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찔레꽃 Feb 14. 2024

한자(漢字) 추가요~

태안의 모항항 입간판


동일한 지명을 갖는 곳이 종종 있다. 내가 사는 지역(서태안)의 한 지명이 다른 곳에도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됐다. 모항. 모항은 전북 부안에도 있었다. 한자 표기도 동일하다. 茅項. 茅는 띠 모, 項은 목덜미 항이다. 그런데 두 지명에 대한 설명이 약간 상이하다.


부안의 모항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띠가 많이 자라는 곳이라 하여 띠 모(茅) 자, 배가 지나가는 목이라 하여 목 항(項) 자를 써서 ‘모항’이라 하였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태안의 모항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모(茅)는 불모지(不毛地)를, 항(項)은 물을 건너가는 곳을 일컫는 말"이다. (출처: 모항항 입간판, 위 사진)


어느 것이 적절한 설명일까? 부안의 설명이 적절한 것 같고, 태안의 설명은 틀린 것은 아니지만 다소 지나치게 의역된 설명 같다.


식자우환이라고, 한 자 몇 자 알다 보니, 가끔씩 한자가 들어간 간판에 딴지를 걸고 싶은 때가 있다. 모항항에서 본 입간판이 그랬다. 


그나저나 전에는 '모항'의 의미를 알지 못했는데, 한자 표기가 수반된 입간판을 통해 그 의미를 알게 됐다. 모항의 의미를 알고 모항을 대하니 모항이 전과 다르게 느껴졌다. 왠지 더 쓸쓸한 느낌이 들었다고나 할까? 


지명의 의미를 알고 모르고는 그 지역을 대했을 때 갖는 생각과 느낌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의미가 사라진 채 단지 표식으로만 사용된 한글 지명 표기에서는 별다른 감흥이 생기지 않는다. 설혹 생긴다 해도 그릇된 생각과 느낌일 가능성이 크다. 지명에는 역사와 문화가 서려있는데 그것을 알 길 없게 만드는 한글 전용 지명 표기들은 재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런 점에서 모항항의 설명 입간판은 아쉬운 점이 있긴 하나 모항의 의미를 전달해 줬다는 점에서는 칭찬받을 만하다.

작가의 이전글 오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