열풍으로 무용의 대중화는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다. 대중화의 시작은 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용은 현재 교육과정에서 체육으로 편입되어 있다. 체육과목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으나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그리 중요한 대목으로 보고 있지 않는 것 같다.
현재 체육교과마저 고등학교 교육에서는 시수를 줄이거나 대체하는 추세라 학생들이 무용을 접할 기회는 더욱이 적어지고 있으며, 예체능 교육을 중요시하는 해외 교육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예체능 교육 그중에서도 무용교육은 많은 부분에서 교육되고 있지 않다.
유년기와 청소년기는 성장기이면서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시기이기에 이 시기의 경험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 시기에 경험되지 못한 무용은 학생들에게도 대중적으로 나아가야 할 무용계에도 꽤나 치명적일 것이다.
필자는 춤과 무용을 구분하는 것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그러나 굳이 한번 구분해서 바라보자면 결국 인식의 차이가 문제일 것이다. 앞서 언급한 아이돌 및 스트릿 크루의 댄스 열풍은 대중들에게 춤이라 칭해지지 무용이라고 보진 않는다.
이미 대중들에겐 춤이란 가볍게 즉흥적으로 또는 따라 하면서 즐겁게 추는 것이며, 무용은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하고,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하는 전문적인 영역이다. 현재 미디어에 많이 노출되는 키워드만 봐도 알 수 있듯 아이돌 댄스 커버, 댄스 릴스 단어는 많이 매체에서 보았을지 언정 무용 작품 커버, 한국무용 살풀이 릴스는 접하기 힘들 것이다.
이는 무용계의 창작자들에게도 적용된다.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은 역사가 깊어 작품의 공개를 공연장에서 시작하였다. 그래서일까 현재도 공연의 영상화가 되지 않은 작품들은 직접 보지 않은 이상 가늠하기 어렵다. 최근 코로나 이슈를 통해 온라인으로 관객을 맞이하는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 작품의 발표 경로는 공연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창작자들 또한 작품 창작 소스를 오픈하기를 꺼려하는 면도 없지 않아 존재한다. 공연을 발표하는 장소를 문제라고 보기보다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있는 스트릿 댄스들은 초기의 작품 공개를 영상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이와 더불어 안무를 하고 영상을 찍어 미디어에 기록하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혀 있어 이러한 차이도 결국 대중들의 인식 차이에 한몫을 하는 것 같다.
무용은 영상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20세기에도 19세기에도 18세기에도 궁중발레, 낭만발레, 현대무용의 독립 등 어떠한 형태로도 존재했다. 그러나 21세기엔 영상기술이 개발되었고, 1시간 길이의 영상보다 직접 가는 공연장 공연보다 1분 길이의 쇼츠 영상처럼 빠르고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는 것을 대중들은 선호한다. 이들의 예술 소비형태의 변화를 하루빨리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콘텐츠 변화가 있어야 한다.
결국엔 볼만한 콘텐츠의 부족이다. 2020년 젊은 안무자창작공연 최우수상의 주인공 최종인 안무가를 예시로 들자면, 그는 한 인터뷰를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중요시 여긴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 소통의 연결고리를 유튜브란 콘텐츠를 사용한다고 했다. 안무자 자신이 망가지는 모습이 있을지 언정 어느 정도 구독자가 생겼을 때 그 구독자들이 자신의 찾아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했고, 자신을 본 사람이 자신을 좋게 평가한다면 그것이 진정한 관객과의 소통이라고 하였다. 실제 그 유튜브엔 최종인이라는 이름이 아닌 <썬캡보이>란 이름을 사용하며 자신만의 콘셉트로 다양한 창작무와 커버 댄스를 업로드하고 있다.
또한,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도 무용계에선 이미 인정받고 활발한 활동을 펼친 단체이지만, 이날치 밴드와의 협업으로 기획된 <범 내려온다>를 시작으로 대중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중요한 건 이후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역시 유튜브를 통해 연습 현장 라이브, 명절 인사, 작품 연습 쇼츠, 패러디 쇼츠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대중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위의 이유를 제외하고도 필자가 인식하지 못한 이유가 많을 것이고, 언급한 이유에도 근거가 부족할 수도 있으나 무용이 대중화가 되었느냐라는 질문에 당당하게 느낌표를 들긴 힘들다. 방탄소년단의 글로벌한 활동과 스우파 크루의 대중적 인기,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의 열풍 등의 엄청난 파급력의 현상을 기대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하나의 열풍에 웃고 식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무용의 관심과 대중화를 원한다.
무용과를 졸업한 만큼 춤을 사랑하고 공연을 사랑하며 무용계를 사랑한다. 그래서 무용이란 장르가 앞으로라도 그들만의 잔치, 우리들만의 축제가 되지 않길 바란다. 하루아침에 무용계가 변할 순 없지만, 앞서 언급한 과제들을 하나둘씩 고심하고 방안을 마련한다면 어려운 주체, 난해한 장르가 아닌 관객과 소통하는 무용계, 능동적인 관객층으로 한껏 풍요로운 무용계가 되지 않을까?
릴 인사이트 : 일상에서 생각을 낚다.
릴 : 낚시의 도구
인사이트 : (In) 안 + (Sight) 보다 = 통찰력
[릴 인사이트]란 일상을 꿰뚫어 보아 생각을 글로 쓰는 연재 콘텐츠입니다.
영화의 대사, 음악의 가사, 일상 등 다양한 소재를 글로 남기는 글쓰기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