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산대군의 「제화선(題畫扇)」
낙엽은 가을바람에 휘날리고 黃葉秋風裏
청산은 석양 속에 어두워지네 靑山落照時
강남은 어드메인지 아득키만 한데 江南杳何處
쓸쓸한 배 한 척 느릿느릿 가누나 一棹去遲遲
흔적. ‘어떤 일이 진행된 뒤에 남겨진 것’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마음의 흔적이라 이름 붙여 본다.
월산대군. 조선의 9대 임금 성종의 친형이다. 아버지 의경 세자(세조의 큰아들)가 죽고 작은아버지 예종도 왕위에 오른 지 얼마 안 돼 사망했는데 예종의 아들이 너무 어렸기에(4살) 실질적 왕위 계승 서열 1위였으나 병약하다는 이유로 배제됐다. 34살에 죽었으니, 지금으로 보면, 실제로 병약했다고도 볼 수 있으나 평균 수명이 길지 않던 시절이었으니 꼭 병약했다고만도 볼 수 없다. 그의 동생인 성종도 38살에 죽었다. 병약 운운은 사실 핑계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많은 이들이 정희왕후(세조의 부인. 월산대군의 할머니)와 한명회(성종의 장인)의 정치적 결탁 때문에 밀려난 것으로 본다.
무생물이나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왕위 서열 1위임에도 왕위에서 밀려난 자신의 처지에 불만이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전하는 기록들은 그가 자연 속에서 소요하며 서책을 벗 삼아 지냈다고 한다. 불만 없이 잘 지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게 그의 진심 어린 행동이었다고 볼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지만, 어떤 액션도 용납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저 숨죽이고 지낼 수밖에 없었기에 그랬던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자연과 서책을 벗 삼아 유유자적하게 지낸 것 같지만 실제는 평생 울울한 심사로 지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한 그의 마음의 흔적을 위의 시에서 읽는다. 위 시는 부채 그림에 쓴 시이다. 화제이니 그림의 정경을 손에 잡힐 듯이 그리는 것이 요점이다. 시를 읽으면 그림의 모습이 손에 잡힐 듯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성공적인 화제시이다. 그런데 내게는 왠지 이 시가 월산대군의 마음의 흔적을 드러낸 서정시로 읽힌다.
가을바람에 휘둘리는 낙엽과 같은 신세, 석양 속에 그 빛이 가려진 청산 같은 신세, 그게 바로 월산대군 자신의 처지라고 본 것은 아닐까? 강남은 탈출구인데, 문제는 그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느릿느릿 정처 없이 떠도는 듯한 배 한 척은 탈출구 없는 고립무원 적막강산의 처지인 바로 그 자신의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 견강부회한 해석일까?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그의 시조도 이와 비슷하니 무리한 주장이라 타박만 받을 일은 아니다.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돌아오노매라
낭만적 서정보다는 왠지 모를 슬픔이 느껴지지 않는가? 이 시조의 이런 정서는 그의 울울했을 심사와 연관 지을 때만이 제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월산대군의 작품 둘을 읽고 그의 '마음의 흔적' 운운했는데, 그가 지하에서 이 글을 읽는다면 뭐라고 평할지 궁금하다. "이보게, 잘 봤어!" 라고 할까? 아니면 "택도 없는 소리!" 라고 할까?
월산대군은 살아서도 죽은 듯이 살았는데― 내가 보기에 ―죽어서도 또 한 번 죽임을 당한다. 그의 신도비를 간신의 대명사 임사홍이 썼고 그의 부인 박 씨가 연산군과 추문이 있었던 것(연산군은 월산대군의 조카이다). 월산대군에게서 특권층의 비극적인 일면을 본다. 그의 시가 더더욱 애처롭게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