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er 가 보고 싶은 내용을 기입한다.
요즘 레주메를 리뷰해달라는 요청을 대학생 분들부터 직장인 분들까지 종종 받는다.
레주메를 리뷰할 때 하나의 원칙을 가지고 보는데, 'Interviewer 관점에서 이력서를 보자' 이다. 결국 이력서는 지원자가 쓰고 싶은 내용을 쓰기 보다는, 선발자가 보고 싶은 내용을 기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학생 분들께 이력서 리뷰 시 공통적으로 드리는 조언이 있다.
1. work experiences 에는 내가 소속되었던 회사의 명성 보다는, 유명하지 않은 회사여도 관계 없으니 내가 주도적으로 어떤 일을 왜 했고, 어떤 성과를 내서 무엇을 배웠는지가 훨씬 더 중요하다.
유명한 회사에서의 인턴은 한 번이면 OK 이다 (사실 없어도 OK 이다). 그래서 그 횟수를 두 번 세 번 더 늘리려 하지는 말자. 지명도 높은 회사에서의 인턴은 실무 경험 보다는 research 및 업무 보조 경험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고로, 큰 기업 또는 유명한 외국계 회사에서 인턴을 해 봤다면, 차라리 스타트업 또는 중소기업에서 인턴을 하며 실무 경험을 쌓아 보는 것을 추천한다.
2 인턴을 여러번 했어도, 2개 정도만 쓰는 것이 좋다. 인턴을 4번 했다고 4번의 경험을 이력서에 다 쓰려하면, 블렛포인트 퀄리티만 안좋아질 뿐이다.
(더불어 인터뷰어 분들은 꼰대적 마인드가 분명히 있다. 학생이면 공부도 열심히 하고 동아리 활동도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한데, 너무 인턴만 주구장창한 이미지도 딱히 좋지 않다)
3. 학점이 좋지 않으면, work experiences 또는 extracurricular activities 에서 그 단서가 보여야 한다.
물론, 학점이 좋아도, work experiences 또는 extracurricular activities 를 신경 써야 한다. 공부는 혼자하는 것이지만, 회사는 함께 협업해 나가는 조직 생활이기 때문이다.
4. 입사하고자 하는 회사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많이 들었고, 그 수업에서의 학점이 특히 좋다면, Education 부분에서 블렛포인트를 추가하여 이 부분을 강조해 줄 필요성은 있다.
5. extracurricular activities 에서의 핵심은 commitment 및 leadership 이다. 유명한 학회에 소속되었다는 점 자체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어떤 동아리든 1) 나름 오래/꾸준히 활동했다, 2) 회장 (또는 리더십)까지 했다가 더 중요하다.
6. 동아리에서 한 산학협력 프로젝트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extracurricular activities 이므로, 해당 섹션에 명기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extracurricular activities 의 핵심은 '저 실무에 도움 되는 경험을 동아리에서도 했어요!!'가 아니고, '저 동아리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노력했고, 리더십 역할도 하며 조직 성장에 열심히 기여했습니다' 이기 때문에, 산학협력 프로젝트에서 무엇을 했는지 열거하기 보다는, 조직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기입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7. others 에 fluent in English 쓰고 싶으면 객관적 근거를 명확히 적시해야 한다 (아니면 intermediate 이라 하는게 나을지도 모른다. 더 보수적이고 정확하게 소통하는 사람처럼 보일지도!) 그리고, others 까지 너무 '저 회사 입사를 위한 준비를 착실히 했어요' 강조할 필요는 없다.
8. Resume 를 쓸 때, 손으로만 쓰면 안된다. 말로 표현하며 Resume 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결국 Resume 는 인터뷰의 주된 자료가 되기 때문에, 내 Resume 를 말로 표현해보는 연습을 하다 보면, 1) 인터뷰 시 내 발언과 resume 내용이 align 되어 더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다, 2) Resume 가 더 내실있는 내용으로 채워지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BCG 입사 시 내 Resume 를 보면, Bain RA 경험 및 중소형 회사에서의 경험을 적시했었고 (PwC, KT 등 인턴 경험은 Bain RA 와 겹치기 때문에 제외), S&D 동아리를 6학기 이상 했던 경험을 강조했었고 (부회장, 회장 다 했다), 문학학회를 3년 이상하며 학회 운영을 위해 노력했던 경험도 강조했었고, AICPA 를 통해 재무제표의 정의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던 부분을 강조했다.
인터뷰 시 Bain 에서 어떤 일 했는지 보다는, 왜 중소형 회사에서 인턴을 했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했고 무엇을 배웠는지 질문이 많이 나왔었고,
왜 취업준비 동아리처럼 보이는 S&D 를 3년이나 했는지? 회장이든 부회장이든 한 번만 하면 되었지, 부회장을 하고 또 회장까지 했는지? 질문이 있었고,
어떤 인터뷰어 분은 본인도 문학을 좋아한다며, 문학학회에서 어떤 책을 주로 읽었는지? 그런데 그런 학회를 굳이 3년 한 이유는 무엇인지? 많이 물어보셨고,
인터뷰어 분 중 CPA 출신 분들은, AICPA 는 굳이 왜 했는지? (제대를 3월 말에 해서 9월까지 시간이 있었습니다) 물어보시고, 간단한 회계 퀴즈를 통해 제대로 컨셉을 이해하는지 확인했던 분들도 있다.
물론, fit 인터뷰 이후 case interview 를 잘 보는 것이 더 중요했지만, resume 기반의 fit 인터뷰에서 대화가 잘 통한다는 느낌을 받으면, case interview (또는 실무 면접)에서 더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아무쪼록, 대학생 분들이 영어 이력서 준비하실 때, 불필요한 부분에 너무 만은 에너지를 쓰지 않으셨으면 한다. 그리고 더 매력적인 이력서를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이, 오히려 이력서를 더 안좋게 보이게 하는 acitivity 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ps. 직장인 분들께 드리는 조언은, 곧 유학 준비 resume 와 이직 준비 resume 로 구분해서 올려 보겠습니다.