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윤상 Mar 27. 2024

에고 녹이기

"말랑말랑해지고 싶어요."

#에고는미혹을부른다#있는그대로보기#말랑해지기#진실해지기#두려움걷기


'사랑할 땐 살기를 바라고 미워할 땐 죽기를 바라니 그것이 미혹이다.' 얼마전 종영한 드라마 세작에서는 이런 대사가 나왔다. 드라마는 서로를 의심하던 연인이 자신의 마음에 올라오는 에고의 소리를 넘어서 결국 사랑을 선택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지인과 차를 마시며 자기 입장에 따라 다르게 와 닿는 상대의 모습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아니면 상대의 입장이 되어 볼 수 있다는 건 더군다나 가능한 일일까? 우리는 자신의 주관성으로 상대와 세상을 바라볼 수 밖에 없으니 참으로 어리석고 미혹된 자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MBSR명상수련의 자세 중에는 대상이나 상대를 처음 만난 것처럼 바라보라라는 가르침이 있다. 내가 이미 경험했던 고통이 아니라 그저 일어난 사건으로, 전에 경험했던 나를 힘들게 했던 누구와 비슷한 사람이 아닌 처음 만났고 내가 만나야 할 이유가 있는 사람으로 바라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생존을 위해 뇌가 진화되어진 하나의 선택이라고 한다. 생존이나 방어를 위해 오랜 시간 진화되어 자동반응이 되어진 것이다. 그런데 명상은 자동반응을 끊고 당연하다 여겼던 것들을 있는 그대로 제대로 바라보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그래야 진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우주가 지수화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땅과 같은 딱딱한 세계에서 시작되어 물이 되어 흐르고 에너지가 되고 각자의 꼴값으로 드러나는 단계를 넘어서면 결국 모든 것은 공하다고 한다. 에고가 단단한 사람은 자신의 몸과 생각의 한계, 방어의 욕구 안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일 것이다. 그래서 그 딱딱함과 압박으로인해 스스로 숨이 막히고 자유롭지 못하다. 나 스스로를 진단하건데 내가 자유로움을 느끼지 못하고 즐겁지 않은 건 내가 만든 에고의 틀이 너무도 견고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물이 되어 흘러간다면 생명의 발원지인 바다에 이르게 될 수 있으리라. 그리고 이치를 깨달은 어느날은 구름이 되어 하늘로 올라갈 수도 있으리라. 이토록 딱딱한 나를 녹일 수만 있다면.


"이젠 말랑말랑해지고 싶어요." 바람처럼 공기처럼 자유롭게 떠돌고 싶다 말했다. 관객이 참여하는 연극을 보러가 나는 이렇게 넋두리를 했다. 바다에 가고 싶다고, 춤이 추고 싶다고, 지금 이 순간을 생생히 살아내고 싶다고. 나의 딱딱함과 고집스러움이 미혹된 세상을 만들고 있으니 진실을 마주하기 위해 말랑해지고 싶다고. 자기중심적이고 조건적인 자아를 가지고 있기에 나는 늘 제자리를 뱅글뱅글 돌고 있는 것 같다. 한 걸음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다. 이제 의구심이 들어왔고 갈망이 들어왔기에 조금은 희망적일지도 모르지만.


스승님꼐 여쭈어 보았다. "스승님 에고를 어떻게 녹일 수 있겠습니까?" 스승님은 이렇게 말씀해 주셨다."진실을 잘 보아야 합니다. 만물의 이치를 잘 보아야 합니다. 그럼 절로 겸손해지고 부드러워질 것입니다." "에고의 마음을 피해야 할까요?"

"아니요. 그것을 겪어내야 합니다. 그리고 그때의 나를 관찰해 보십시오. 두려울 건 없습니다. 정직해지십시오."





매거진의 이전글 심장 안의 꽃을 피우기 위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