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송 Dec 30. 2022

어떤 사람은 빌라왕을 피해자라고 일컫는다

 요즘 빌라왕의 죽음이 사회적 이슈가 되더니 급기야 언론에서 발전된 내용이 보도되었다. 3명의 빌라왕이 사망했는데 한 빌라의 16칸 중 빌라왕 2명이서 각각 5칸, 10칸을 매수한 사례가 있는 등, 조직적인 범죄의 냄새가 난다는 것이다. 나 역시 이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 20대 여성이 빌라 수십 채를 매수할 생각을 하는 것부터 이상하지만, 심지어 갑작스러운 자살을 했다? 그리고 이들 세 명이 빌라를 집중매수한 것이 2021년 7월경이라고 하는데 겨우 1년 반 만에 셋 다 죽었다? 정상적인 죽음이라고 보기엔 너무 수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빌라왕을 검색하다가 한 블로그를 발견했다. 포스팅마다 '좋아요'가 1천 개 가까이 달리는, 옛날 말로 하자면 파워블로거인데 주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소신과 기록을 남기는 블로그인 듯했다. 나는 부동산 투자에 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새로운 장난감을 접한 아이처럼 흥미롭게 포스팅을 읽어나가다 한 부분에서 눈길이 멎었다. 

이 블로거는 빌라왕이 구속된 사건을 언급하며 그가 사기꾼이 아니라 피해자라고 했다.

 어째서 빌라왕이 사기꾼이 아니라 피해자인가?

 이에 대한 그의 주장은 종부세가 기존대로였다면 현금 흐름이 잘 맞춰져서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았을 텐데, 정부가 종부세를 급격하게 올리는 바람에 현금 흐름에 문제가 생겼고 그로 인해 전세금을 반환하지 못했으며 그것이 사기죄로 고발당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이 사람의 생각이 옳지는 않다고 본다.

 부동산을 1-2채가 아니라 10채 이상 보유하는 행위는 자산 증식을 위한 투자다. 그리고 그것이 현재 보유한 자산으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면 투자가 아니다. 경마를 하면 딸 수도 있고 잃을 수도 있다. 100만 원 가진 사람이 100만 원으로 경마를 하는 건 투자라고 할 수 있다. (도박과 투자는 다르다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다년간 주식을 해 본 내 경험상 투자와 도박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100만 원 가진 사람이 빚을 내 1억으로 경마를 한다면 그때는 투자가 아니다. 왜냐하면 실패했을 때 자기가 갚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서 주변 사람 혹은 사회에 피해를 끼치기 때문이다.

 빌라왕이 한 행위도 마찬가지다. 스스로 투자한 돈만 잃으면 누가 뭐라고 할까. 하지만 빌라왕은 당장 빌라나 아파트를 매수할 돈이 없는, 조금이라도 주거비를 절약하려는 사람들이 주로 찾는 빌라를 수십 수백 채 매수해 자신의 자산을 단시간에 불리려고 했고 그러다 정책적인 역풍을 맞아 한순간에 무너지며 세입자들에게 피해를 주었다. 본인의 의도는 사기가 아니라 '자산증식'이었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어렵게 모은 돈을 허공에 날려버렸다면 그 피해에 대해 마땅히 보상을 하거나 처벌을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실은 이러한 주장을 하는 블로거를 보고서 상당히 놀랐지만, 한편으로는 다주택으로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생각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서 신기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빌라촌은 매일이 주차전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